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도 뱃노래길, 바다 건너 만난 꽃다운 어느 날

 

 

여수항을 출발한 쾌속선이 손죽도와 초도를 들른 후 남쪽을 향하다 좌우로 요동치기 시작한다. 바람이 제법 부는 탓에 파도가 뱃전에 자꾸 부딪히는 모양이다. 하늘이 도와야 갈 수 있다는 섬 거문도. 내륙과 제주도 중간 망망대해에 위치해 좀처럼 출입을 허락하지 않는다. 불현듯 우리를 태운 쾌속선이 요동을 멈춘다. 동도, 서도, 고도 세 섬이 병풍처럼 둘러싼 도내해(島內海)에 무사히 안착한 것이다. 우리는 그렇게 마침내 거문도에 첫발을 디뎠다.

 

 


저 뒤로 녹산등대가 보인다.

 

 

동경 127°11′, 북위 34°에 위치한 거문도는 동도(東島), 서도(西島), 고도(古島) 이렇게 세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옛 문헌에는 삼도, 삼산도, 거마도 등으로 기록돼 있는데 현재 거문도로 불리는 데는 두어가지 설이 전해진다. 첫째는 섬에 아름드리나무로 가득 차 한낮에도 어두웠는데 이때 고유어 ‘검은’을 한자어로 바꿔 거문(巨文)이 됐다는 설이다. 두 번째 설은 중국 청나라 제독 정여창이 섬에 학문이 뛰어난 사람이 많은 것을 보고 문장가들이 많다는 뜻인 ‘거문(巨文)’으로 개칭하도록 건의해 지금의 이름이 됐다는 설이다.

 

한반도 남쪽 외딴 섬까지 청나라 제독이 찾아온 연유는 거문도의 생김새에서 찾을 수 있다. 거문도를 구성하는 세 섬은 원을 그리듯 포진해 있는데, 덕분에 가운데 위치한 도내해(島內海)는 외부의 험한 날씨 영향을 적게 받는다. 게다가 수심까지 깊어 무리 없이 큰 배가 진입할 수 있고 이는 남해 망망대해에서 천혜의 항구 역할을 하기에 제격인 셈이다. 한반도 침략을 노리는 서구 열강들 중 영국이 먼저 1885년에 거문도 불법점거를 행했고 이때 조선을 대신해 협상을 벌이던 청나라의 장수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옛부터 사람들이 건너와 살았던 동도, 서도와 달리 무인도였던 고도는 영국의 해군기지로 사용되다가 이후 일제의 어업기지로 탈바꿈하면서 세 섬의 행

정 중심지로 개발됐다. 때문에 거문도에는 여전히 영국군 묘지나 일제 군사시설 등이 남아 있고 일본식 건축 양식을 가진 주택들도 간간이 눈에 띈다. 거문도가 바다 위 요충지 역할을 했기에 1905년 서도에는 우리나라 남해 연안 최초로 등대가 들어서기도 했다.

 

 


남녘의 따스한 기후가 이국적인 식생을 만들었다.

 

 

망망대해 위를 걷는 길

동도 선착장에 잠시 들렀던 쾌속선이 고도에 위치한 거문도여객선터미널에 정박했다. 흔들리던 여객선에서 덩달아 요동치던 속을 안정시키며 땅을 밟았다. 김유희, 최미연씨도 같이 내린다. 서울서 여수까지 350km, 여수에서 거문도까지 다시 115km. 봄을 찾아 먼 길을 왔다. 터미널 근처 숙소에 짐을 풀어 몸을 가볍게 하고 본격적으로 섬 탐방에 나선다.

오늘 목적지는 거문도 등대. 단, 덕촌리 마을 뒤편 불탄봉을 경유하는 코스를 택해 가벼운 산행을 곁들이기로 한다. 밑으로 배가 지나다닐 수 있게 봉긋한 아치형으로 된 삼호교를 건너 고도에서 서도로 넘어갔다. 산행은 덕촌리 거문중학교 옆길로 시작한다. 가파르지 않은 오르막을 그리 오래 걷지도 않았는데 뒤편으로는 벌써 바다풍경이 펼쳐진다. 등산로 옆으로는 육지에서 보던 것과 다른 생소한 식생들이 보인다. 연평균 14.4℃로 따뜻한 남쪽 기후 때문이다. 시작부터 낯설음이 재미를 준다.

 

이번 여정 중 가장 높은 불탄봉이 해발 200m가 채 안 돼 거문중학교 담벼락부터 억새밭이 지천인 능선까지는 15분 정도밖에 안 걸렸다. 거문도 등대는 남쪽이지만 우리는 잠시 반대 방향에 있는 불탄봉을들렀다 가기로 한다. 일제 강점기 지하 관측시설 위에 설치한 불탄봉 데크에서 우리는 첫 거문도 파노라마를 즐겼다. 바람은 사뭇 불었지만 그래도 사방팔방 펼쳐진 섬과 바다 풍경이 시원하다.

 

다시 방향을 남쪽으로 잡아 억새밭을 지난다. 억새밭 이후에는 동백나무숲이다. 끔벅이는 황소 눈만큼 큰 빨간 동백꽃이 피어 있기도, 이미 떨어져 있기도 하고 이제 피려고 꽃망울을 웅크린 것도 있다. 길은 평탄해 동백나무 터널이 편안하게 느껴진다. 한 차례 오르막과 내리막을 지나자 절벽 해안에 맞닿는다. 앞으로는 망망대해가 펼쳐지고 진행 방향 저 멀리에는 목적지 거문도 하얀 등대가 모습을 드러낸다. 파도에 요동치던 배를 놀이기구 정도로 여긴 유희씨와 달리 고소공포증이 있는 미연씨는 경치를 제대로 감상하지 못한다. 아찔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짜릿한 절벽 풍경이 주는 유희를 만끽하기 위해 절벽과 조금 거리를 두고 걸었다.

 

 

 


이금포 해변. 맑은 바닷물이 봄 처녀 발을 적신다.

 


아찔한 벼랑길 ‘기와집물랑’ 아래로 바다가 넘실거린다.

 

 

꽃다운 계절, 꽃다운 시절

보로봉까지 절벽 해안길이 이어진 후에는 365계단을 내려간다. 바다에 인접한 목넘이를 지나고 나면 곧 거문도 등대로 이어지는 숲길이다. 동백나무, 생달나무, 해국과 같이 잎이 두텁고 광택이 강한 녹색을 띠는 식생들이 길 옆을 채운다. 느슨한 경사를 오르다 보니 멀리서 보이던 거문도 등대가 어느덧 코앞이다.

등대 앞 관백정에 서서 동쪽을 바라보았다. 백도가 어슴푸레 모습을 드러낸다. 날이 맑은 날에는 제주도까지 조망된다 한다. 수평선 끝에서부터 왔을, 여전히 강한 바람이 불지만 훈훈한 봄기운이 만연한 기색이다. 서서히 해는 지고 있는데 날이 흐릿해 노을이 보이지는 않을 태세다. 목넘어까지 왔던 길을 돌아 나온 뒤 도로를 따라 숙소가 있는 고도로 돌아 가기로 한다. 오늘 저녁은 자연산 횟감으로 배를 든든히 채우기로 하고 다소 지친 걸음에 힘을 보탠다.

 

다음 날. 몸이 제법 찌뿌둥하다. 어제 예상보다 많은 거리를 걸었다. 여독이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12km정도를 걸었으니 오늘은 조금 편안히 서도 북쪽 끝 녹산등대를 다녀오기로 한다. 택시를 불러 서도 북쪽 끝에 있는 거문초등학교 서도분교장 인근까지 갔다. 오늘은 날이 좋아 차창 밖 바닷물이 반짝이며 생동감을 발산한다.

녹산등대를 향하는 길은 거문초등학교를 기점으로 양옆 두 갈래로 나뉜다. 택시기사는 오른쪽 길에 비해 왼편 길이 완만하다며 왼편으로 들어갔다 오른편으로 나오는 코스를 추천했지만 우리는 오른편을 먼저 택했다. 누적된 피로로 일행들이 오르막보다 내리막이 더 힘들다고 하소연했기 때문이다. 가파르다고 한 오른편 길도 생각만큼 가파르지는 않다. 10분 정도 오르니 얕은 언덕에 가렸던 녹산등대 전경이 드러난다.

 

풍경은 그림 같다. 기본은 우선 쪽빛 바다와 하늘이다. 여수에서 보던 빛깔보다 더 맑고 밝은 바다, 말 그대로 화창해 온기를 품은 봄 하늘이 캔버스 전체를 가득 채운다. 그다음은 바다 가장자리 하얀 포말 일으키는 해안가 바위와 초원, 잘 정비된 산책로다. 산책로 끝은 녹산등대가 하얀 점을 찍는다.

 

봄기운 만연한 망망대해 위 산책로로 꽃다운 나이 방년 29세, 25세 아가씨들이 걸어간다. 시간을 확인하니 육지로 나가는 배를 탈 시간까지 아직 넉넉하다. 여유를 부려 천천히 걷는다. 등대 아래서 바람도 느끼고 햇살도 만끽한다. 근처 해변에 들러 투명한 바다도 한눈 가득 담아 넣는다. 꽃다운 계절에 꽃다운 시절, 이제 찬란한 봄이다.

 

 

 

김규영(사람과산)
사진
주민욱(사람과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