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이율은 은행 예금이자보다 높고 주식보다는 낮아도 안전자산이라고 평가 받는다. 인기 있는 투자 종목으로 항상 거론되는 이유다. 일반인이 보기에 채권이 뭔가 좋은 것 같긴 하지만 그에 대해 주위에서 자세히 알려주는 사람은 드물다.
대체로 채권 하면 왠지 부도나 파산 같은 이미지가 떠오르는데 그게 왜 안전하다는 것인지 의아해 하기도 한다. 채권은 우리에게 가까운 듯 하지만 매우 낯선 투자 대상이다. 하지만 채권은 의외로 심플한 투자 상품이다.
채권은 무서운 게 아니다
채권은 돈을 빌릴 때 이자와 원금을 갚을 것을 약속하면서 발행하는 차용증서다. 회사는 채권을 발행함으로써 채무자가 되고 투자자는 채권을 매수함으로써 채권자가 되는 것이다. 회사가 주식이 아닌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는 뭘까?
새로 주식을 발행하는 유상증자는 이해관계가 복잡하다. 주식이 많아지면 기존 주주의 주식 가치가 희석되는 일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의결권이나 배당이 배분된다. 그러나 채권은 약정된 이자만 계속 지급하다가 만기 도래 시 원금만 갚으면 된다. 원금만 주면 채무가 사라지기 때문에 주식처럼 주식 가치의 희석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회사 입장에서는 별 어려움 없이 큰 돈을 빌릴 수 있는 수단이다.
채권의 종류에는 국채, 지방채, 특수채, 회사채가 있다. 채권은 은행의 예금금리보다는 이율이 높아야 투자자가 산다. 보통 작은 기업의 채권은 이자를 더 주고 만기를 더 짧게 한다. 채권시장 규모는 2,000조 원이 넘는다. 주식시장보다 크다. 그런데 왜 우리 주변에서 잘 안 보이는지 의아할 것이다. 대부분의 채권은 매수자를 정해 놓고 발행한다.
매수자는 일반 개인투자자들이 아닌 기관투자자들이다. 기관투자자들이 공기업이나 대기업, 우량회사의 채권을 산다. 이 기관투자자들이 구매한 채권을 시장에 내다 팔 때에야 일반투자자들이 채권을 접할 수 있다. 채권이 안전자산이라고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국채, 지방채가 아닌 회사채라도 우량 기업의 채권이기 때문이다.
채권 투자 방법
채권이 시장에 나오면 이런 과정을 거쳐 개인투자자의 수중에 들어온다. [기관투자자 → 한국거래소 채권시장 → 개인투자자] 이를 장내채권 시장이라 한다. [기관투자자 → 증권사 → 개인투자자] 이를 장외채권 시장이라 한다.
이 시장을 통해 개인투자자도 채권형 펀드의 간접 투자가 아니라 직접 투자할 수 있다. 채권투자는 매수할 때 매수수수료가 싸다. 만기에 따라 0.1~0.3% 정도의 수수료가 들어간다. 그 외에 들어가는 비용이 없다. 물론 이자에 대해서는 이자소득세를 낸다.
증권사를 통해 거래되는 채권에는 KODEX단기채권, KODEX국고채3년, KBSTAR중기우량회사채, KOSEF국고채10년 등이 있다. IRP, 연금저축계좌, DC 계좌를 활용해 투자하면 세제혜택을 보며 이미 정해져 있는 이자를 꼬박꼬박 받을 수 있어 좋다. 채권 상품은 이자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고 난 후에 주식처럼 신경 쓸 게 없다는 것도 장점이다. 보통 만기이자를 쪼개서 3개월마다 준다.
재테크 초보자라면 채권형 펀드에 투자하는 게 안전하다. 여러 개의 채권에 분산해 투자해 개별 채권보다 채권 가격의 변동성이 적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이 아닌 한국거래소를 이용해도 된다. '사회책임투자(SRI) 채권'으로 분류되는 채권을 눈여겨볼 만하다. 사회책임투자 채권은 친환경 또는 신재생에너지 등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에 사용되는 채권을 말한다.
채권을 살 때는 신용등급을 봐야 한다. 신용등급이 정해져 있다. 채권별 안정성을 표시한 것이다.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BBB+ 이상 매수를 권한다. 만기는 길수록 이자가 세기 때문에 긴 것을 선택하는 게 좋다. 최소 2~3년은 되어야 한다.
채권이 리스크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부도 리스크가 있다. 파산하면 휴지가 된다. 금리 리스크도 있다. 채권은 시중 금리와 반대로 움직인다. 시중 금리가 높으면 채권 이자가 낮고, 시중 금리가 낮으면 채권 이자가 높다.
[상기 이미지 및 원고 출처 : 신한 미래설계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