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의 고향 뉴올리언스, '즉흥 음악’의 감동 아직도…

 

 

▲뉴올리언스의 버본 스트리트.

 

 

앞서 소개한 샹송, 칸초네, 탱고 등은 처음부터 다른 음악들과는 약간은 차별화된 느낌으로 접하게 되었지만 재즈는 어느 틈에 슬그머니 다가온 것 같다. 앞서 영화 이야기에서 소개했던 <사랑의 종이 울릴 때>에는 재즈 코넷 연주자 레드 니콜즈(다니 케이 분), 루이 암스트롱 등이 등장하여 20곡 이상의 재즈 명곡을 연주하였다.

 

그리고 고등학교, 대학교 때 본 여러 미국영화의 주제가나 배경음악은 물론 뮤직홀에서 듣던 음악 중에도 많은 재즈음악이 있었다. 그러나 재즈라기보다는 다만 듣기 편안하고 감미로운 미국음악이라고만 생각했다. 그러다가 ‘센트루이스 블루스’, ‘테이크 파이브’, ‘테이크 더 에이 트레인’ 유럽의 명곡 ‘고엽’, ‘맥 더 나이프’ 등을 본격적인 재즈로 연주하는 것을 듣고 재즈의 참맛을 알게 되었다. 빌리 할리데이, 엘라 피츠제럴드, 사라 본이나 냇 킹 콜, 프랭크 시나트라, 토니 베넷 등의 보컬재즈도 다른 팝송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재즈는 미국이 독립하기 전 프랑스 등 유럽 여러 나라에 점령당했으며 독립 후에는 흑인 노예시장의 중심지였던 미국 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에서 유럽의 다양한 음악과 흑인노예의 애환이 담긴 아프리카의 복잡한 리듬이 합쳐져 만들어진, 즉흥성이 매우 강한 미국음악이다.

 

그 시작은 19세기 말 행진곡에서 양식을 빌려온 피아노음악인 래그타임(Ragtime)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첫 번째 재즈 뮤지션으로 기록되고 있는 사람은 코넷 연주자인 흑인 찰스 버디 볼든(Charles Buddy Bolden)이다. 1895년 처음 선보인 그의 6인조 밴드는 래그타임을 즉흥양식으로 연주해서 최고의 인기를 누렸고 세기가 바뀔 무렵에는 뉴올리언스의 여러 밴드들이 집단적인 즉흥양식의 연주를 했다.

 

이러한 연주가 인기를 끌자 흑인들을 멸시하는 백인들조차 이를 모방하였으며 1917년에는 이들의 오리지널 딕시랜드(Dixieland, 미국 남부지방을 지칭함) 재즈밴드가 첫 음반을 내놓기도 했다. 뉴올리언스 시대를 장식한 초기 재즈 뮤지션으로는 1908년부터 활동한 조 킹 올리버(Joe King Oliver)를 빼놓을 수 없다. 그는 솔로 대신 집합 즉흥연주 스타일을 창안했고, 루이 암스트롱을 길러냈으며 뮤트(약음기)를 창안해서 연주에 사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음악의 중심이었던 베이진 스트리트에서 1917년 3명의 해군병사가 살해되어 이 거리가 폐쇄되자 올리버는 1919년 연주 무대를 시카고로 옮겼고, 다른 흑인 뮤지션들도 그 뒤를 따랐다.

 

 

▲프리저베이션 홀.

 

 

무대가 시카고로 옮겨진 뒤 이 음악에 재즈(Jazz)란 이름이 붙었다. 올리버가 이끌던 킹 올리버 크리올(Creole, 유럽인과 현지인 또는 흑인 혼혈) 재즈 밴드의 시카고 시대 절정기는 1920년대 초로, 트럼펫의 루이 암스트롱을 비롯하여 다른 연주자들의 즉흥 솔로 연주로 명성을 날렸다. 그는 1927년에는 마피아를 피해 뉴욕으로 옮겨 영화의 소재가 되기도 한 그 유명한 ‘코튼 클럽’에서 활동하면서 재즈의 뉴욕시대를 열었다. 경제공황을 극복한 미국의 사회상을 반영하듯 신나는 댄스음악인 스윙재즈가 1930년대를 휩쓸었다. 밴드의 규모가 커져 소위 빅 밴드(Big Band)시대가 시작되었고 베니 굿맨, 글렌 밀러, 듀크 엘링턴 등이 맹활약을 했다.

 

2차 대전 중 침체의 길을 걷던 재즈는 전후 기존 재즈의 틀을 완전히 바꾼 비밥(Bebop)이 등장하여 모던재즈의 효시가 되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반발로 쿨(Cool) 재즈, 하드 밥(Hard Bop)에 이어 퓨전(Fusion) 재즈에 이르기까지 재즈는 다른 장르의 음악들과는 달리 매우 다양하게 진화하면서 오늘날까지도 많은 재즈 팬들을 즐겁게 해주고 있다.

 

1997년 6월, 명지대에서 공과대학장을 맡고 있던 필자는 텍사스 A&M대학과의 자매결연을 위해 미국에 갔다가 틈을 내어 평소에 적어도 한 번은 꼭 가고 싶던 재즈의 본고장 뉴올리언스를 방문하였다. 집사람과 함께 오전에 200여 년 전의 프랑스풍 주택들이 아직도 그대로 남아 있는 주택가 등 시내관광을 끝내고 오후에는 말로만 듣던 대망의 프렌치 쿼터로 갔다. 먼저 강가로 가서 강변도로(Riverwalk)를 거닐며 말로만 듣던 미시시피 강의 경치를 구경한 후 그곳에서 멀지 않은 잭슨 스퀘어와 그 앞에 있는 세인트루이스 대성당을 둘러보았다.

 

그리고 프렌치 쿼터의 중심 격인 버본 스트리트로 가보니 길 양쪽에는 크고 작은 재즈 바(Bar)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고 노상공연을 하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었다. 양쪽 길가에서 들려오는 재즈를 만끽하며 거닐다가 ‘Razzberrie Ragtimers’라는 간판이 붙은 한 바가 마음에 끌려 들어가 보았다. 당시만 해도 한국인은 물론, 동양인 관광객이 그리 많지 않을 때라 필자가 집사람과 함께 들어가자 약간은 의아한 듯이 맞아주었다. 시원한 생맥주를 마시며 센트루이스 블루스를 청하자 동양인이 그런 곡도 아느냐는 듯 놀라는 표정을 지었다.

 

자리가 모자라 합석했던 한 젊은 미국여자는 열심히 일해 돈이 모이면 이곳에 한 번씩 다녀가는 것이 삶의 가장 큰 즐거움이라고 했다. 저녁 8시에는 전통적 뉴올리언스 재즈를 보존,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된 프레저베이션 홀에 가서 45분간에 걸쳐 당대 최고 재즈 뮤지션들이 연주하는 ‘성자들의 행진(When The Saints Go Marching in)’, ‘조지아 온 마이 마인드’, ‘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등 10여 곡의 귀에 익은 금쪽같은 연주를 만끽하였다. 재즈를 이야기하자면 지금은 주로 R&B(리듬 앤 블루스)를 부르지만 본래는 재즈가수로 출발한 고교동창의 딸 서영은 양의 주례를 섰던 일도 잊지 못할 추억이다.

 

 

 

임성빈(任聖彬) 현재 명지대 명예교수, 월드뮤직센터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