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18144d1-9fd9-4e77-aeda-4554f73745da.png
 

 

 

매일 눈앞에서 타오르는 불을 끄느라 종종거리다 보면 계절감 따위는 까마득하게 잊고 산다. 어느 날 문득 고개를 들었더니 붉은 옷으로 갈아입은 나뭇잎이 창밖에서 인사했다. 그제야 , 가을이지하고 중얼거리며 마법의 저주가 풀린 것처럼 정신이 번쩍 들었다.

 

프랑스 소설가 마르셀 프루스트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세월을 붙잡고 싶은 우리의 욕구를 충족하는 것이 불가능해서 다른 이름을 붙여서 해를 나눈다고 했다. 시간이 다른 이름을 갖는다고 분리될 수 있는 게 아닌데도 말이다. 그의 말대로라면, 여름과 가을 사이에 고랑이 선명하지 않다. 그러니까 달라진 공기가 코로 훅 들어오는 한순간, 붉게 물든 나뭇잎을 보는 순간, 계절을 의식하는 게 당연한지도 모른다.

 

 

만보만감13_1.jpg
 

 

 

국립중앙박물관으로 향했다. 엎어지면 코 닿을 곳이고, 가면 늘 감탄하는 곳이지만 약속이란 끈으로 묶이지 않으면 스스로 찾지 않는 곳이다. 손을 뻗으면 언제든 잡을 수 있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보는 저주에 걸리기 마련이다. 지하철역으로 나오자 벽에 기댄 붉은 담쟁이 잎이 내가 어디쯤 와 있는지 알려주었다. 조금 서늘한 공기가 볼에 닿았고, 투명한 가을 냄새가 훅 불었다. 혼자 박물관 정원을 걷고 싶어서 일부러 약속 시각보다 일찍 도착했다. 남산타워가 보이는 계단까지 이르는 길은 작은 대나무숲이다. 이른 시간이라 사람도 드물어 대나무숲을 혼자 오롯이 즐겼다. 시선 각도만 잘 맞추면 콘크리트 숲이란 걸 잊을 수 있을 정도였다. 마지막 대나무 화분이 놓인 길을 빠져나가자 계단 위로 액자에 넣은 파란 하늘이 걸려있는 것만 같은 풍경이 펼쳐졌다. 검지손가락만 한 크기로 보이는 남산타워가 서울 한복판에 있다는 걸 상기 시켜 주었다.

 

 

만보만감13_2.jpg
 

 

 

계단 위 하늘을 가르는 몇몇 사람이 실루엣으로 움직이고 있었다. 그중 중년 남녀가 시선을 끌었다. 두 사람은 한 손에 우산을 들고 이리저리 움직였다. 움직일 때마다 우산도 움직였다. 우산을 서로 맞댔다가 팔을 위로 들어 올리기도 하고, 뒤돌아 우산을 어깨에 걸치기도 했다. 마치 무성영화 시대의 영화 속 인물들 같았다. 무성영화 시대에 일과를 마친 노동자가 극장으로 달려가서 하루의 고단함을 잊고 스크린에서 일어난 이야기에 몰입했던 것처럼 나는 그들이 즉흥으로 펼치는 마임 공연의 열렬한 관객이 되었다. 극장의 어둠은 일상을 심연으로 던져버리고, 환한 스크린이 환상의 세계를 선사했다. 나는 그들 덕분에 잠시 다른 세계에 빠졌다. 서울을 상징하는 남산타워가 있는 하늘 프레임에 쏙 들어가 잠시 자신만의 세계에 빠진 두 사람이 누리는 즐거움은 내 즐거움이 되었다. 계절 사이에 있는 희미한 고랑을 느끼며 걷고 있는 것 같았다. 영화는 끝나기 마련이고, 그들의 공연도 끝나버렸다. 맛있는 음식을 다 먹어버린 후 못내 아쉬워서 빈 그릇을 보며 입맛을 다실 때처럼 마지못해 발을 질질 끌며 거울못으로 갔다.

 

 

만보만감13_3.jpg
 

  

 

거울못은 바닥이 다 보이는 얕고 투명한 못이다. 이름처럼 진짜 거울을 마주하고 있는 것 같았다. 높고 투명한 가을 햇빛을 받아 생긴 윤슬이 거울못을 유리 바닥으로 바꾸어 놓았다. 못 표면에서 일렁이는 잔물결의 반짝임이 너무 강렬해서 눈을 뜰 수 없었다. 이 아름다움을 눈에 넣으려고 햇빛과 싸웠다. 달달해서 기분 좋은 싸움이었다. 투명하고 바삭한 가을 햇빛은 얕은 못에만 내려앉은 게 아니라 내 온몸에도 내려앉았다. 햇살이 제법 두꺼운 옷을 뚫고 내 몸을 달구었다. 이 싸움에서 이기는 것은 무용했다. 햇빛에 몸과 마음을 맡기기로 했다. 눈을 감고 어디에 서 있는지 잊기로 마음먹자 머릿속이 풀리며 느슨해졌다.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번잡함에서 빠져나와 느른하게 보내는 가을 한나절을 내게 선물하기로 했다. 눈을 천천히 다시 뜨고 여전히 반짝이는 윤슬을 바라보았다

 

 

50+에세이작가단 김남금(nemoness@naver.com)   




f5eed845-ed8b-4117-9d11-c7334d22f1ea.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