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거목 김응룡 감독

 

프로야구 ‘V10’ 위업 이룬 그라운드의 전설

 

 

 ▲2005년 10월 19일 서울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2005프로야구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한 삼성 라이온즈 선수들이

 김응룡 사장을 헹가래치고 있다. <뉴시스 제공>

 

 

1960년대 서울운동장(뒷날 동대문운동장) 야구장에 드나들던 중·장년 야구 팬들은 3루수와 유격수 등 내야수들의 송구를 코끼리가 비스킷을 넙죽넙죽 받아 먹듯 하던 한일은행(우리은행 전신) 1루수를 생생히 기억할 것이다. 그때도 몸무게가 ‘0.1t’을 넘었던, 덩치 큰 이 선수가 뒷날 한국 프로 야구에서 당분간 깨지기 힘든 ‘한국시리즈 V10’을 거두는 지도자가 되리라고 내다본 야구 팬은 그리 많지 않을 듯하다.

 

김응룡(金應龍)은 20세기 초 이 땅에 야구가 들어온 이후 배출된 수많은 야구인 가운데 가장 명예로운 이력을 지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마추어 때는 선수로서 아시아선수권대회 정상에 올랐고 지도자로는 세계 규모 대회에서 한국을 처음으로 정상에 올려놓았다. 1960년대에 벌어진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는 한국이 출전하는, 타이틀이 걸린 유일한 국제 대회였기에 스포츠 팬들에게는 지난해 11월 한국이 초대 챔피언이 된 프리미어 12나 2006년 4강, 2009년 준우승에 빛나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 그리고 올림픽(2000년 시드니 대회 동메달, 2008년 베이징 대회 금메달)에 못지않은 관심을 모았다.

 

프로에서는 해태 타이거즈(9차례)와 삼성 라이온즈(1차례) 사령탑을 맡아 한국시리즈 10차례 우승의 놀라운 기록을 세웠으며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 프로와 아마추어 혼성 대표팀을 이끌고 출전해 동메달을 차지했다. 그라운드에서 물러난 뒤 경기인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프로 야구단 사장에 올랐다. 야구인 김응룡은 지난날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나오기 힘든 영광스러운 길을 걸었다.

 

김응룡은 1939년 음력 3월 1일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태어났다. 그런데 대부분의 프로필에는 1941년 9월 15일로 돼 있다. 지난해 음력 3월 1일은 양력 4월 19일, 일요일이었다. 평생 야구에 파묻혀 살아온 그는 자신의 생일조차 챙겨 본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그런데 지난해 생일은 달랐다. 감격할 만한 일이 있었다.

 

생일 하루 뒤인 4월 20일 낮 12시께, 서울 강남의 한 식당에 선동열 전 KIA 타이거즈 감독을 비롯한 ‘해태 왕조’의 주역들이 스승인 김응룡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조촐한 자리를 마련했다. 그 자리에는 김응룡을 행정적으로 보좌해 V9 신화를 이룬 이상국 전 해태 단장(전 KBO 사무총장)도 함께했다. 자리는 시종일관 화기애애했다. 선동열 등 제자들에겐 ‘영원한 우리들의 감독’일 수밖에 없는 스승 김응룡의 얼굴에는 웃음기가 가시지 않았다.

 

김응룡은 이 자리에서 “이런 생일 자리를 한 번도 가진 적이 없다. 해마다 (4월이면) 시즌에 들어가 있어 (생일이) 며칠 지난 뒤 집으로 가 식구들과 늦은 생일 밥상을 받은 게 고작이었다”면서 제자들의 성의에 거듭 고마워했다.

 

김응룡은 초등학교 3학년 때 발발한 한국전쟁 여파로 아버지 손에 끌려 남쪽으로 왔다. 북한에 있을 때는 축구를 했다. 실업 야구 시절 이후 그를 기억하는 이들에게 ‘축구 선수’ 김응룡은 왠지 어색하다. 부산 개성중학교에서도 축구를 했으나 야구부 주장이 “넌 이제부터 야구 선수다”라는 한마디에 졸지에 야구인의 길을 걷게 됐다. 반세기 전 그때도 야구 도시였던 부산에서는 이런 일이 흔히 있었다.

 

부산상고를 졸업한 뒤 그 무렵 사실상 프로인 실업 야구 강호 농업은행(오늘날의 농협) 야구단 입단이 불발된 건 김응룡의 야구 인생에 거의 유일한 좌절이었다. 이후 한국운수 야구단에 연습생으로 입단했고 한일은행에서 선수 생활의 절정기를 이뤘다.

 

호적상으로 22세 때인 1963년, 김응룡은 야구 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그해 9월 한국은 서울운동장에서 제 5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를 개최했다. 한국은 이 대회에서 재일동포 출신 투수 신용균의 활약에 힘입어 일본을 1차 리그에서 5-2, 2차 리그에서 3-0으로 꺾는 등 1, 2차 리그 합계 5승1패로 1954년 대회 창설 이후 처음으로 우승했다.

 

신용균 외에 역시 재일동포인 서정리와 배수찬, ‘아시아의 철인’으로 불린 박현식, 박영길, 최관수, 김청옥, 성기영, 박정일, 하일 등 이 대회 우승 멤버는 야구 올드 팬들의 기억에 아직도 생생할 것이다. 마운드에 신용균이 있었다면 타격에서는 김응룡이 발군이었다. 김응룡은 23타수 9안타, 타율 3할9푼1리로 타격상을 받았고 사실상의 결승전이었던 2차 리그 마지막 경기인 일본 전에서 1회 선제 타점과 8회 승리에 쐐기를 박는 2점 홈런 등 혼자서 모든 점수를 뽑았다. 2000년대 ‘국민 타자’가 이승엽이면 1960년대 ‘국민 타자’는 김응룡이었다.

 

1960년 효창운동장에서 열린 제 2회 아시아축구선수권대회에 이어 국내에서 벌어진 아시아 지역 구기 종목 선수권대회에서 거둔 두 번째 우승에 온 나라는 기쁨에 들썩였다. 이 대회 우승과 함께 박정희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의 특별 지시로 1966년 9월 서울운동장 야구장에 야간 경기를 할 수 있는 조명 시설이 설치됐다.

1966년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한일은행 선수 겸 코치로 그라운드를 누비던 김응룡은 1977년 국가 대표팀 감독에 선임된 첫 번째 국제 대회에서 지도자로서 ‘대박’을 터뜨렸다. 거의 모든 야구 팬들이 알고 있는 슈퍼월드컵 우승이다. 한국 야구가 세계 규모 대회에서 처음으로 정상에 오른 이 대회에 김응룡은 코칭스태프로 유백만(한국화장품 감독)과 이재환(연세대학교 감독)을 거느리고 출전했다. 유남호(아마추어 롯데 자이언츠) 이선희 이해창(이상 육군) 최동원 김봉연(이상 연세대) 임호균(동아대) 심재원(한국화장품) 김재박(영남대) 배대웅(기업은행) 윤동균(기업은행) 장효조 김시진(이상 한양대/ 이상 당시 소속팀) 등 신세대 야구 팬들에게도 그리 낯설지 않은 선수들이 주전이었다.

 

제 3회 슈퍼월드컵 세계야구대회는 1977년 11월 니카라과에서 열렸다. 한국은 9개국이 출전한 대회 예선 리그에서 숙적 일본에 0-1로 졌으나 개최국 니카라과를 8-1로 크게 물리치는 등 5승3패를 기록해 8전 전승의 미국에 이어 2위로 6개국이 겨루는 결승 리그에 올랐다. 한국은 결승 리그 첫 경기에서 미국에 0-2로 졌으나 니카라과를 13-3, 7회 콜드게임으로 물리친 데 이어 콜롬비아를 4-1로 제치고 상승세를 타더니 푸에르토리코와 연장 12회까지 가는 접전 끝에 4-2로 이겨 3승1패로 최소한 3위를 확보했다.

 

한국은 5차전에서 일본과 다시 만나 이선희가 완투하며 3-2로 승리해 미국과 4승1패로 공동 1위가 됐다. 왼손잡이 이선희의 이 대회 호투는 이후 각종 국제 대회에서 일본이 한국의 왼손잡이 투수만 만나면 고전하는 시발점이 됐다. 애초 대회 규정은 승률로 순위를 가리게 돼 있었다. 규정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의 공동 우승이었다. 그러나 대회 주최 측이 갑자기 우승 결정전을 갖는다고 발표해 한국과 미국은 이 대회에서만 3번째 경기를 갖게 됐다. 한국은 예선 리그에서는 미국에 4-5로 졌다.

 

미국은 대학 선발팀이었다. 한국은 프로가 출범하기 전이었으니 두 나라 아마추어 야구 최고 선수들이 기량을 겨룬 것이다. 한국은 2-3으로 뒤진 6회 초 김봉연의 솔로 홈런으로 3-3 동점을 만든 데 이어 2사 2, 3루에서 이해창이 2타점 중전 결승타를 터뜨려 5-4로 이겼다. 12월 2일 귀국한 선수단은 김포국제공항에서 서울시청 앞까지 카퍼레이드를 펼치며 시민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지도자 김응룡의 금의환향이었다.

 

그리고 1983년, 1년 여의 미국 야구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해태 지휘봉을 잡은 김응룡은 그해 곧바로 한국시리즈 정상에 오르면서 화려한 프로 시대의 막을 열었다.

 

 

 ▲2015년 12월 7일 오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15 카스포인트 어워즈에서 레전드상을 수상한 김응룡

 전 감독이 소감을 말하고 있다. 

 

 

선수 김응룡이 마지막으로 출전한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는 1971년 제 9회 대회였다. 한국은 1963년 제 5회 대회에 이어 이 대회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제는 흔적조차 찾기 어려운 서울운동장에서 열린 이 대회는 야구 올드 팬들에게는 ‘애국 판정’으로 특별히 기억된다. 호주가 처음으로 참가한 이 대회 1차 리그에서 한국은 고전을 거듭했다. 첫 경기에서는 필리핀을 2-0으로 잡았으나 자유중국(오늘날의 대만)과 0-0으로 비긴 데 이어 일본에 2-3으로 역전패했다. 이어 호주에도 4-5로 져 1승1무2패로 5개국 가운데 4위로 처졌다. 일본은 4전 전승으로 1차 리그 1위에 올랐다. 이 와중에 김영조 감독이 저조한 성적에 충격을 받고 입원하고 김영덕 코치가 감독 대행을 맡는 일이 벌어졌다. 한국은 2차 리그 첫 경기에서 필리핀을 5-1로 완파한 데 이어 자유중국을 9-1로 크게 이겼다. 한국은 순항하고 있었지만 2차 리그는 이변의 연속이었다. 일본은 첫 경기에서 필리핀을 7-2로 꺾었지만 이후 호주에 0-2, 자유중국에 2-3으로 연패했다. 주심으로 들어간 ‘빨간 장갑의 사나이’ 김동엽 등 한국 심판들의 스트라이크, 볼 판정에 일본 선수단이 아시아야구연맹에 항의하는 소동이 벌어지는 가운데 한국은 호주를 4-0으로 눌러 4승1무2패를 기록하며 5승2패의 일본에 반 경기 차로 따라붙었다. 한국은 대회 마지막 날 일본을 8-3으로 대파하고 우승했다. 한국 심판들의 ‘애국 판정’ 논란이 있었지만 극적인 역전 우승에 야구 팬은 물론 많은 국민들이 열광했다. 이 대회에서 김응룡은 30타수 9안타(0.300)로 타율 5위에 올랐다.

 

 

 

신명철 <스포티비뉴스> 편집위원, 전 <스포츠서울> 편집국장 smc640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