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신,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주니어가 시니어에게 말하다

 

 

‘선타투 후뚜맞’. 이게 무슨 의미일까? ‘허락 전에 문신을 하고 그 후에 부모님께 뚜들겨 맞겠다’는 뜻이다. 문신을 반대하는 기성세대와 문신을 개성 표현 방법의 하나로 여기는 신세대 간의 첨예한 대립을 제대로 보여주는 말이다. 사람들 몸에 문신을 새겨주는 타투이스트 ‘난도’를 만나 그들의 특별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타투이스트 난도

 

‘문신(tattoo)’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우리의 머릿속을 스쳐 지나가는 이미지는 온몸을 휘감은 용, 잉어, 도깨비 등 부정적인 것들이다. 그리고 이런 이미지는 자연스럽게 조폭, 야쿠자 등으로 연결되면서 ‘문신은 혐오스러운 것’으로 결론 난다. 가끔 뉴스에서 보이는 불량 청소년이나 조폭의 몸에 새겨진 휘황찬란한 문신들은 여전히 우리를 문신에 대한 부정적 생각의 틀에서 나오지 못하게 하고 있다. 더 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신체와 터럭과 살갗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이것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이다[身體髮膚受之父母, 不敢毁傷孝之始也]’라는 옛말도 있다. 그만큼 우리나라에서 문신은 결코 이해될 수 없는 행위였다. 하지만 오늘날 문신은 더는 낯설지 않은 문화의 일부가 되었다. 요즘에는 길거리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도 문신한 사람을 쉽게 볼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영화배우, 스포츠 선수, 가수 등 예체능 종사자를 중심으로 성행했던 문신이 이제는 많은 사람에게 열려 있는 문화로 변화하고 있다.

 

 


▲타투이스트 난도

 

 

문신, 그 편견을 넘어서

한남동에서 타투숍을 운영하고 있는 타투이스트 난도. 담배 연기로 자욱하고 어두침침한 분위기의 숍을 예상했지만 이 또한 편견이었다. 처음 방문한 타투숍이 신기해 두리번거리고 있는데 난도가 인사말을 건넸다.

“생각보다 숍이 밝죠?”

그렇다. 창문으로 들어오는 햇살과 여기저기 놓인 독특한 소품들은 애초에 생각했던 이미지를 완전히 뒤집어놓았다. 밝은 조명과 쾌적한 환경, 거기에 난도가 직접 그린 작품들은 타투숍을 한층 더 돋보이게 했다. 경희대 서양화과를 졸업한 그는 스페인 유학 시절 문신을 접하면서 시술 기술을 배우기 시작했다.

“유럽 사람들은 개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방법으로 문신을 하곤 해요. 스페인에선 워낙 많은 사람이하니까 자연스럽게 접하게 됐죠. 아무래도 제 전공이 미술이다 보니 눈길이 많이 갔고 새롭고 신선하게 다가왔어요.”

 

 


▲타투이스트 난도

 

유럽에선 20세기를 거치면서 문신이 이미 자연스러운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19세기에는 영국 해군들 사이에서 일종의 ‘무사 귀환’을 상징하는 부적으로 여겨졌고 이후 미국으로까지 퍼졌다. 그렇게 전 세계로 서서히 퍼지기 시작한 문신은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패션의 일부이자 개성 표현의 한 문화로서 자리를 잡고 있다.

요즘 인기리에 방영 중인 JTBC <효리네 민박>을 보면 가수 이효리와 남편 이상순 몸에 새겨진 다양한 문신이 눈에 띈다. 예전이라면 모자이크로 처리했겠지만 지금은 별다른 제재 없이 노출하고 있다. 그만큼 문신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었다는 증거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들이 타투숍을 방문하는 걸까?

 

“문신은 조폭이나 나쁜 사람들만 한다는 생각을 많이 하십니다. 문신이 조폭 영화에서 필수가 되어버린 것 같아 아쉬움이 커요. 하지만 요즘엔 젊은 사람들이 패션이나 개성 표현 방법으로 문신을 하는 경우가 훨씬 많아요. 최근 유행하는 문신은 눈에 잘 띄지 않다 보니 인식도 바뀌는 등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어요. 아무래도 제가 하는 작업은 선이 얇고 비교적 작은 크기이다 보니 남성분들보단 여성분들이 많이 찾아오십니다.”

 

난도의 SNS 계정은 국내외에서 18만 명이 팔로우할 정도로 유명하다.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는 스타일을 문신으로 표현하고 싶다’는 그의 지향점이 바로 인기 비결. 피부에 수채화를 그려넣은 듯한 그의 섬세한 문신은 우리가 흔히 아는 ‘혐오스러운’ 문신과는 거리가 멀다.

문신은 피부에 상처를 내서 물감을 들이는 것이기 때문에 한 번 하면 지우기 어렵다. 레이저 시술로 없애는 방법이 있지만 완벽한 제거는 아직 불가능하다. 마치 우리 기억 속의 추억처럼 말이다. 그래서일까? 추억을 문신으로 새기는 사람들도 있단다.

 

 

“아무 의미 없이 하는 손님도 있지만 나름의 사연이 있어서 찾아오는 손님도 있어요. 흉터를 가리기 위해 찾아오는 분, 반려견이나 반려묘와 이별하고 찾아오시는 분, 가족 얼굴을 새기고 가는 분 등 매우 다양하죠. 탄생화나 별자리를 새기는 분들도 있고요. 최근 가장 기억에 남는 분은 아기가 태어난 날짜를 시계 도안과 함께 팔에 새기고 간 분이에요. 지워지지 않는 문신은 잊지 못할 순간을 평생 간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난도에게 물었다. “혹시 시니어분들도 문신을 하기 위해 찾아오나요?”

 

“3년 전부터 급격하게 우리나라도 문신에 대한 인식이 관대해졌지만 아직 시니어에겐 쉽지 않은 것 같아요(웃음). 딱 한 분 나이가 지긋한 어르신이 한 적은 있지만 거의 드물다고 해야겠죠.”

 

 

문신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고는 하지만 아직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은 남아 있다. 대중목욕탕엔 ‘혐오감을 주는 문신을 한 사람은 입장 불가’라는 안내판이 존재한다. 공무원 응시 자격 요건에도 ‘공무원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문신이 없어야 함’이라는 조건이 붙는다. 실제로 야구선수 이대은은 2016년 경찰야구단 입대를 위해 지원서를 냈다가 문신 때문에 신체검사에서 탈락했다. 난도는 문신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 조심스럽게 말을 꺼냈다.

 

“사람들이 조폭 하면 쉽게 떠올리는 알록달록한 문신인 ‘이레즈미’, 글자만 새기는 ‘레터링’, 명암으로만 표현한 ‘블랙 앤 그래이’ 등 문신에도 다양한 장르가 있어요. 또 도안마다 가지고 있는 의미가 있죠. 타투이스트들 또한 손님을 가장 잘 표현해낼 수 있는 도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요. 아직까진 낯설게 느껴지겠지만, 너무 부정적으로만 보지 마시고 자신을 표현하는 하나의 예술 활동으로 봐주셨으면 좋겠어요.”

 

 

우리 사회에는 ‘평범함’과 조금이라도 다르면 ‘이상한 사람’으로 보는 시선이 존재한다. 문신을 한 사람들도 ‘이상한 사람’에 포함된다. 위아래로 훑어보곤 ‘분명 엇나갔을 거야’, ‘몸이 도화지야?’, ‘철이 없네’ 하면서 부정적으로 그들을 평가한다. 문신을 찬양하자는 말은 아니다. 한 번쯤은 편견이 아닌 열린 마음으로 그들을 바라보려 노력해보자. 어쩌면 그들의 문신에는 위협이 목적이 아닌, 끝까지 잊지 않고 싶은 추억과 소중한 이야기가 담겨 있을 수도 있으니 말이다.

 

 

정지은 기자 jungje94@etoday.co.kr
사진 김수현 player0806@hot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