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지앵, 조선 분청자기서 피카소를 보다
▲(좌)조선 분청자기(16세기), (우)파블로 피카소의 작품.
2011년, 삼성 미술관 리움이 주관한 조선시대 분청사기(粉靑沙器)전이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서 열렸다.
전시된 59점의 분청사기가 뉴욕은 물론 전 세계 미술 애호가의 눈을 매료시켰다는 소식이 국내 언론에 보도되자 감동보다는 덤덤하거나 의아해하는 분위기였다. (주해: 사기(沙器)보다는 자기(瓷器)라는 용어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이후 자기로 쓴다)
그만큼 조선시대의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 예술품에 대한 이해나 관심이 높지 않다고 볼 수도 있겠다. 하지만 분청자기가 외관상 고려청자나 조선백자 그리고 조선 청화백자에서 느낄 수 있는 ‘고귀하거나 우아함’과는 거리가 먼 ‘자유분방함과 대담함’에 현대미술에서 볼 수 있는 ‘추상미’까지 갖추고 있다 보니 많은 이에게 오히려 혼란스럽게 다가가는지도 모른다.
조선 분청자기와 관련한 우화 같은 에피소드가 하나 있다. 1962년 역사적인 ‘한국 고미술 5천년전’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렸다. 그때 국립박물관(훗날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감독관으로 혜곡(兮谷) 최순우(崔淳雨, 1916~1984) 선생이 파견되어 현장을 지켰다. 그런데 당시 그곳 파리에서 유학하던 한국 학생들이 전시장을 찾아왔다가 전시된 조선시대 분청자기를 보고 “저런 옹기그릇을 무슨 국보라고 전시 하느냐? 창피하게!”라고 내뱉고는 전시장을 나갔다고 한다. 당시 국내 최고의 미술 평론가로 이름난 혜곡 선생이 이런 막말을 들었을 때의 심정이 어떠했겠는가 짐작이 된다.
그런데 다음 날, 파리 일간지들이 우리 전시회를 소개하며 “한국에는 500년 전에 피카소가 있었다”며 극찬했다. 금불상, 조선 회화를 비롯해 고려자기, 조선백자 등 다양한 전시품이 많았는데 유독 조선 분청자기를 두고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혜곡 선생은 이 기사를 보고 더없이 위로받았으며, 그 막말을 뱉은 한국 유학생들이 신문 기사를 읽고 반성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서독 프랑크푸르트 전시장에서 혜곡 선생이 필자를 만났을 때 들려준 에피소드이다.
혜곡 선생은 아마도 그 유학생들이 점토(clay)가 원료인 옹기(甕器)는 가마에서 800도에 이르면 힘없이 부스러지는 반면 자기(瓷器)는 1200도에서 더욱 경질화(硬質化)된다는 본질적 차이를 모른다는 사실에 더 속상해했는지도 모른다. 게다가 전시장에서 본 분청자기에 묘사된 색채나 그림이 전혀 우아하지 않았기에 문화적 자긍심을 못 느낀 것이라고 유추해본다. 그런데 바로 그 격 없는 간결함과 엄격한 틀에서 벗어난 대범한 자유분방함이 현대미술과 직결되는 요추였다는 점에서 서양 미술계는 놀라워한 것이다.
이렇듯 16세기에 현대미술적 감각이 스며든 도자기는 물론, 회화 작품 그리고 동양권은 물론 서양 미술계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보적 미감을 지닌 도자기가 바로 우리의 분청자기다. 곱지도 않고, 우아하지도 않은 분청자기를 마다하지 않고 생활 미술품으로 받아들인 당시 소비자 계급인 조선 양반들의 눈높이를 가늠할 수 있다. 위의 두 작품에서 어느 것이 더 해학적인가를 보면 왜 파리지앵이 조선시대의 분청자기에서 피카소를 보고 놀라워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글 이성낙 현대미술관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