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화만사성의 조건 Part 3]
집안 대대로 술 빚는 전통의 藝道酒家 - 전통주 名人 유민자·정재식 모자
▲경상남도 하동의 유씨 가문이 대대로 전수해 온 가양주, 옥로주를 계승하고 있는 유민자 명인
(좌)과 그의 아들 정재식 대표(우).
마침내 소줏고리의 주둥이 끝에 작은 이슬이 맺힌다. 마치 옥구슬 같은 이슬이 한 방울씩 떨어질 때마다 정재식(鄭宰植·53) 예도(藝道) 대표의 표정이 사뭇 심각해진다. 그러기를 잠시, 이슬이 모여 물결을 일으키기 시작하자 부드럽고 무거운 향이 주위를 감싼다. 향기의 끝에서 달콤함이 느껴지자 안심했다는 듯 어머니 유민자(柳敏子·73) 명인이 허리를 펴고 일어난다. 유씨(柳氏)가문의 가양주 옥로주가 완성되는 순간이다.
옥로주(玉露酒)는 경상남도 하동의 유씨 가문이 대대로 전수해 온 가양주다. 가양주(家釀酒)란 말 그대로 집에서 담근 술. 유민자 명인은 어린 시절 집안에서 담가오던 술을 기억했다.
“집안 어른들이 매년 술을 담갔던 것이 기억나요. 늘 그것을 보고 자랐으니까. 일제 강점기 때는 술 빚는 것이 금지됐지만, 몰래 담가 대나무 숲에 묻어두기도 했어요. 순사들이 귀신같이 찾아내 깨부수면 다시 빚기를 반복했어요.”
그렇게 대대로 이어진 집안의 비기(秘技)가 자연스레 전수돼 평탄하게 이어져 온 것으로 예상했지만, 뜻밖에 숨은 사연이 많았다.
“부친으로부터 전수받은 기술을 현대화하기 위해 아들이 나서주었죠. 아들은 과거의 기록들을 발굴하고 국가로부터 인정받기 위해 경상대학교, 동국대학교 등 여러 곳을 다녔습니다. 또 궁중요리가도 만나 옥로주를 인정받기도 했어요. 덕분에 1994년에 무형문화재로 등록될 수 있었어요. 그리고 아들은 원하던 미술공부를 위해 프랑스로 떠났죠. 그게 아쉬워요.”
1996년 유 명인은 정부의 전통식품 명인 10호로 지정돼 정통성을 인정받았다. 처음에 사업은 잘되는 듯했다. 옥로주의 맛과 향에 애주가들이 매료돼 술은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갔다. 연 매출 10억원을 넘어섰고, 당시 김대중 대통령에게 직접 ‘진상’하는 영광까지 맛봤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에선 만찬주로 선정됐다.
하지만 평생 술에만 매달렸던 장인이 경영에 능숙할 리 없었다. 아들의 부재도 독이 됐다.
“제가 손이 커서 여기저기 술을 퍼주기도 했고, 술의 인기가 높아지자 경영에 다른 사람들이 참여한 것도 문제였죠. 엄청났던 주세(酒稅)를 고려하지 못했던 것도 실수였어요.”
결국 엄청난 규모의 부도가 났고, 빚을 떠안게 됐다.
당시 아들인 정재식 대표는 술과 거리가 먼 삶을 살고 있었다. 프랑스 유학을 마치고 귀국해 1998년부터 대학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한국미술협회 판화분과 위원장을 맡을 정도로 미술계에서 확고한 자리를 잡은 상태였다. 그러다 2013년 학교를 떠나 지금의 예도를 설립한다. 가문과 어머님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학교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고 정 대표는 이야기한다.
“어머니가 그동안 쌓아 올린 명예가 무너지는 것을 볼 수는 없었으니까요. 옥로주는 어머니의 희로애락이 담겨 있는 술이기도 하고요. 전혀 다른 분야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술을 빚는 것이나 미술은 한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장인정신이 필요하다는 동질성도 있고. 예도주가(藝道酒家)라는 이름을 쓰기 시작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실제로 정 대표는 본인의 미술적 감각을 살려 옥로주를 담는 술병을 직접 디자인했다.
유민자 명인은 비록 작은 규모의 공장으로 다시 시작하게 되었지만, 아들에게 집안의 전통을 물려줄 수 있게 된 것에 무척이나 안심하고 있다.
▲경상남도 하동의 유씨 가문이 대대로 전수해 온 가양주, 옥로주를 계승하고 있는 유민자 명
인(우)과 그의 아들 정재식 대표(좌).
“술을 빚는 것은 엄청나게 까다롭고 예민한 작업이에요. 파리 한 마리만 입을 대도 쉬어버리는 것이 술이니까요. 이젠 옛날 방식으로 누룩을 만드는 곳도 거의 사라져 누룩을 재현해 내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속 편히 술을 만들 수 있으니 행복하지 않을 수 없죠.”
옥로주가 가업으로 계속 이어질 수 있을까 하는 질문에 두 모자는 함께 고개를 끄덕인다. 대학생인 아들이 벌써 관심도 많고 가끔 돕기도 해, 후대는 걱정없다는 것이 정 대표의 설명이다.
그렇게 명인이 직접 버무리고 빚은 술은 2014년부터 본격 제조되기 시작돼 올가을 추석 대목을 맞이해 출하할 예정이다. 전통주의 깊은 향을 더욱 살리기 위해 3년 숙성을 기본으로 하겠다는 다짐이다. 현재는 과거 옥로주의 깊은 향을 잊지 못하는 애호가들을 대상으로만 주문 판매하는 상태다.
정 대표는 “옥로주의 장점은 부드러운 목넘김과 깊은 향에 있습니다. 율무가 들어가 술이 부드럽고, 독하지만 금방 취하고 금방 깨며 숙취도 없습니다. 술이 장(腸)까지 내려가기 전에 깬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니까요.(웃음)”라고 말했다.
글 이준호 기자 jhlee@etoday.co.kr
사진 이태인 기자 teinny@e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