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부터 걷기와 가까울 수밖에 없었다. ‘고비’라는 말과 맞닿아 있던 삶. 다양한 운동 방법이 세상에 넘쳐나지만 걷는 그에게는 최적, 최상, 최고의 선택이었을 게다. 극복을 위한 아주 원초적 접근 방법. 한 발짝 발짝 내디뎌 무조건 길을 나선다. 걷는다. 여행한다. 궁극의 선택 안에서 자유를 찾고 행복한 인생을 살아가는 느낌은 어떤 것일까?

“내가 목소리만 좋았으면 배우가 됐을 거예요!(웃음)”

사진을 찍는 동안 오십 넘은 중년의 얼굴이 어린 소년처럼 한껏 생기가 넘친다. 모델로서 이런 포토제닉 또한 오랜만이다. 기본적으로 재밌고 대화하는 상대를 편하게 해준다. 자신에 대한 사랑까지 충만하다. 삶의 중요한 부분이라는 걷기에 여행 이야기가 더해지니 함께하는 시간이 즐겁다. 최근 ‘마흔 넘어 걷기 여행’이라는 책을 걷기 여행 전문가(?)이자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신경정신과 김종우(金鍾佑·53) 교수를 만났다. 대한민국은 물론이고 세계의 걷기 성지까지 두루두루 섭렵했다.

“제 나름대로 하고 싶은 말이 있어서 걷기 여행에 관한 책을 쓰게 됐습니다. 제 삶의 철학 하나죠. 여행을 가더라도 걷자! 대학생인 딸도 그렇고 저보다 어린 직장인, 병원 레지던트들이 들려주는 여행 이야기도 그렇고. 좀처럼 재미가 없어요. 안타까워요. 어디를 가도 장소를 점처럼 찍어서 가요. 마치 사진작가처럼, 먹는 것을 찾아 떠난 셰프처럼 그렇게요.”

선을 연결해 영토를 확장하듯 면을 만들고 입체적인 그림을 그려가는 걷기 여행이다. 돈도 적게 들고 좋은 것도 많이 있다. 여행자 자신의 관심사를 명확히 알게 해주기 때문에 걷기 여행이 매력적이라고..

“걷기는 인간의 본능적 행동이자 의도하는 바를 이루게 하는 행위이죠. 여행은 반복된 일상에서 벗어나서 진짜 나를 찾아가는 작업이라고 정의하고 싶어요. 걷기와 여행이 결합하면 떠나는 순간부터 마칠때까지 여정 속에 빠져서 자기 자신을 찾고 새로운 많은 것을 발견할 있게 됩니다.”

 

 

걷기에 의사의 해석이 더해지다

걷기 여행에 관해 이야기하기 전에 걷기가 뭔지 들어보기로 했다. 걷기에는 운동이라는 요소와 철학이라는 요소가 맞물려 있다고 김종우 교수는 말한다. 걷기를 통해 얻어지는 것이 육체적인 성취뿐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걸으면서 여행하고, 세상을 보고, 사람을 만나고, 문화를 가까이서 느낄 있다. 이 모든 것을 포함할 있는 단순하지만 놀라운 행위가 걷기다.

“한 일간지에서 걷기 시간 해봤자 운동 효과 제로라는 제목의 기사를 적이 있어요. 그래서 제가 요즘 쓰고 있는 문화일보 고정 칼럼에 ‘걷기는 굉장히 중요한 인간이 가지고 있는 숭고한 철학이 담긴 활동’이라는 글을 쓰기도 했습니다. 걷기를 그냥 운동이라고만 생각하면 그건 걷기가 아니죠.”

스트레스와 화병 전문가인 김종우 교수는 오랜 기간 월간지에서 주최하는 건강캠프 등에서 상담과 주치의를 맡아왔다. 한의학을 하다 보니 스트레스 치료의 가장 좋은 조건이 자연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했다.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사람들 대부분 활동량이 많이 떨어집니다. 가장 해결책이 어떻게 하면 활동량을 늘리느냐 하는 점이죠. 그런 사람들에게 있어 자연만 좋은 환경은 없죠. 물론 자연에서 어떤 방법을 것인가도 중요하겠지만 조용히 걷고 사색하는 것만으로도 심적 치유를 느낄 있습니다.”

 

걷기 여행이 주는 매력을 말하다

치유 프로그램이나 트레킹 스태프로 참여할 때마다 하나의 주제를 선정해 참여자들과 토론을 하고 강의도 한다. 선정된 주제에 관련한 책들을 먼저 많이 읽어두고 느낌을 걸으면서 계속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했다.

“스태프로 참여할 때는 걷기와 관련해 훨씬 많은 철학적 의미를 부여하게 됩니다. 걷기 여행의 콘셉트을 제대로 가지고 가고 싶어서요.”

문득 걷기 여행을 예찬하는 김종우 교수가 이렇게 스스로 준비해 참가자들과 철학적 의미를 찾아 떠나는 여행이 부담 되지 않는지 물었다. 예전부터 자신도 비슷한 방식으로 여행을 해왔기 때문에 괜찮다고 했다.

“그리고 나이 오십이 넘으면 내가 얻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얻은 것을 전해야죠. 선생의 즐거움은 가르침을 주는 것이잖아요. 가르침의 즐거움이 없으면 선생을 필요가 없죠.(웃음)”

김종우 교수는 일반인과 함께 참여하는 걷기 프로그램을 즐긴다. 아침 6시부터 밤 12시까지 걷고 명상하는 일을 반복하지만 행복한 시간이라고 했다.

“저는 정말 굉장한 스태프예요.(웃음) 아침 6시부터 명상이나 새벽산책을 해요. 이때는 주로 육칠십대 분들이 참여합니다. 그리고 두시간 걷죠. 아침식사를 하고 한나절을 걷고 점심을 먹고 걸어요. 저녁식사 후에는 허리나 무릎에 침을 놔줘요. 물집도 따주고요. 그러고 나서 오후 8시, 9시쯤 되면 산책을 나가요. 그때는 사오십대가 많이 가세요. 대신 사람들은 다음 새벽에 절대 나와요. 저는 다시 아침 6시부터 밤 12시까지 걷죠. 풀타임으로요.(웃음)”

그렇다면 하루 가장 걷기 좋은 시간은 언제일까? 김종우 교수는 이른 아침 통이 트기 시작할 때를 꼽았다. 도시건 자연이건 가장 근본적인 원초적 에너지를 만날 있는 시간이 바로 새벽이라는 것이다.

“가장 접점은 때거든요. 여명이 깃들 도시와 자연은 정말 달라요. 자연은 특히 이탈리아의 돌로미티 같은 곳에 가면 지구가 돌아가는 소리가 들려요. 새벽에는 도시의 풋풋함이 느껴집니다. 자연의 기운을 그대로 몸에 받아들이는 것이 명상인데 새벽에는 장애요소들이 없잖아요. 새벽 산책은 도시건 자연이건 각성, 깨달음을 느낄 있는 최적의 시간이에요. 만약 도시여행이라면 해가 뜨고 나서 호텔로 돌아가기 전에 카페에 들러 에스프레소와 크루아상 하나 먹으면 최고죠. 그리고 새벽에 걸으면 배는 여행할 있고요.”

 

 

모두가 말린 히말라야에 오르다

걷기 프로그램 주치의로 활동하다 급기야 히말라야 트레킹에까지 참여하게 됐다. 히말라야는 김종우 교수가 가서는 장소였다.

“저는 살, 일곱 심장병으로 수술을 받았습니다. 중·고등학교 때는 뛰지를 못하니까 체육시간에 맨날 낙오됐어요. 30대 중반에 부정맥 증상이 나타나서 반복적으로 응급실에 갔었고 중환자실에도 들어갔다 왔고요. 그런 저에게 히말라야가 다가왔습니다. 무조건 간거죠.”

이런 제안이 없으면 언제 히말라야에 가보나 생각했다. 심장병 주치의가 말렸지만, 비아그라를 처방받아 네팔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아무 생각 없이 말이다.

“도보 코스도 굉장히 좋았고 마지막에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모든 것이 너무 좋았어요. 1000m에서 2000m, 3000m 갈 힘들어지는데 산은 올라갈수록 에너지가 생겨요. 반복적인 리듬으로 계속 가다 보면 걷는 쉬워지거든요. 트레킹을 아주 재밌고 멋지게 다녀왔죠.”

웃으면서 얘기했지만 사지 보행을 하면서 힘들게 올라갔다는 고백(?)을 받아냈다. 그 후로 스페인 순례자의 길인 산티아고를 비롯해 이탈리아 아말피 해안도로와 터키의 리키안 웨이 세계 유수의 트레킹 코스를 다녀왔다. 그렇게 걸어 다니면서 지키는 법칙이 있는데 밤 12시에는 반드시 잔다는 것.

“일과를 마치고 나면 마을 사람들이 다니는 선술집에 가요. 맥주 한 병 혹은 와인 잔이 적당하죠. 그리고 함께 걸었던 사람들과 여행 이야기를 해요. 사람들이 똑같은 길을 온종일 걸었다고 칩시다. 그럼 똑같은 거만 볼까요? 얘기를 하다 보면 훨씬 다양한 느낌이 와요. 그러고는 밤 12시에 취침에 들어가는 거죠.”

 

가족과 함께 나서는

프로그램을 통해 걷기 여행을 하는 것은 아니다. 어렸을 때부터 걷기 여행 조기교육을 받은 대학생인 아이들과 아내가 함께 때도 있다. 작년에는 호주의 그레이트 오션 워크를, 올해는 일본 순례자의 길인 오헨로에 다녀왔다.

“그레이트 오션 워크는 100km인데 3일 동안 60km를 걸었습니다. 어렸을 때도 아이들이 배낭 메고 10km, 20km 걸었거든요. 일본 시코쿠에 1400km의 오헨로 길이 있어요. 88개의 절을 지나는 순례길이죠. 한 갔을 걸으려면 45일은 걸립니다. 저는 직업도 있고 일을 하는 사람이니까 딱 10년 계획을 세웠어요. 1년에 일주일 정도 120km만 걷자. 아내하고 아이들 데리고 갔어요. 그런데 기특하게도 우리 애들은 걷자고 하면 걸어요.”

물론 가족들과 가면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 계속 걷기보다는 도시 여행도 한다. 오헨로 여행 때는 이틀은 걷고 이틀 노는 방식으로 가족들과 시간을 보냈다. 다음 달에도 오헨로 길을 가는데 아내와 6일 내내 걷기로 했다.

“아내가 좋아하니까요.(웃음) 나 혼자 즐기는 억울해서 가는 거겠죠. 그런데 아내가 대단한 것이 10년 동안 길을 걸을 계획이라니까 일본어를 공부하기 시작했어요. 떠날 때마다 제안하겠지만 아마도 아내랑 함께 걷게 같아요.”

 

 

생사를 넘나드는 속에서 얻은 깨달음

“언제 죽어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살면서 번의 전신마취를 했다. 그때 깨달았다. 수술대에 오르락내리락하면서 굴곡진 또한 없이 걸었다. 명상하고 마음을 다잡고 하는 벌써 오래전에 끝냈다는 김종우 교수.

“삶에 대해 골똘히 생각해봤자 달라지지 않아요. 문득 떠오르는 생각 속에서 ‘내가 이렇게 살아왔구나!’ 하고 한두 깨달으면 됩니다. 내면의 찾겠다고 해봤자 삶이거든요.(웃음)”

초에도 번이나 힘든 일들을 겪었다. 1월에 맹장염이 복막염으로 번졌다. 수술 도중에 담석이 발견됐지만 곧바로 제거하지 못하고 다음으로 미뤄야 했다. 심장이 약해 전신마취가 쉽지 않았던 것. 결국 일본 오헨로 여행을 다녀온 후에 담석 제거를 했다.

“간단한 수술이기는 한데 일본 트레킹 가서 아이들한테 그랬어요. 아빠는 언제 갈지 모른다고요. 너희들 대학교까지 보내고 키워놨으니까 언제든 혼자 있겠다고 말했죠. 물론 먹으면서 풀어서 대화했습니다. 우리가 걷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자연과 교감을 하는 것이죠. 건강한 삶을 추구하지만, 또 언제든지 죽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이니까요. 자연의 이치 같은.”

가보고 싶은 길이 있냐고 물었다. 어디를 가도 좋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학회 때문에 미국 미니애폴리스에 갔을 때도 3시간씩 걸었어요. 어디가 중요한 것이 아니죠. 걸을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좋습니다. 적당한 장소에 에스프레소와 크루와상이 있으면 정말 끝내주겠죠.”

 

김종우 교수가 알려주는 오래 걷는 방법

처음에 가장 중요한 것. 발을 내디딜 발뒤꿈치부터 바닥에 닿아야 한다. 걸으면서 약간 속도를 냈다가 늦췄다 하면서 알맞은 보폭을 찾는다. 걸을 시선은 정면을 향하고 목과 허리를 똑바로 세운다. 배에 힘을 주고 가슴을 활짝 보폭과 맞는 속도로 걷는다. 똑바른 자세를 취해야 3시간 혹은 4시간, 8시간을 걸을 있다. 좀 바른 걸음걸이를 위해서 되도록 스틱을 사용한다. 내리막길에서 스틱 사용은 관절 보호에 도움이 된다. 특히 걷기 여행을 준비한다면 평소 매일 일정량의 계단 오르는 연습을 하면서 뼈와 근육의 힘을 놔야 한다.

 

 

권지현 기자 9090ji@etoday.co.kr

사진 박규민 parkkyumin@gmail.com  bravo_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