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촌 관련 인터뷰 글을 연재하며 다수의 귀촌·귀농인들을 만나봤다. 어떤 이들은 만족을 표했다. 어떤 이들은 고난을 주로 토로했다. 만족을 표한 이들 역시 정착에 이르기까지의 시련 술회하기를 생략하는 법 없었으니, 귀촌·귀농이란 대체로 일련의 애환과 동행하는 장정임을 알 만했다. 과연 시골생활의 활보는 어떻게 해야 가능할까? 조용하고 강인한 고라니처럼 시골살이를 힘차게 구가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책이 필요할까? 두 가지 단편적인 사례를 통해 귀촌·귀농의 성패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적성에 맞춘 귀촌의 이상적인 삶
외진 산간 숲속으로 귀촌을 해 서점을 운영하는 A 씨 부부. 산속에서 서점을? 이는 웬 만용이란 말인가. 그러나 서점은 순항하고 있다. 찻집과 게스트하우스를 함께 운영해 안정적인 살림을 꾸려나간다. 갖가지 콘서트나 문화 행사를 펼쳐 지역의 명소로 부상했다. 시발은 미미하고 궁색했다. 부부가 손수 지은 작은 흙집에 살며 활로를 모색하느라 어지간히도 진을 뺏던 것 같다. 그러다 서점에 착안한 건 썩 자연스럽고 현명한 판단이었다. A 씨는 원래 출판업자였다. 서울에서 출판사를 운영했던 그가 귀촌을 한 건 마음이 줄기차게 시골로 흘러갔기 때문이었다지. 산골의 자연 속에서 살며 다가올 노후를 대비하고 싶었던 것. 도시에서 시골로 삶터를 바꾼다는 건 상류의 물고기가 물살을 따라 유유히 하류로 내려가는 것과는 다르다.
시행착오와 우왕좌왕이 잦게 마련이다. 도시에서 몸에익힌 삶의 과욕과 과속을 적절히 털어내기 쉽지않아서다. 하지만 A 씨의 포부는 옹골차게 실현됐다. A 씨의 비결은 무엇일까? 우선 그는 자신의 적성에 맞춰 노후의 이상적인 삶을 설계했다. 일찍부터 자연주의자를 자처해온 그는 산골의 공기와 풍정을 숨 쉬고 사는 게 옳다고 보았다. 자연 속에서 자아를 부양하며 사는 게 한 번뿐인 아까운 삶을 흥미진진한 쪽으로 밀어붙일 수 있는 길이라는 걸 알아차렸던 것 같다. 육신은 물론 영혼을 위해서도 자신의 적성, 취향, 지향에 맞는 시골살이를 선택하는 게 온당하다 판단했던 거다. 귀촌 희망자여, 당신의 적성부터 면밀히 점검하시라! 나는 그렇게 권유하고 싶다. 때로 어처구니없는 바보짓을 태연히 자행하는 게 인간이지만, 자신의 적성 진단을 소홀히 한 채 자연과 더불어 살며 ‘느림의 미학’을 추구하겠다는 식의 환상을 가지고 귀촌을 후다닥 결행하는 일처럼 위험한 우행도 드물다. 등산을 좋아하거나, 숲을 흔드는 물소리 새소리에 심취하는 버릇이 있다고 내 적성이 시골생활에 부합하리라 속단해선 안 된다. 짧으면 한두 달, 길어야 두어 해 사이에 질리기 쉬운 게 자연이다. 자연은 놀이터가 아니라 생활의 장이다. A씨의 활보는 무심한 자연 환경에 도대체 권태를 느끼질 못하도록 민감하게 작동하는 적성의 힘에서 추동되었다. 아내와의 의기투합도 A 씨의 귀촌 순항을 돋운 저력이다.
귀촌 문제를 놓고 부부간에 대번에 죽이 맞을 확률은 낮다. 대체로 남정네들이먼저, “가자, 시골로!” 그렇게 선창을 하며 나서는 수가 많지만, 웬걸, 영특한 종족인 아내들은 십중팔구 반기를 들게 마련이다. 그녀들은 모기에 뜯기고 뱀에 시달리기나 할 뿐, 자칫 따분하고 외로워질 가능성이 있는 시골살이에 환상적으로 입문할 일이 아님을 이미 눈치 채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엔 신사도를 발휘해 아내의 의사를 존중해주는 게 좋다. 나는 억지로 아내를 끌고 시골로 들어갔다가 4년 만에 이혼을 하고 털레털레 도시로 귀환한 부상병의 사연을 듣고 깊은 슬픔에 빠진 적이 있다. 그럴싸한 집요한 세뇌로 아내의 생각을 바꿔놓을 자신이 없다면 귀촌의 꿈을 차생에서 실현하는 게 낫다. A 씨는 시골에서 남은 평생 즐기며 일할 수 있는 종목을 찾아냈다는 점에서도 귀감이다. 산중 서점 사업이라는 기발하고도 진취적인 업종은 그에게 두 가지 만족을 선사한 것으로 보인다. 첫째는 경제상의 안정을 가져다줬다는 점. 물적 궁핍이 곧 불행과 직결되는 건 아니지만 꽤나 성가시고 불편하다. A 씨도 넉넉할 게 없었기에 남몰래 전전긍긍이 많았으리. 하지만 해결했다. 다른 한 가지 만족 요인은,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을, 가장 좋아하는 일을, 노후까지 지속할 수 있는 일을 찾았다는 데 있다.비축 자금이 많거나, 연금이 다달이 척척 들어오는 사람들의 경우에도, 귀촌생활에 생기를 부여하기 위해선 즐거이 몰두할 수 있는 일 하나를 갖는 게 필수다.
마을 분위기를 파악하지 못한 불찰
이제 사뭇 다른 사례를 볼까. 공직 은퇴자인 B 씨. 그는 60대 중반쯤도시에서의 지루한 일상을 견디다 못해 후미진 시골로 들어갔다. 평소 동경했던 멋진 정원을 가꾸며 한적하게 노닐고 싶어서였다. 그는 너른 터를 사들여 큼직한 집을 지었다. 그리고 정원 가꾸기에 온갖 공을 들였다. 신명이 실린 쾌조의 나날들이 이어졌지만 2년여가지나 상황이 급변했다. 다양한 수목과 화초로 채운 너른 마당은 어느사이 가혹한 근로의 공간으로 바뀌었으니 땅의 임자는 그가 아니라 풀들이었던 것. 강철 같은 기세로 들고 일어서는 풀과의 전쟁에 그는지쳐 나동그라졌다. 어깨, 허리, 무릎, 팔, 어느 하나 성한 게 없는 자신의 참상에 그는 울상을 지었다. 사교성 결여로 원주민들과 거의 단절된 생활을 하는 사이에 누적된 고독감마저 하늘에 뻗친 걸 비로소 절감하고 거듭 울상을 지은 것도 그즈음이었다. 게다가 도시에선 그토록 명랑했던 아내가 우울증에 걸려 약을 먹기 시작했다. 더욱 끔찍한 소동은 이웃 원주민이 휘몰아왔다. 마을의 몇 몇 삐딱이 가운데 하나였던 그 원주민은 고지식하고 딱딱한 스타일인 B 씨네 집 길목을 제 땅이라며 철조망으로 막아버렸다. 땅을 고가에 팔아먹자는 흉계였다. B 씨는 결국 헐값에 집을 처분하고 도시로돌아갔다.
B 씨는 신중함을 결여한 채 충동구매와도 같은 귀촌을 했던 게 아니었을까. 그 무엇에 앞서 그는 마을의 분위기를 미리 파악했어야 했다. 시골이라고 인심이 퍼덕퍼덕 살아 있는 것만은 아니다. 그는 운수 사납게도 텃세 심하기로 소문난 마을로 귀촌을 했다는 걸 뒤늦게야 깨달았다. 끝내 깨닫지 못한 자충수도 있다. 원주민들이 B 씨에게 불편한 존재였듯이, 오불관언으로 일관한 B 씨 역시 원주민들에겐 수상하고 불편한 이방인으로 행세했을 뿐이었다는 사실을 말이다. 원주민과의 융화라는 문제에 대부분의 귀촌·귀농인들은 심혈을 기울인다. 그러고서도 수월치 않아 머리칼을 쥐어뜯으며 고민하기도 한다. 어이하나? 마을 일에 적극적인 참여자는 되지 못할망정 냉소적 방관자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마을 전체를 내 집으로, 마을 사람전원을 내 가족으로 생각하는 태도를 취한다면 복이 돌아올 것이다. 그러고 보면 귀촌생활이란 수신(修身)의 기회이기도 하다. 명랑사회 건설에 이바지하는 길이겠고.
글 박원식 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