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에서 배우는 성공학, 인물학

 

 

 

 

돈은 ‘돈다’라는 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한곳에 머물지 않고 돌아다니는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해진다.

 

돈의 힘을 나타내는 말로 ‘돈이 장사’ ‘돈만 있으면 귀신도 부릴 수 있다’ 등이 있다. 돈은 상상 이상의 위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인지 돈을 버는 방법이 우리의 주요 관심사가 된 지 오래이며 돈에 의해 지배 당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돈은 어떻게 알고 다스려야 할까?

 

돈은 언제부터 사용되어 왔을까? 아마도 물건의 교환이 빈번해지면서 사람의 왕래가 많아지고 물건과 바꿀 수 있는 무엇인가가 필요했을 것이다. 그 필요한 것을 바꿀 수 있는 수단으로 돌로 만든 돈을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돈은 기원전 4000년 말에 나온 신석기 돌돈으로 보고 있으며 돈이란 말도 돌에서 유래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돈은 우리의 생활에서 가장 필요한 것이기도 하고 행복과 불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렇게 우리 주변에 가장 가깝게 있으면서 친숙할 수도, 멀리할 수도 없는 돈이란 존재를 어떻게 알고 다스려야 할까.

 

우리나라의 화폐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후인 1948년 8월 당시 유일한 법화인 조선은행권이 사실상 무제한으로 발행되었고 1941년 이후에는 은행권 발행에 있어서 ‘최고 발행액 제한 제도’가 운용되었다. 광복 뒤에 바로 중앙은행법이 제정되지 못하였기에 법제 면에서는 ‘최고 발행액 제한 제도’가 계속적으로 적용되었으나 정치·경제적 혼란으로 인해 사실상 유명무실하였다. 갑작스러운 6·25동란으로 은행에 남아 있던 조선은행권을 미처 폐기하지 못한 정부는 적성 통화의 유통을 막아 적군의 경제 교란 행위를 봉쇄하기 위해 1950년 8월 28일 대통령 긴급명령 제10호로 ‘조선은행권의 유통 및 교환에 관한 건’을 공포하여 ‘제1차 통화조치’를 취하였다.

 

 

  ▲1950년 7월 발행된 천원권 앞면 이승만 대통령의 초상 사용.

 

 

휴전협정 체결 직전인 1953년 2월에는 대통령 긴급명령 제13호에 의해 ‘제2차 통화조치’를 취했다. 이에 따라 모든 원화의 유통을 금지하고 모든 거래와 원화 표시의 금전 채무는 100 대 1의 비율로 절하시켜 그 단위를 새로운 ‘환’으로 개칭하게 되었고 새로 발행된 신 한국은행권 1환, 5환, 10환, 100환 등 5종의 화폐가 통용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환권은 이승만 초대 대통령 초상으로 발행되었으며 주화에도 이승만 대통령과 거북선, 무궁화 등이 도안되어 있다.

 

정부는 1962년 6월 화폐단위를 환에서 원으로 개칭하며 환가 비율을 10분의 1로 절하하는 ‘제3차 긴급통화조치’를 단행하였다.

 

 

돈에 있는 인물은 어떤 역할?

 

우리나라 돈에는 어떤 인물이 있는지는 잘 알지만 그분들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1965년 8월 14일 발행된 백원권에는 세종대왕 초상 사용.

 

 

우리나라의 화폐 인물 중 유일한 무인(武人)은 충무공 이순신(1545~1598)이다. 1970년 100원짜리 주화에서 처음 나타났고 이후 1973년에 발행된 500원권 지폐에도 재현되었다.

 

충무공 이순신의 초상은 현충사에 봉안된 장우성 화백의 그림으로, 당시의 실제 모습이 아니라 전해지는 이야기나 짧은 기록을 토대로 그려진 후 국가에서 표준 영정으로 지정하여 우리에게 알려진 것이다. 세간에서는 이 초상의 얼굴이 무인의 얼굴이 아닌 문인의 모습이라 바꾸어야 한다는 말이 많이 나왔다. 인상학을 연구하는 필자의 입장에서 그 말은 공감이 가지 않는 부분이다. 장수(將帥)의 이미지는 삼국지의 장비를 연상하여 굵고 짙은 눈썹이 위로 향하고 눈도 날카롭게 올라가 있으며 두툼하고 큰 입으로 호통을 치며 거칠고 강한 면을 먼저 떠올린다.

 

충무공 이순신의 얼굴이 화폐에 들어간 이유는 여러 가지로 알려져 있지만 그중 하나는 박정희 대통령이 이순신 장군을 존경하였다는 것이다. 그 이면에는 국민들의 애국심을 유도하면서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구국의 영웅 이미지를 통해 군인 출신인 자신의 통치를 합리화하며 나라를 사랑하고 국민을 아끼는 이미지를 은연중에 스며들게 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군인을 보는 시선을 민족과 국가를 구하는 선한 시선으로 유도하기 위함이었다는 의도가 있다고 보는 것은 분단된 나라에서 살고 있는 우리가 안고 가야 할 어쩔 수 없는 운명이라 할 수 있다.

 

 

  ▲1973년 9월 1일 발행된 오백원권에는 이순신 초상과 거북선을 사용.

 

 

마음은 곧 얼굴이라고 할 수 있다. 충무공 이순신의 얼굴에는 뛰어난 지략을 갖추고 깊은 고뇌를 하며 백성의 고통을 함께 아파하고 전쟁 중에도 일기를 쓰는 세밀하고 섬세함이 있다.

 

혹여나 자신의 선택이 올바르지 않으면 어쩌나 하는 마음으로 윷 점을 치면서 승리를 기원하는 인간 본연의 심성을 지닌 얼굴이다. 시대를 만들어 가는 것이 사람들이다. 사람들은 자신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정신적 지도자를 희망한다. 그런 지도자를 많이 가진 나라를 동경하며 그를 따르고 닮아 가려 하는 것이 우리네 삶이다.

 

충무공 이순신은 살아서는 나라를 구하기 위해 불철주야 고심하며 자신까지 바친 영웅이었으며 370년이 지난 후에는 힘들고 지친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줄 수 있는 인물로 다시 돌아온 것이다.

 

 

 

박정희 혜담(慧潭) 인상코칭 연구원장 ilise0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