[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사회학자 노명우의 ‘인생극장'

 

모든 부모가 처음부터 아버지와 어머니로 태어난 것은 아니다. 자식들이 상상하지 못할 , 그들에게도 감수성 예민한 10 사춘기, 호기롭고 많던 20 시절이 있었다. 노명우(盧明愚·52) 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그런 부모의 삶을 대신해 기록하기 시작했다. 아쉽게도 원고를 완성하기 2015년과 2016 아버지와 어머니는 연이어 세상과 이별을 고했다. 부모를 잃는다는 응석 허용되지 않는다는 . 그는 자신 안에 남아 있는응석 비워내기 위해 잠시아버지어머니라는 호칭을 유예하고, ‘자연인 노병욱자연인 김완숙 삶을인생극장 담았다.

 

 

노명우 교수는인생극장에서 자신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인생을 통해 역사에는 기록되지 않은 동시대 평범한 이들의 삶을 재조명했다. 3년에 걸쳐 탄생한 책의 집필은 본래 대학생들에게 과거 대중영화를 매개로 한국 사회의 형성 과정을 이야기할 목적에서영상사회학강의를 개설한 것이 계기가 됐다. 교수의 아이디어를 눈여겨본세상물정의 사회학’(노명우 ·사계절출판사) 편집자가 강의를 캠퍼스 울타리를 넘어 세상 밖으로 꺼냈고, 고전영화를 감상하고 토론하는세상물정극장 만들었다. 일종의 확장된 거실처럼 작은 극장엔 많은 사람이 모여 영화를 보며 울고 웃었고, 자리엔 교수의 어머니가 관객으로 함께했다.

“세상물정극장이 열리는 날이 어머니에겐 일주일에 하루뿐인 소중한 외출 시간이었어요. 당시 아버지가 치매를 심하게 앓으셔서 어머니가 돌보고 계셨거든요. 그때 아버지의 삶과 고전영화를 연결해인생극장 초고를 쓰고 있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나셨죠. 그러고 7개월 후엔 어머니가 시한부라는 알게 됐어요. 저도 어머니도 충격이 컸어요. 내가 어머니를 위해 있는 뭘까? 하나는 어머니가 하루를 살더라도 열흘처럼 느끼게끔 많은 시간을 함께하는 , 다른 하나는 어머니의 삶을 대신 써드리는 것이더라고요. 그렇게 책의 주인공을 더블캐스팅으로 바꾸게 됐습니다.”

 

‘아버지이기도 했던’ 한 남자의 인생

어머니 생전 책을 완성하려 했지만, 간호를 병행하며 원고에 집중하기란 쉽지 않았다. 책이 나오면 아들과 함께 출판기념회이든 강연회이든 다니고 싶다던 어머니의 바람은 안타깝게도 이뤄드릴 없었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1 남짓 만에 어머니까지 세상을 떠나시면서 반년 정도는 원고를 자도 썼어요. 컴퓨터 앞에 앉았다가도 감정이 솟구치고 한이 생겨서 키보드 끌어안고 울고…. 아무리 아들이라고 해도 누군가의 인생을 쓴다는 쉽지 않았죠. 사람의 삶을 쓰다 보면 불가피하게 어떤 가치평가라는 들어가는데, 그런 것에 대한 고민과 감정의 소용돌이 때문에 주저하던 시간이 길었어요.”

마음을 잡고 글을 쓰려 해도 부모의 삶을 객관화해 바라보기는 어려웠다.태어날 때부터 아버지, 어머니였던 그들의 삶을 회고할 때마다 어떠한 한계에 부딪히는 답답함이 생기곤 했다. 그러던 그에게 돌파구처럼 단어가 떠올랐다.

“부모님께 들은 이야기나 제가 가진 정보만으로 인생을 써내기엔 턱없이 부족했어요. 그러다 아버지이기도 했지만 전에 세상을 살다 남자의 이야기라고 생각을 전환하니 비로소 보이는 삶의 궤적들이 있더라고요. 그때 떠오른 단어가 ‘심정’이었어요. 아버지는 결혼할 어떤 심정이었을까? 설렜을까? 엄마를 사랑했을까? 첫아이를 낳았을 어땠을까? 그런 심정에 대한 질문을 계속 던지기 시작했죠.”

부모의 심정을 헤아릴수록 교수는 가지 확신이 들었다. 누구보다 평범했던, 그래서 스스로그저 그런이라 표현할 정도로 보편적인 삶을 살았던 아버지와 어머니의 이야기야말로 시대의 심정을 대변할 있는 역사였다.

“아주 부자이거나 엘리트라서 시대가 주는 환경으로부터 자유로울 있었던 특별한 사람이 아니라면 부모님의 이야기 속에 동시대인들이 공감하는 놀라운 삶의 공통분모가 있으리라 생각했어요. 그들의 삶이 얼마만큼 우리 시대에 기록되고 전달되나 고민해보니 아들로서의 의무감을 넘어 사회학자로서의 책임감까지 생기더라고요. 어떤 형태로든 서둘러 이들의 삶을 남겨야겠다고 강하게 느꼈어요. 그때의 심정을 가지고 있는 당사자들은 오늘도 돌아가시니까요.”

 

유예된 사춘기, 어머니의 삶을 추적하다

젊은 시절 그들의 심정을 헤아리려 교수는 직접 추억의 장소를 찾아갔다. 아버지의 청년기를 간접 경험하기 위해 만주 선양, 일본 나고야를 순회했고, 어머니의 사춘기를 엿보고자 서울 종로구 창신동 일대를소녀 심정으로 걸어보기도 했다.

“엄마의 흔적을 따라서 창신동 꼭대기에서 출발해 효제초등학교까지 걸어갔어요. ‘나는 가난한 집에서 구박받는 소녀다라고 감정이입을 하고 길에 서니 그동안 보이지 않던 모습이 허깨비처럼 나타나기 시작했죠. 당시 산동네에서 내려오면 고래 등처럼 으리으리해 보였을 이화장, 조금 지나면 눈에 들어오는 경성제국대학, 거리를 오가는 예쁜 여대생과 멋진 신여성들을 보며 소녀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나도 공부를 열심히 하면 저들과 같은 삶을 살겠지라는 희망을 안고 학교에 가지 않았을까? 그러면서 끊어진 삶의 조각들을 이어갈 있었죠.”

소녀였던 어머니도 세월이 흘러 사춘기에 접어들었을 것이다. 교수는 6·25전쟁이라는 사건과 겹쳐 어머니는증발된 사춘기 보냈으리라고 짐작했다.

“아버지도, 어머니도, 역시 사춘기를 겪었지만 개인이 선택할 없는 역사적 사건들로 인해 너무나 다른 경험을 했어요. 특히 어머니는 전쟁통에 사춘기를 보내셔야 했죠. 원래 사춘기는 자기 감정을 그대로 노출하고도사춘기라는 핑계로 본인도 다른 사람들도 이해하고 넘어가잖아요. 그런데 그런 감정 표현을 허용하지 않는 전쟁을 겪으며 뭐든 꾹꾹 눌러 담고 숨기는 선수가 되어버리신 거죠. 유예된 사춘기를 보내셨다고 생각해요. 영향으로 어머니 또래 분들은 평생 하고 싶은 , 필요한 것을 드러내지 않고 사셨고요.”

아버지와 어머니의 삶을 파고들수록 절절히 전해지는 심정은 교수의 가슴을 더욱 아프게 했다. 그는 ‘아프다’는 말로는 부족해 마음이 ‘아리다’고 표현했다. 두 단어가 주는 차이는 ‘부모의 부재’를 경험해보지 않으면 모를 것이라는 설명이 뒤따랐다.

“장례를 치를 때만 해도 경황이 없어 몰랐는데, 마치고 집에 오니 슬픔이 밀려오더라고요. 힘든 일을 하고 집에 오면 엄마가 고생했네 우리 아들이라고 하는 익숙한 경험인데, 돌아왔을 아무도 없는 허전함이 컸어요. 칼국수를 먹다가도 느닷없이 엄마 생각이 나서 마음이 아리고…. 슬프고 힘든 남에게 설명이 돼요. 그런데 아린 감정은 말로 설명하려면 너무나 길고 복잡해서 표현이 되죠. 그전까지는 슬픔을 제어할 있는 어른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진짜 성인은 부모를 잃고 나서 찾아오는 아린 감정을 느끼고, 그것과 마주했을 스스로 대처하는 방법까지 아는 사람인 같아요.”

 

 

부모님을 기억하는 가장 좋은 방법

그는 아린 마음을인생극장 쓰면서 달랬다. 교수는 책을 엮는 동안이 극복의 과정이었고, 마치 산티아고 순례길을 다녀온 듯했다고 이야기했다. 그만큼 내면의 성숙을 경험한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전에는 새로운 일에 도전할 내가 이걸 성공했을 우리 아버지, 어머니가 좋아하시겠다라고 생각하며 용기를 얻었어요. 그래서인지 역설적으로 슬픈 일보다 좋은 일이 생겼을 마음이 아려요. 뭔가를 해냈을 아이고 우리 아들 장하네라는 환청까지 들리는데, 실제 전할 대상은 없잖아요. 그러면 앞으로 삶의 동력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이전까지는 부모의 칭찬을 기대하며 힘을 얻었다면, 요즘은 부모처럼 글로 전하지 못하는 삶을 이들과 이후 세대의 가교역할을 해내는 것을 새로운 동력으로 삼고 있어요. 그렇게 사회학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버지와 어머니를 기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이지혜 기자 jyelee@etoday.co.kr

사진 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bravo_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