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잘못 만든‘마요네즈’는 없다

 

 

 

 

때는 18세기 중반. 유럽 열강들이 해외 식민지를 놓고 전쟁의 소용돌이에 빠져들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1755년 9월 북아메리카에서 전쟁을 시작한 영국과 프랑스가 지중해에서 맞붙은 것이 1756년 5월의 미노르카 해전이다. 이 해전을 계기로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 등이 개입하면서 유럽 전역으로 7년 전쟁이 확산되었다는 것이 역사학자들의 분석이다.

 

발단은 1708년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영국이 지배하고 있던 미노르카섬(현재는 스페인령)을 프랑스군이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침공 소식을 접한 영국은 즉각 지브롤터에 있는 존 빙 제독에게 미노르카를 지원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빙 제독이 부족한 전함과 해군을 이끌고 부리나케 미노르카섬으로 갔지만 이미 섬의 대부분은 프랑스군이 점령한 상태였다.

 

다만 한 군데 마혼(Mahon) 항구의 수비병들만이 고립된 상황에서도 완강하게 저항하고 있었다. 이들을 구원하기 위한 작전에 돌입하면서 영국함대와 프랑스함대 사이의 전투가 시작되었다. 교전에서 침몰한 배는 없었지만 일부 함선이 심각한 피해를 입자 빙 제독은 마혼의 수비병들을 포기하고 지브롤터로 퇴각하고 말았다.

 

이 해전은 이후 두 가지로 유명세를 치르게 된다. 하나는 빙 제독이 수비병들의 구원을 포기한 것과 패전의 책임을 지고 총살형을 당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팔리고 있는 샐러드용 소스 ‘마요네즈’의 탄생이다. 빙 제독의 영국 함대가 물러나자 마혼을 점령한 프랑스군은 승전 축하 파티를 열기로 했다. 하지만 상당 기간 치열한 전투를 치른 뒤라 남아 있는 음식이 거의 없는 상황이었다. 섬 여기저기에서 푸성귀는 구해왔지만 소스, 즉 드레싱(dressing)이 문제였다. 그나마 있는 재료라고는 달걀, 올리브오일, 소금과 설탕, 식초 정도가 전부였다.

 

경황이 없던 요리사는 궁여지책으로 이 재료들을 한 통에 넣고 마구 휘저었다. 그런대로 먹을 만하다고 여긴 요리사가 이 소스를 뿌린 야채샐러드를 파티장으로 내갔다. 프랑스군은 이 생소한 소스에 열광했다. 담백한 것 같으면서도 고소한 데다 살짝 새콤함까지 곁들여진 맛이라니!

 

당시 프랑스군과 함께 있던 리슐리외 추기경이 이 새로운 소스에 마온(마혼의 프랑스식 발음, 프랑스어에서는 ‘h’가 통상 묵음)의 승리를 기념하는 의미로 ‘마오네즈(Mahonnaise)’, 즉 프랑스어로 ‘마온의 소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것이 세계인이 사랑하는 소스, 마요네즈의 시작이었다. 이후 ‘h’가 ‘y’로 바뀌면서 ‘마요네즈(Mayonnaise)’로 불리게 되었다.

 

이쯤에서 본론으로 들어가자. 100세 시대에 은퇴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하면 누구나 “그럼요, 필요하지요”라고 대답한다. 하지만 “당신은 노후준비가 어느 정도 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노후에 쓸 돈은 충분하십니까? 돈을 넘어 노후에 누구와 뭘 하면서 시간을 보낼 생각인가요?”라고 파고들면 그때부터 머리가 지끈거리기 시작한다. 중·장년층은 이처럼 은퇴설계라면 골치 아파 하면서 지레 겁부터 내거나 남의 일처럼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은퇴설계가 그렇게 어려운 게 아니라는 게, 마요네즈를 만드는 것처럼 생각보다 쉽다는 게 필자의 주장이다.

 

“아니, 마요네즈와 은퇴설계? 둘이 무슨 상관이 있나?” “마요네즈 하면 입맛이 돌지만 은퇴설계 하면 입맛이 없어질 것 같은데~” “요즘 쿡방이 유행이라니까 은퇴설계에 요리를 잘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건가?”

 

인터넷에서 마요네즈를 치면 만드는 법이 많이 올라와 있지만 거의가 대동소이하다. 그중에서도 ‘낙심한 요리사의 기적’이라는 제목의 글을 보면 위에서 언급한 내용이 자세하게 나와 있다. 파티 음식은 만들어야 하고 재료는 없어서 낙심한 요리사가 “에라 모르겠다, 될 대로 되라지~”하면서 만들어낸 것이 기적처럼 맛을 냈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마요네즈처럼 만들기 쉬운 드레싱도 없다고 한다. 오죽하면 ‘세상에 잘못 만든 마요네즈는 없다’라는 말이 생겨났겠는가?

 

그럼 마요네즈를 실제로 만들어보자. 슈퍼마켓에서 사다 먹으면 되는 걸 왜 귀찮게 만드느냐고 하는 분도 있겠지만 한번쯤 시도해 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마요네즈는 생각보다 만들기 쉬울 뿐아니라 내 입맛에 맞는 것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좀 더 달달한 걸 원한다면 설탕을 좀 더 넣으면 되고 신 맛이 필요하다면 식초를 조금 더 넣는 등 내 입맛에 맞을 때까지 이것저것 적절하게 넣으면 되는 것이다.

 

은퇴설계 역시 정해진 왕도는 없다. 이 금융회사, 저 금융회사, 이 전문가, 저 전문가들이 다 다른 말을 하는 것 같고 내용도 다 달라 헛갈리는 것 같아도 결론은 하나. 노후에 내가 살 집을 내가 직접 설계하고 짓는다면 전문가들이 뭐라뭐라 해도 결국은 내가 내 입맛에 맞게 이것저것 빼기도하고 넣기도 하면서 내가 원하는 집을 짓는 것이 은퇴설계인 것이다.

 

물론 마요네즈와 은퇴설계가 다른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마요네즈는 정 마음에 안 들면 내다버리면 그만이지만 은퇴설계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바꿀 수는 있어도 버릴 수는 없고 대부분을 안고 가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중간에 뭔가를 바꿔 끼울 때는 어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처음 시작할 때부터 둘 이상의 전문가들 조언과 경험을 잘 듣고 나한테 맞는 설계를 선택해야 한다.

 

은퇴설계가 마요네즈와 또 다른 점은 유효기간이 길 뿐아니라 고려해야 할 여건이 매우 많다는 점이다. 수제 마요네즈는 만들어서 금방 먹는 게 프랑스군이 먹었던 것처럼 가장 맛있을 것이다. 반면 은퇴설계는 금방 먹는 게 아니라 두고두고 먹어야 한다. 사실 죽을 때까지 먹어야 하는 것이라면, 게다가 언제 죽을지도 모르는 가운데 죽을 때까지 먹어야 하는 것이라면 좀 더 조심스러우면서도 전문가의 조언과 경험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마요네즈처럼 쉬운 게 은퇴설계라더니 결론은 어렵다고 내는 것 같지만 이것저것 듣다보면 나만의 노하우가 생기는 게 은퇴설계라는 것이다.

 

따라서 전문가는 물론 주위의 여러 선배들에게 조언을 구하는 발품을 팔아야 한다는 것이다. 선배들의 성공과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은퇴설계는 없기 때문이다. 마요네즈가 낙심한 요리사의 기적이라면 은퇴설계는 낙심한 은퇴자 또는 은퇴를 앞둔 사람의 기적이 될 수 있다. 특히 그 기적은 낙심하고 포기하는 데서 오는 게 아니라 뭐라도 만드는 데서 시작하는 것이다.

 

 

 

최성환(崔聖煥) 한화생명 은퇴연구소장·고려대 국제대학원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