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과 인생까지 가꿔주는 직업 정원사를 아시나요?

 

사실 정원사는 우리에게 그리 익숙한 직업은 아니다. 좁은 주거 지역에 많은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국내 대도시의 특성상 대다수의 한국인은 정원이 없는 주거 형태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그저 사다리에 올라 큰 나무의 모양을 전정가위로 다듬는 영화 속 등장인물이 떠오르는 정도다. 그러나 이제는 아파트에서도 작은 정원을 만드는 사람이 많아지고, 공원이나 화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원사는 최근 주목받는 직업이 되고 있다.

 

 

콘크리트 빌딩이 빽빽이 들어선 도심 속에 언제부턴가 공원이 들어서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실제 숫자로도 확인된다. 올 3월 서울시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서울 시내에 새로 조성된 공원•녹지는 197개로 나타났다. 총 면적은 188만㎡로 여의도공원의 8배와 비슷한 수준이다.
도시 내의 녹지를 넓히려는 목적은 다양하다. 가장 먼저 지역 주민의 심리적 안정이 가장 크다. 실제로 녹지 공간의 유무는 노령층의 뇌 활동에 영향을 준다는 해외의 연구사례도 있고, 올 초 서울대학교 연구진은 녹지가 적은 지역에 살면 고지혈증에 걸릴 가능성이 1.5배 높다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도심의 폭염이나 열대야와 관련이 있는 열섬현상을 막기 위해서도 녹지를 계속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녹지공간의 확대는 결국 관리 인력의 수요를 만들어낼 수밖에 없는데 그 직업이 바로 정원사다.

 

 
▲신구대학교 식물원 박종수 과장이 시민정원사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실습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각 지자체에서 앞다퉈 양성
정원사에 대한 개념이 최근 들어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과거에는 개인 정원이나 공공기관의 녹지공간을 관리해주는 개념이컸다. 조경은 건설과 함께 이뤄지고 정원사는 관리만 한다는 개념이었다. 그러나 최근 정원사의 업무 범위가 넓어졌다. 경기도와 함께 시민정원사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신구대학교 식물원 박종수 과장은 이렇게 설명한다.
“최근에는 정원사의 개념이 확대돼 정원 조성을 위한 디자인과 식물의 구성을 기획하고, 식수(植樹)와 관리 능력까지 두루 갖춘 사람을 말하고 있어요. 정원의 디자인만 하는 ‘디자이너’가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경우도 있지만, 요즘엔 정원사가 모든 과정에 관여하고 있어요.”
도시의 녹지가 늘어나면서 각 지자체에는 시민정원사 혹은 시민가드너 양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역 주민에게 화초 등 식물의 생육에 대한 정보와 전문지식을 제공하는 대신, 일정시간 이상 자원봉사나 재능 기부를 통해 이들을 지역주민을 위한 녹지공간 형성에 활용하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자격증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국가기술자격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조경기능사, 원예기능사, 화훼장식기능사가 있다. 최근 함께 각광을 받고 있는 도시농업과는 개념이 다소 다르다. 도시농업이 ‘생산’에초점을 맞춰 건물 옥상 등 사람의 발길이 잘 닿지 않는 유휴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라면, 정원사는 사람의 왕래가 잦은 곳에 녹지를 구성하는 일을 한다.
이러한 제도를 가장 먼저 도입한 지자체는 경기도다. 경기도는 2013년 제1기 시민정원사 84명의 인증을 시작으로 경기도 시민정원사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경기도는 오는 2023년까지 3000명의 시민정원사를 배출할 계획이다.
경기도에서 시민정원사가 되는 일은 그리 쉽지만은 않다. 기본 교육과정인 조경가든 대학을 이수하거나 대학에서 관련학과를 졸업해야 지원이 가능하다. 대신 경기도민에게는 75만원의 교육비 중 50만원을 지자체에서 지원한다. 시민정원사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2년간 96시간의 자원봉사에 참여해야 한다.이들은 수료 후 지자체에서 관리가 필요한 녹지로 파견돼 자원봉사를 하게 된다. 일부 교육기관에 조성된 ‘학교숲’이나 마을의 공한지나 자투리땅의 공원화 등에 참여한다. 땅의 공원화는 범죄율을 낮추는데도 도움이 돼 각 지자체에서는 공원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식물의 식생에 관한 교육이 청소년의 교화에도 긍정적 역할을 해서, 전북경찰청 등 일부 기관에선 지역 교육기관과 함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
시민정원사 혹은 시민가드너 교육과정은 지자체별로 조금씩 다르다. 각 지자체별로 호칭도 다르고 교육시간이나 운영방식도 지역 현실에 맞추다 보니 제각각이다. 그러나 지역에 자원봉사 형태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은 대부분 비슷하다.

 

교육 후 소득 기대는 아직 ‘흐림’
화초의 재배나 관리 등은 시니어의 주된 관심 분야이다 보니 실제 교육과정에서도 수강생들이 대부분 은퇴자들이다. 한 지자체 교육 담당자는 “정원을 가지고 있는 참가자가 많다 보니 독특한 교육문화가 형성되고, 커뮤니티의 결속력도 상당합니다”라고 말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경쟁률이 높은 곳도 있다. 일부 지자체는 경쟁률이 2대 1에서 3대 1가량이나 되어 교육생보다 대기자 수가 더 많다. 재수, 삼수가 기본인 곳도 있다.
박종수 과장은 “기본적으로 제대로 된 정원사가 되기 위해서는 1년을 배워야 합니다. 우리나라가 봄부터 겨울까지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이기 때문이죠. 또 아름다운 정원을 위해서는 고려해야 할 것이 많습니다.꽃의 크기, 키, 화색(花色)까지 선택해야 합니다. 우리가 정원에 흔하게 심는 팬지만해도 50종이 넘습니다”라고 설명한다. 교육 효과는 상당하다. 정원사 교육은 생활 속에서 활용이 쉽기 때문에 개인 정원에서 화초부터 실습해볼 수 있다. 또 심리적 변화는 덤이라고 귀띔한다.
앞으로 정원사의 수요는 더 늘어날 전망이 다. 기본적으로 녹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데다 다양한 활용 방안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 각 지자체에서 도시정원사 자격을 앞다퉈 도입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가장 최근에는 대구시의회에서도 시민정원사 인증제 도입이 발의된 상태다.
문제는 시민정원사를 바라보는 지자체의시선이다. 늘어나는 녹지나 공원에 비해 관리할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 보니 한정된 예산으로 ‘열정페이’만을 강요하는 구조로 정책이 진행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대부분의 작업을 자원봉사에만 의존하는 구조는 결과적으로 직업으로서 정원사의 가치를 떨어뜨리게 된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현장의 교육 관계자들도 아직까지 취업이나 창업은 쉽지 않다고 말한다. 정부기관이나 기업의 수목관리자로 일부 취업이 되고 있기는 하지만 일자리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소수이지만 화초 판매와 생육 방법 교육을 함께하는 플라워카페를 창업하는 사례도 있다.

 

 

 

MINI INTERVIEW

 

시민정원사 꿈꾸는 권옥
“문화가 복합된 정원 꾸며보고 싶어요”

 

“전 삼수생이에요.”
신구대학교 시민정원사 교육과정에서 만난 권옥연(權玉蓮•64)씨는 웃으며 이야기했다. 조경가든대학 교육에 참여하려고 몇번 시도한 끝에 지난해 겨우 수료할 수 있었고, 올해는 심화과정이라 할 수 있는 시민정원사 과정에 참여 중이다. 권씨가 정원사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데에 는 두 가지 계기가 있었다. 첫 번째는 관광프로그램을 통한 일본 정원 탐방이다. 일본 후쿠오카 등 큐슈 지방의 유명 정원을 돌면서 문화를 접했던 것이 그에게 큰 영향을 줬다. 두 번째는 주말에 쉬려고 마련한 양평의 전원주택이다. 이 집이 그를 조경에 대한 관심을 갖게 했고 당장 갖게 된 정원이 직접 가꿔야 할 숙제가 됐다.
“일본에서 아름답고 정갈한 정원들을 보면서 깊은 감명을 받았어요. 복잡한 머리를 식히며 명상할 수 있는 정원이 있다면 좋겠다 싶었죠. 마련한 전원주택은 정원이 200평이나 돼요. 막상 가꿔보려니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막막하더라고요. 그래서 체계적으로 먼저 배워보자고 마음먹었죠.”
교육과정은 육체적으로 힘들었지만 그에 못지않게 보람도 컸다고 말한다.
“정원 관리가 몸을 써야 하는 일이잖아요. 요즘처럼 여름에는 땀도 많이 나고 더 힘들어요. 대신 몸을 부지런히 움직이니까 건강에는 많이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지난해에는 경기도에서 주최하는 정원박람회에 교육생들과 함께 월가든(벽 형태의 정원)을 제작해 참여했는데, 기획에서 제작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해볼 수 있었던 시간이어서 보람 있었어요.”
시민정원사 과정을 공부하며 권씨는 새로운 꿈을 꾸고 있다. 정원과 문화가 복합된 공간을 꾸며보는 일이다.
“최근에 최시영 건축가의 파머스대디와 같은 공간들이 주목받고 있잖아요. 저도 제가 그동안 열심히 해왔던 도예나 자수 같은 예술 분야와 접목한 정원이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어요. 그곳에서 각 분야의 전문가, 마니아가 만나 서로에게 전문 분야의 교육을 해주는 문화공간을 꿈꾸고 있어요. 단지 꿈으로 끝내지 않기 위해 부지부터 열심히 알아보고 있습니다.”
평생 흙과는 거리가 있는 삶을 살다가 갑작스레 정원 일을 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까 했지만 너무나 맘에 든다는 그는 시니어들에게 꼭 권하고 싶은 이야기도 빼놓지 않는다.
“나이 들면 흙과 꽃이 좋아진다고 하잖아요. 저 역시도 그랬어요. 요새는 정원에 만든 텃밭에서 채소들을 가꿔 먹는 재미도 쏠쏠해요. 또 해질녘에 해먹에 누워 정원을 바라보면 지상낙원이 따로 없죠. 안과의사인 남편은 손이 보배라며 뒷짐만 지고 있어 약이 오르기도 해요. 그래도 노년에 이렇게 바쁘게 지낼 수 있다는 건 큰 행복이라고 생각해요. 우리 나이에 아침에 일어나면 ‘오늘은 뭘 하지?’ 하며 방황하는 사람도 많잖아요. 몸을 움직여서 건강에도 좋고, 여러 분야 중에 정원을 가꾸는 이 직업을 추천하고 싶어요.”

 

 

글•사진 이준호 기자 jhlee@etoday.co.kr  bravo_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