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참 걸을만 하구나 PART3]
아름답고 멋진 도보 여행, 미래세대와 천년 걸어갈 길을 만든다
언제부턴가 ‘걷기’가 유행이 됐다. 걷기 위해 떠나고, 걷기 위해 여러 장비들을 사 모은다. 가끔은 걷는 것의 의미보다 누구나 다 걸으니까 따라 걷기도 했다. 어느덧 유행이란 이름으로 걷기만큼이나 길에게 바라는 것이 많아져 새단장을 요구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걷기에 열광하게 된 것일까. 그리고 아름다운 걷기란 무엇일까. 길 위에서 걷고 길을 만드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지난 3월 1일, 때늦은 함박눈으로 겨울산의 모습을 제대로 갖추고 있던 우면산 초입에서 사단법인 아름다운 도보여행(이하 아도행) 회원들과 손성일(孫成一·45) 대표를 만났다. 아도행은 2008년 4월 포털사이트 카페 모임으로 시작해 걷는 길을 개척하고 복원하는 사단법인으로 발전했다. 회원수가 2만7000명이 넘을 정도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아도행. 이들의 일정표는 거의 매일이 걷기 모임으로 빼곡하게 잡혀 있다. 국내 유명하다는 길은 물론이고 일본, 홍콩 등 걷기 좋은 길을 찾아다니고 있다. 3월에도 아도행 회원들은 7박 8일 일정으로 홍콩 걷기를 하고 돌아왔다.
아도행은 앞에서도 말한 것처럼 단순한 걷기뿐만 아니라 한국을 대표하는 도보길인 ‘삼남길’을 개척하고 복원하는 일을 한다. 이들이 외국 도보여행을 하는 이유도 좋은 곳을 걷는 것을 넘어 다른 나라의 길에서 배워야 할 부분들을 찾는 것이다. 이들은 우리나라의 땅끝 해남에서 유럽의 땅끝 피스테라까지 미래 세대가 함께 걷는 길을 만드는 것이 꿈이다. 아도행은 해남 땅끝부터 남태령까지 1만km 이상을 조사해 작년 5월, 7년 만에 600km에 달하는 삼남길 구간을 확정지었다.
느림 속에서 섬세함을 발견하다
아도행 회원들 대부분이 50대 이상의 남녀 시니어들이다. 이들 대부분 걷기 모임에 들어오기 전까지 등산을 했고, 자전거를 탔다고 했다. 여행을 좋아해 국내외 여러 곳을 돌아다닌 사람들이다. 그러던 어느날 영상처럼 빠르게 지나가던 차창 밖에 발을 내딛는 순간 세상이 달라 보였다고 말했다. 걷기 여행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바로 섬세함이다. 차를 타고 지나쳤던 그 길에 발이 닿으니 몰랐던 것들이 보였다고. 길 틈에 난 꽃, 예쁜 도자기 귀걸이를 파는 가게 등이 말이다.
그래서 그런가. 유독 걷기여행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사진 찍기에도 관심이 많단다. 걷다보면 서 있을 시간도 많다. 작은 꽃, 바람에 흩어진 구름을 찍기에 길만큼 좋은 곳이 없었다고 한다. 걷기는 인생의 축소판이다. 걷다 보면 꼭 좋은 길만 만나는 것이 아니다. 전 구간이 예쁘다고 말하는 길도 꼭 다 예쁘지만은 않다. 꽃길, 숲길, 흙길, 때론 먼지투성이 길을 걷게 된다. 갑작스런 진흙탕을 밟을 수도 있다. 걷는 것이 인생에 비유되는 이유다. 아도행 회원들은 속도를 내 걷거나 목적지에 다다르기 위해 걷지 않는다. 이쯤 걸었으면 됐다 싶을 때 멈춰서도 된다고 말한다. 등산처럼 등정에 대한 압박을 느끼지 말고 걸을 수 있을 만큼만 걷기를 권한다.
▲지난 3월 1일, 아름다운 도보여행 회원들은 삼남길 서울구간 우면산 코스에 길 표시 작업을 했다.
삼남길, 천년을 넘어 세대를 잇는 길을 만들다
3월 1일, 아도행 회원들은 서울 안 삼남길 표시작업을 위해 모였다. 남태령에서 남대문까지의 삼남길 서울 구간 내의 우면산 코스의 길 표시 작업이었다. 서울 구간에 처음으로 길 표시를 하는 날이기도 했다. 초록색과 노란색으로 각각 서울과 땅끝 해남으로 향하는 표시를 사람들 눈에 잘 보이는 나무나 전봇대에 그렸다. 아도행은 앞으로 서울 구간과 의주길을 완성하고 충청수영로와 통영별로를 포함해 우리나라의 삼남(충청,전라,경상도) 지방을 모두 연결할 계획이다. 통일이 되면 북한 땅을 지나 실크로드를 넘어 유럽까지 이어지는 길을 개척하고 관리 운영할 것이다.
단순히 걷는 것도 모자라 길을 만드는 사람들. 이쯤 되면 정말 걷기에 미친 사람들이 모였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런데 이들은 자신들이 누리기 위해 길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삼남길은 과거 사람들이 지나다녔던 길을 복원한다는 의미도 있기 때문에 과거, 현재, 미래 모두가 걷는 길이 될 것이라고 한다. 지금까지 나만을 위해 걸었다면 이제는 후세에 오래도록 남을 수 있는 길을 물려주고 싶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너무 길이 많다는 게 문제라고. 걷는 게 유행이 되면서 이런저런 이름으로 붙여진 길들이 생겼다.
어떤 길은 이름이 8개가 되는 곳도 있다. 이름이 달라 다른 길로 알고 왔다가 같은 장소에 여러 번 갈 수 있다는 뜻이다. 지금은 유행이고 지역마다의 사정 때문에 어쩔 수 없다. 언젠가는 합의하고 조율해 모두가 한곳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제대로 된 길이 만들어져야 할것이다.
▲봄의 길목, 아도행 회원들은 싸늘한 날씨를 이겨내며 천년 걸어다닐 길에 표시 작업을 했다.
손성일 대표가 생각하는 아름다운 도보
아도행의 손성일 대표는 자신을 도보 여행가 또는 로드플래너라고 지칭한다. 걷기에 발을 들이기 전 20여년 동안 등산에 미쳐 백두대간을 400회 이상 올랐다.
그러다 스페인 산티아고에 대한 책을 읽고 막연하게 한번 가보고 싶다는 꿈을 꾸다 잘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그곳을 향했다. 그리고 3개월 동안 걸었다. 그곳을 걸으면서 꿈꾼 것이 한국에도 사람들이 천년의 시간을 흘러 걸을 수 있는 길을 만드는 것이었다. 스스로 걷기의 의미를 찾는 것을 넘어선 사람이다.
손 대표는 “산티아고도 그렇지만 유럽에서는 60년 전부터, 일본의 경우 40여 년전 부터 걷기 열풍이 불었다. 우리나라도 이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기 때문에 걷기에 대한 관심이 더 고조될 것이다”라고 한다. 이제 무릎이 안 좋아져서 산에서 내려와 걷기를 시작한 시니어가 점차 많아지는 추세이므로 실버사업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건강하게 살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걷기가 된 것이다. 손대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바닥이 아니라 숲길, 흙길을 걸으면서 치유하고 자연과 소통을 하면서 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걷기라고 강조한다.
산은 정상이라는 경계가 있지만 길은 경계 없이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그저 수평적으로 걷기. 자기 마음속으로 어디까지 갈지를 정하면 된다. 걷다 마음에 드는 곳이 있으면 편히 쉬었다 가도 그만인 것이 걷기의 매력이다. 결과보다는 과정이 실제로 중요하다. 아도행 회원의 경우 70%가 여성이고, 60대 이상 시니어도 많다. 그래서 손 대표가 회원들과 같이 길을 만들 때 특히 여성에게 편한 길을 조성하고자 한다.
여성 화장실을 두 배 정도 만들어 달라고 지자체에 요청하고 있다. 여성들이 많이 걷고 또 걷기에 불편함이 없으면 남녀노소 누구나 걷기 편한 길이 될 거라 믿는다. 아도행과 손 대표가 만들어가는 삼남길은 제주 올레보다 난이도가 높고 지리산 둘레길보다 난이도가 조금 낮다. 어차피 70%가 산인 나라에서 길을 만들다보니까 매번 평지만을 걸을 수가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걷기를 하면서 대단한 감정이나 꿈을 가지고 걷지는 않는다. 그저 걷는 것만 생각한다. 그 자체가 목적이라는 뜻이다. 손 대표처럼 미래 세대와 함께할 길을 만들겠다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은 한 걸음 한 걸음에 마음을 담아 나 자신을 만나는 것에 집중하지 않을까? 손 대표는 속도와 정확성에서 좀 벗어나 세상을 바라보길 바란다고 했다. 걷는 길 위에서 좋은 소식을 듣고 평안하다면 그것만으로도 아름답지 않을까.
글 권지현 기자 9090ji@etoday.co.kr
사진 이태인 기자 teinny@e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