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고인에게 상복(喪服)을 입힐까

 

 죽은 사람에게 입히는 옷이라고 알고 있는 수의(壽衣)는 우리 전통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단어다. 엄밀히 따지면 장례 과정에서 염과 습을 할 때 입히는 옷이라고 해서 습의(襲衣)라고 부르는 것이 맞다. 수의라는 단어는 일제강점기 시절 일제가 의례준칙을 통해 임의로 뜯어고친 예법을 우리 민족에게 강요하는 과정에서 변질된 단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 과정에서 변질된 것은 또 있다. 바로 삼베수의의 등장이다. 현재 우리 장례문화에서 삼베수의는 표준이 된 상태. 일부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삼베수의는 가격이 1000만원을 넘기도 한다. 대통령 중 가장 최근에 사망한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도 황금색 삼베수의를 입고 국립묘지에 잠들어 있다. 그런데 왜 삼베수의가 문제라는 걸까?

 

 

 최근 한 편의 논문이 학계의 관심을 불러일 으켰다.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최연우 교수의 ‘현행 삼베수의의 등장배경 및 확산과정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이다. 일제가 죄수복을 상징하는 삼베로 짠 수의 를 어떻게 우리나라에 확산시켰는지 확인 하도록 해주는 연구였기 때문이다. 최 교 수는 연구 과정에서 한 권의 책 <조선재봉 전서(朝鮮裁縫全書)>에 주목했다.

 

“삼베수의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1925년 발간된 이 책을 통해서예요. 김숙당이 쓴 최초의 전문 재봉 서적인데 그동안 김숙당이 어떤 사람인지 알려지지 않았어요. 그 러다 조사를 통해 식민통치 기관이었던 평 양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교원으로 근무 했던 사실을 확인했죠.”

김숙당은 당시 우리의 전통문화와는 거리 가 멀었던 삼베수의를 이 책을 통해 강조한 다. 최 교수는 일제가 우리 민족의 자원을 수탈하기 위해 철저한 사전 준비를 했고, 삼베수의가 등장한 것도 그 연장선상에 있는 것 아니겠냐고 추측한다.

 

“결국 그 후 의례준칙을 통해 삼베수의는 명문화돼요. 기록을 살펴보면 1934년에 의례준칙이 제정됐고, 삼베와 무명을 수의로 사용한다고 규정했죠. 일제는 이렇게 규칙을 정해놓는 것으로 끝낸 것이 아니라 의례 준칙시행서를 통해 지방별로 이 규칙을 실 행하도록 강제했어요. 각종 단체와 기관도 동원됐습니다. 당시 이렇게 절약된 비단이 일본 신사에 바쳐졌다는 기록도 있어요.”

 

일제가 준 영향은 우리의 장례문화 곳곳에 자리 잡고 있다. 영좌(靈座) 주변이 국화로 장식되는 것이 대표적 사례다. 국화는 일 본 왕실을 상징하는 꽃이다. 우리 조상들 은 장례에서 생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전통이었다. 대신 종이꽃을 사용했다.

유가족이 팔 완장과 가슴에 리본을 착용하 는 것도 일제의 잔재 중 하나다. 학계에선 일제가 군중이 모이고 군중의 활동이 만세 운동으로 변질되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해 장례를 가족 중심으로 간소화하고 구분을 위해 가족에게 완장을 차게 했다는 이야기도 했다.

최 교수는 “일본에 의해 강제로 피해를 입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의 장례에 서도 고인이 마지막으로 삼베수의를 입고, 국화꽃으로 조문을 받는 것이 답답했고, 완장과 리본을 찬 상주들을 보면서 가슴이 아팠다”고 말했다.

 

 

삼베는 죄인을 위한 옷감

그렇다면 우리 조상들은 수의로 어떤 옷을 입었을까. 을지대학교 장례지도학과 이철 영 교수는 가장 좋은 옷을 생각하면 된다고 말한다.

이 교수는 “삼베수의가 잘못 전해지고 있 는 전통이라는 것이 학계에선 잘 알려진 사 실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일반적으로 평상 복 중에서 가장 좋은 옷을 수의로 지어 입 었습니다. 당연히 비단과 같은 재료가 많 이 쓰였고요. 평소에 옷감으로 사용되지도 않는 삼베를 수의로 입는다는 것은 상상하 기 어려웠죠.”

 

실제로 조선시대 때 삼베로 만든 옷은 범죄 자들이 입는 죄수복으로 쓰였다. 조상들이 삼베옷을 ‘상복’으로 사용한 것은 상주나 가족은 ‘부모님을 죽음에 이르게 한 죄인이 자 불효자’라는 개념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 자식된 도리로 스스로 고행한다는 의미 도 포함되어 있다. 이런 의미의 상복을 우 리는 고인에게 입히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베수의 관습이 지속 된 것은 일제의 의례준칙 영향을 받아 만들 어진 가정의례준칙 때문이라는 의견도 많 다. 1969년 가정의례준칙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는데 ‘식물성 의복 또는 수의를 갈아 입히고 입관한다’는 표현이 나온다. 삼베수 의가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또 삼베수의가 정착된 배경 중 하나로는 삼 베가 대마라는 특수한 작물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 대마는 환각제인 대마초의 재료가 되는 식물이기에 1977년 국가에서는 대마관리법을 제정하고 대마 재배를 허가제로 변경한다. 이러한 제도적 변화는 늘어나는 삼베수의의 수요에 비해 공급이 제한되는 결과를 낳았고, 이를 좌 지우지하는 유통상들에게는 커다란 이권 이 됐다.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에서 복원한 전통 수의 천상의 면류관

 

 

영원히 입는 옷, 수의

그렇다면 수의는 조상들에게는 어떤 옷이 었을까. 최연우 교수는 이렇게 설명한다.

“보통 수의를 인생에서 마지막에 입는 옷 이라고 생각하잖아요. 하지만 우리 조상들 은 영원히 입는 옷이라는 개념도 가지고 있 었죠. 육체가 있는 상태에서 마지막까지 입고 있다가 제사나 차례와 같은 강신(降神) 과정에서 입고 나타나는 옷도 마지막 에 입었던 수의가 되는 것이죠. 그래서 당 시 예서를 살펴보면 환갑이나 진갑이 되면 수의를 미리 준비하는 풍습이 있었음을 알 수 있어요.”

 

가장 좋은 옷을 입기 위해 관리는 관복을, 유학자들은 하얀 심의를 입었다. 여성은 혼례복으로 입던 원삼을 입기도 했다. 최 교수에 따르면 한 종가집 종부는 혼례식에 입었던 옷을 수의로 다시 준비하면서 “땅 으로 시집간다”는 표현을 썼다고 한다. 실 제로 묘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출토되는 전 통복식들을 살펴보면 우리 조상들은 비단 으로 만들어진 화려한 색상의 옷들을 입었 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전통 수의를 지키려는 노력은 연 구로 끝나지 않았다. 출토복식 전시회를 통해 일반인에게 우리의 전통 수의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하기도 했 고, 또 전통 수의의 복원이 이뤄지기도 했 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고 김대중 전 대통 령이 입었던 곤룡포 수의다. 김 전 대통령 생전에 단국대학교 측이 이희호 여사에게 제안해 미리 준비해놨던 전통 수의가 장례 식에서 사용됐다. 곤룡포는 조선시대 때 국상에서 망자(임금)가 입었던 수의다. 단 국대 측은 아예 전통복식을 따르는 수의를 보급하기 위해 ‘단국상의원’이라는 회사를 설립해 전통 예복을 판매하고 있다.

 

 

글·사진 이준호 기자 jhlee@e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