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청춘에 가장 중요한 것
놀 줄 모르는 시니어들은 특별히 즐기는 취미가 없다. 기껏해야 골프 아니면 등산이다. 이것도 그나마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에게나 해당되는 얘기이고, 그렇지 못한 사람은 딱히 즐길 놀이가 없다. 이러니 놀 줄도 모른다고 신세대에게 무시당하는 것이다.
친구가 들려준 얘기다. 퇴근해서 집에 들어가니 거실에서 아이들과 아내의 노랫소리가 들렸다. 그런데 현관에서 인기척이 나자 노랫소리가 딱 그치며 아들 녀석이 꾸벅 인사를 하고는 자기 방으로 들어갔다. 딸아이도 엄마와 아버지의 눈치를 보다가 곧 자기 방으로 들어갔다. 아내와 둘이 거실에서 머쓱하게 앉아 있는데 아내가 눈을 흘기더니 부엌으로 가버렸다. 말은 하지 않았지만 아이들과 즐겁게 놀고 있는데 왜 일찍 와서 분위기를 깨냐는 눈치였다.
친구는 이런 이야기를 들려주며 자신이 대체 뭘 잘못했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사실 아버지도 아이들과 얘기를 나누고 싶어 한다. 그러나 대화를 하려 하면 뒷걸음질부터 친다.
아이들에게 아버지는 늘 엄하고 어려운 사람으로 인식되어왔기 때문이다. 어느 연구기관에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아버지에 대한 이미지를 물었더니 잔소리 많은 사람, 밤늦게 술에 취해 들어오는 사람, 휴일에 거실에서 TV만 보는 사람 등으로 답변을 했다. 문제는 또 있다. 아이들과 함께할 공통된 취미가 없다는 것이다. 이래서는 곤란하다. 일찍 고민이라도 해봤으면 좋으련만 너무 늦은 감이 있다. 그렇다고 포기해서는 안 된다. 남은 인생 잘 보내려면 지금부터라도 아이들과 함께할 수 있는 취미 한두 가지는 찾아봐야 한다. 그래야 아이들과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취미를 갖는 것이 좋을까. 취미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바로 수동적 취미와 능동적 취미다. TV 시청은 대표적인 수동적 취미다. 남이 만들어놓은 프로그램을 그저 바라보고만 있는 시간이다. 책을 읽고 음악을 듣는 것도 수동적 취미에 속한다. 반면 능동적 취미는 스스로 창의적인 생각을 갖고 자의적으로 여가를 즐기는 행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글쓰기, 그림 그리기, 악기 연주 등이 능동적 취미다. 그렇다면 수동적 취미가 좋을까, 능동적 취미가 좋을까.
수동적 취미와 능동적 취미
학자들은 일에 몰입했다가 그 몰입에서 벗어날 때 우리 몸에 좋은 엔도르핀이 나온다고 말한다. 예를 들면 바이올린 주자가 한 시간 가까이 연주해야 하는 협주곡을 오케스트라와 하모니를 잘 이루어 마쳤을 때, 산악인이 암벽 등반을 마치고 무사히 평지에 두 발을 내딛었을 때, 엔도르핀이 솟는 것이다. 연구 조사에 의하면, 수동적 취미는 몰입을 하는 정도가 4%에 불과하다고 한다. 반면 능동적 취미는 47%에 달한다. 능동적 취미가 수동적 취미에 비해 몰입하는 정도가 훨씬 크다는 의미다. 그러므로 기왕 취미생활을 하려면 수동적 취미보다 능동적 취미가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취미생활을 하면 이 밖에도 좋은 일이 많다. 새로운 사람과 교류하게 되고 동호회를 결성할 수도 있다. 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우는 “인간에게 소속감의 욕구가 있는데 직장에서 은퇴한 후에는 소속감이 없어지며 자칫 정체성이 흔들리고 우울증에 빠지기 쉽다”고 말했다. 그런데 동호회를 만들어 참여하면 친구도 사귈 수 있고 소속감의 욕구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가족이 함께 취미를 즐기면 공통 관심사가 생겨 가족 간 대화가 풍족해진다. 관계가 개선되는 것은 물론이다.
취미의 고수들
취미를 통해 돈까지 벌수는 없을까? 있다! 필자의 과거 직장 동료 중 한 사람은 미술을 좋아해서 회사 업무가 끝나면 틈틈이 그림을 보러 다녔고, 보너스를 탈 때마다 그림을 수집했다. 그는 당시의 취미를 활용해 지금 강남에서 갤러리를 운영하고 있다. 은퇴한 다른 동료들이 할 일을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을 때 그는 재직 중의 취미를 생업으로 발전시킨것이다. 악기 연주로 돈을 버는 사람도 있다. 대학동아리에서 만돌린을 배웠던 지인은 재직 중에도 만돌린을 취미로 즐기다가 조기퇴직을 한 후 본격 연주를 위해 이탈리아로 유학을 떠났다. 그곳에서 정규 과정을 마친 그는 귀국한 뒤 주위 사람들에게 만돌린을 가르치고 있으며 가끔 시향과 협연도 하고있다.
독서를 무척이나 좋아했던 선배 한 사람은 은퇴 후 북 카페를 운영하다가 지금은 전업 작가로 변신했다. 벌써 저서가 몇 권이나 된다. 설령 수익과 연결되지 않아도 좋아하는 일은 우리를 행복하게 한다. 좋아하는 일을 통해 봉사를 하는 사람도 있다.
필자가 운영하는 아름다운인생학교에서 강사료 없이 강의를 하는 분들이 다 그런 사람들이다.
강사들은 봉사활동을 통해 오히려 자신이 더 많이 배운다고 한다.
미국 CNN과 <타임>지에서 공동조사를 한 결과에 의하면, 미국인 62%가 여가시간에 하지 않아도 될 일을 하며 보낸다고 한다.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잘 모르기 때문이다. 자신이 진정으로 무엇을 원하는지 찾을 수 있다면 은퇴 준비의 반은 끝난 셈이다. 나머지 반은 거기에 올인하면 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자신이 원하는 일을 발견할 수 있을까? 먼저 종이에 원하는 바를 써본다. 자신이 원하는 것인지, 남이 원하니까 자신이 원하는 것인지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남이 원하는 것을 추구하느라 남은 생을 허비할 수는 없다.
취미, 실패해도 괜찮아
다음의 세 가지 활동을 기준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취미를 찾아봐도 좋다.
첫째, 현재 흥미를 느끼고 있는 활동. 둘째, 과거에 하려고 했던 활동. 셋째, 앞으로 하려고 생각 중인 활동이다.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넘겨버리지 말고 생각나는 대로 모두 기록한다. 똑같은 활동이 반복돼도 괜찮다. 리스트를 작성했다면 이 중 몇 가지를 골라 활동을 시작한다.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도 좋다. 또 ‘시한부 인생을 산다면 가장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인가?’를 생각해보는 것도 방법이다. 이런 고민을 통해 자신이 정말 무엇을 원하는지, 그리고 무엇을 좋아하는지 발견할 수 있다. 새롭고 가치 있는 인생을 살고 싶다면 먼저 목표를 정해야 한다. 인생에서 달성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저절로 오지 않는다. 목표를 정하면 할 일이 보인다.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좌절도 느끼겠지만 보람도 얻을 수 있다. 이것을 파악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바로 우리가 할 일이다.
글 백만기 아름다운인생학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