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6년 인조 14년 청의 수십만 병사가 조선으로 쳐들어왔다. 인조는 강화도로 피신하려고 했지만 정세가 너무 급박하게 돌아가자 세자만 보내고 남한산성으로 길을 바꿔 청군에 포위당한 채 47일간을 버텨야했다. 사가들은 이를 병자호란이라 불렀다.

 

김훈 원작, 황동혁 감독의 영화 남한산성은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신하는 장면으로부터 시작된다. 김상헌(김윤식 분)은 홀로 남한산성으로 가기위해 안내를 받아 얼어붙은 강을 건넌 후 안내를 한 뱃사공을 단칼에 베어버린다. 영화에서 척화파를 대변하는 그를 넌지시 악으로 암시하는 장면이다. 그렇다면 선은 누구일까. 김상헌의 대척점에서 외롭게 주화파를 자처하고 있는 최명길(이병헌 분)이다. 최명길은 “누구를 위한 대의와 명분이냐”고 물으며 “청과 화친하여 전쟁을 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화는 이분법적 사고로 선과 악을 구분하는 듯하다. 그러나 역사를 선과 악으로 나누기는 어렵다. 과거 임진왜란 당시 조선을 도와 일본을 몰아낸 경험이 있는 신하로서는 명을 위한 의리 즉 대의명분을 중요시 여기지 않을 수 없다. 다만 여기서 우리가 간과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민중의 어려움이다. 죽어도 명분을 지켜야 한다는 척화파의 주장보다 당장은 자존심 상하지만 살아서 백성을 보듬고 죽는 것이 임금인 위정자가 해야 할 일은 분명하다.

 

청은 여진족의 후손이다. 여진은 사실 고구려와 발해의 후손들과 구분하기 쉽지 않다. 청은 같은 여진족이라고 생각했다. 조선에 대해 커다란 적대감도 없었다. 다만 명과의 전쟁 중 후방의 조선 때문에 혼란이 야기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만일 인조가 광해군처럼 중립적 외교정책을 썼더라면 병자호란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당시 동아시아의 정세는 심상치 않았다. 중원의 명나라 동북부, 옛 발해의 진원지에 청이 들어서 중원을 위협했다. 청을 세운 누르하치는 명을 증오했다. 여진족인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같은 여진족을 정벌하는 전쟁에 참여했다가 명의 군사에게 피살당했기 때문이다. 누르하치는 명에 대한 복수의 칼을 숨기지 않았다. 마침내 옛 발해지역을 대부분 통일하여 칸의 지위에 오른 누르하치는 후금을 칭하며 호시탐탐 명을 위협했다. 그러나 누르하치는 명과의 전쟁 중 사망한다. 이후 누르하치의 8남인 청태종 홍타이지가 황제로 등극했으나 여전히 후금은 중원의 위협이었다.

 

광해군 재위 때 명으로부터 군사를 보내라는 요청이 왔었지만 절묘한 중거리 외교로 당시 후금으로부터 적대시 되지 않았다. 그러나 인조반정 후 명과의 의리를 지켜야 한다는 대의명분 때문에 조선은 2대 황제 홍타이지의 눈 밖에 났다. 홍타이지는 먼저 조선을 정벌하여 배후의 위험을 제거하고자 했다. 홍타이지는 직접 군사를 이끌고 남한산성까지 왔다. 결국 인조는 삼전도에서 홍타이지에게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는 예를 갖춰야 했다. 오랑캐라 부르며 그토록 멸시했던 여진족의 수장에게 말이 예이지 이마에 피가 날 만큼 아홉 번이나 땅에 머리를 박았다고 하니 그 참혹함이야 어찌 말로 다 할 수 있을까. 그뿐이 아니었다. 봉림대군과 소현세자를 비롯해 50만여명이 인질로 잡혀갔다. 당시 조선의 인구가 500여 만이었으니 인구의 10%를 끌고 간 셈이다. 어떻게 더 참혹한 전쟁이 있겠는가. 당연히 김상헌을 악으로 묘사할 수밖에 없을 터다.

 

영화는 소설처럼 차분히 사실의 묘사에 치중했다. 얼어붙은 한강을 비롯해 배경은 아름다웠다. 그 아름다움으로 인해 대비되는 청군과 조선 병사의 생활상은 더 한층 대비되었다. 청군도 조선 병사도 조선의 음식을 먹었다. 점령군인 청군은 조선인이 키운 소와 돼지를 잡아먹었고, 조선병사는 줄어드는 주먹밥으로 허기를 채우며 먹일 사료가 없어 죽은 말고기를 기다려야 했다. 옷이 없어 가마니를 뒤짚어 쓰고 추위를 이겨야 했고 동상 걸린 손가락 발가락에는 돼지기름을 바르며 견뎌야 했다. 총포는 쏘아도 명중이 되지 않았고 급기야 대장장이 서날쇠의 도움으로 총신을 펼쳐야 했다.

 

설날 아침. 조선의 왕은 오랑캐에게 술과 함께 고기와 떡을 하사했다. 명절이면 이웃과 음식을 나누어 먹는 아름다운 풍습을 오랑캐에게 보여주겠다는 의도였다. 하지만 먹을 음식이 많으니 가지고 가 너희 왕에게나 주라는 말에 분노보다는 차라리 슬픔이 앞선다. 풀 수 없는 문제를 마주했을 때의 느낌이다. 척화를 주장한 김상헌에게 다시 분노의 화살이 돌아가는 이유이다. 왜 실리를 챙기지 못하는 것일까. 왜 관리들은 자기들의 이익에 눈이 멀어 선과 정의를 배척하는가. 부패한 관료상은 서날쇠가 임금의 칙서를 가지고 도원수를 찾아갔을 때 극에 달했다. 죽을 고생을 하고 찾아간 서날쇠가 관리가 아닌 천민이라는 소리에 도원수는 오히려 그를 죽이고자 했다. 사실인지는 모르나 그로 인해 도원수의 군은 청군에게 섬멸 당하고 만다. 악의 척결로 후련해야 했지만 이 또한 풀지 못할 문제를 만났을 때만큼 착잡하기만 했다.

 

오늘 날 한반도의 운명은 당시만큼 복잡하고 위중하다. 만일 전쟁이 일어난다면 남과 북이 모조리 쑥대밭이 될 것은 명약관화하다. 어찌 전쟁을 입에 담을 수 있단 말인가. 어떻게 해서든 평화로운 방법으로 북핵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북한의 핵개발도, 한미동맹도 중요한 사실이고 팩트지만 그 어떤 대의나 명분도 우리 민족의 생존보다 우선할 수는 없다. 남한산성은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면 안 된다는 교훈을 뼈아프게 전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