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상에서 세계화와 문명화라는 이름으로 고유의 전통을 지키는 곳이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는 사실은 안타까운 일이다. 그러나 오직 한 나라,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희귀한 나라가 있으니 바로 부탄이다. 전 세계가 GNP(국민총생산)만을 부르짖으며, 효율과 편리라는 기치 아래 경제성장에 목을 맬 때도, GNH(국민총행복지수)를 최고 정책으로 삼고 있는 나라. 지구상에서 환경보호에 가장 민감하며, 영적인 것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는 나라. 세계에서 가장 늦은 1999년에 텔레비전이 도입되었고, 유일한 금연 국가로 담배 제조 및 판매가 금지되어 있다. 새들의 목에 줄이 걸릴까 염려되어 전깃줄을 잇지 않는 나라. 지극한 불심에서 우러나온 윤회사상으로 살아 있는 모든 생명들을 부모처럼 섬기고 아끼는 나라. 나무 한 그루를 벨 때도 국가의 허가증이 필요한 나라가 부탄이다. 이 나라를 여행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점점 늘고 있지만 부탄은 환경과 전통 보호 차원에서 일일 관광객 숫자를 제한하고 있다. 돈을 위해서라면 못할 게 없는 듯한 분위기가 팽배한 나라에서 살아온 나는 도대체 무엇이 이토록 도도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하는지 궁금했고 그 비밀을 찾아 부탄으로 날아갔다.
국민 행복이 국가 정책인 나라
히말라야 동쪽에 위치한 불교 왕국. 북으로는 티베트, 남쪽과 동쪽으로는 인도, 서쪽으로는 인도 시킴 주가 국경을 접하고 있는 곳. 전체가 산악 지형(해발 150m에서 7000m)이고, 자신들의 고유 언어인 종카어를 쓰는 나라. 수백 년동안 외부 세계에 문을 닫고 폐쇄적으로 살아왔으며, 한 번도 다른 나라의 지배를 받거나 식민지였던 적이 없는 독립심 강한 나라.
부탄이 결정적으로 세계인들의 관심을 끌게 된 것은 이 척박해 보이는 나라가 선진국들을 다 제치고 국민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나라로 랭크되면서부터다.
이상적인 지도자를 국왕으로 둔 행복한 국민들
“세상에 그런 지도자가 어딨어?” 정치가들에게 실망할 때마다 우리가 하는 말이다.
그러나 ‘이상적인 지도자’를 국왕으로 둔 행복한 국민들의 나라가 있으니 바로 부탄이다. 부탄의 집집마다, 거리마다 국왕과 왕비의 사진이 넘쳐난다. 그 이유를 알기 전까진 잔뜩 의심스러웠다. ‘행복 국가라더니 여기가 북한도 아니고 국왕 사진이 너무 많잖아!’ 마치 충성을 강요하는 것처럼 보여 실망스러웠다. 그러나 그게 아니었다. 부탄 국민들의 국왕에 대한 사랑과 존경은 실로 대단했다. 그들은 1대 국왕부터 5대 국왕까지 모두 다 존경하지만 특히 3대, 4대, 5대 국왕에 대한 사랑은 절대적이다. 3대 국왕이었던 지그메 도르지 왕축은 현명하고 빠른 판단으로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부탄의 독립을 지켜냈다. 그러나 3대 국왕은 일찍 사망하고 만다.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4대 국왕은 고작 17세였지만 국민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국가로의 초석을 다졌다.
과거의 미덕을 돌아보게 하는 백미러 같은 곳
행복에 관한 연구들은 전통과 문화를 지키는 삶이 가져다주는 강한 정체성이 행복감에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의상에서부터 가옥, 노인 공양에 이르기까지 전통을 고스란히 간직한 부탄 왕국의 모습은 세계 어디를 가든 똑같은 패션과 풍경을 보게 되는 여행자에겐 신기하고도 이색적인 풍경이 된다. 부탄 여행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 중 하나는 언제나 전통 의상을 입고 생활하는 사람들이다. 남자들의 의상은 ‘고(goh)’, 여자들의 의상은 ‘키라(kira)’라고 하는데 학교에 갈 때는 물론 농사를 짓거나 일상생활을 할 때도 늘 전통의상을 입고 있다. 부탄인 가이드도 더운 날씨임에도 전통 복장인 ‘고’를 갖춰 입었다. 법으로 정해져 있어 지켜야 한다면서 땀을 뻘뻘 흘렸다. 부탄 국적을 가진 사람은 전통 복장을 입는 것이 법으로 정해져 있다 하니 이 나라가 전통을 지키기 위해 얼마나 몸부림치고 있는지 알 만했다.
도출라 고개에서 맛보는 장엄한 대서사시, 히말라야 파노라마
팀푸에서 17세기에 부탄의 겨울 수도였던 푸나카(Punaka)로 가는 길, 해발 3140m의 도출라(Dochu-la) 고개에서는 히말라야 파노라마를 감상할 수 있다. 등반을 하지 않고도 눈 덮인 히말라야의 장관을 눈앞에서 볼 수 있는 행운은 부탄 여행이 주는 가장 큰 선물일 것이다.
여름 수도였던 파로(Paro)에는 부탄의 상징과도 같은 절벽사원 탁상 곰파가 있다. 차를 타고 2600m까지 올라갈 수 있지만, 3140m 탁상 곰파까지는 무조건 걸어서 가야 한다. 영화 ‘리틀 부다’의 촬영지였던 파로종에서는 아름다운 꽃들과 나무들이 마치 지상의 것이 아닌 양 환상적인 풍경을 연출하고 있었다. 그 사이사이로 자줏빛의 승복을 입은 꼬마승려들과 마니차(불교 경전을 넣은 경통)를 들고 코라(탑 주변을 시계 방향으로 도는) 의식을 하는 순박한 사람들도 만났다.
파로종 옆에 있는 오래된 나무다리에서는 학교에 가는 순수한 얼굴을 만났다. “쿠주장폴라(Ku-Zu Zangpo-la, ‘안녕하세요’라는 뜻의 부탄어)”라고 인사하니, 수줍은 듯 “쿠주장폴라” 하고 답한다. 사진기를 들이대니 바쁜 걸음을 멈추고 기꺼이 모델이 되어준다. 여러 컷을 찍는 동안 가만히 기다리는 소년에게 이제 충분하니 가도 좋다고 신호를 보내니 그제야 발걸음을 옮긴다. 순간 부탄의 속담 한 구절이 떠올랐다.
“당신이 친절하다면 가난해도 상관없다. 당신이 관대하다면 게을러도 상관없다. 하지만 가장 나쁜 것은 거만함이다.”
어디서나 눈에 띄는 룽다 깃발과 초르텐
마음의 안정을 얻을 수 있는 가장 빠른 지름길은 죽음을 직시하는 것이라 한다. 부탄에서는 매일 다섯 번 죽음을 생각하라고 가르친다. 삶과 함께 죽음을 바라보는 태도는 당장 눈앞의 일에 급급해하며 살아가는 것을 막아준다. 산악지대의 왕국 부탄을 여행하면서 특이하게 느낀 점은 묘지가 없다는 사실이었다. 그 이유는 죽음에 대한 불교적 태도 때문인데, 부탄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약 90%는 화장해 강에 뿌린다. 일부는 작은 탑 안에 재를 넣어두기도 한다. 주변엔 108개의 흰색 룽다(lungta) 또는 다르초(darchor)를 건다. 룽다는 티베트어로 ‘바람의 말[馬]’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 바람 부는 곳에 룽다를 걸어놓는 것은 부처님 말씀이 널리 전해지기를 염원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2세 미만의 아기가 죽었을 땐 조장(鳥葬)을 하기도 한다. 유명인이나 부자의 경우는 초르텐(chorten, 塔)을 세운다. 우리나라처럼 매년 제사를 지내지는 않고 2~3년에 한 번씩 간단한 추모식을 갖는다. 부탄 사람들에게 죽음은 끝이 아니고 극락세계로 가는 과정이자 윤회의 한 고리일 뿐 슬픈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행
많은 사람이 히말라야 첩첩산중에 있는 은둔의 왕국 부탄을 찾는 이유는, 척박한 환경임에도 전 세계적으로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나라의 사람들은 과연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는지가 궁금해서일 것이다. 부탄의 지도자는 국민들의 지속 가능한 행복을 위해서는 적어도 무엇이 필요하고, 무엇이 필요 없는지를 정확히 알고 있는 듯했다. 부탄을 여행하면서 그 현명함을 느낄 수 있었다.
물론 그렇다고 아무 문제가 없는 완벽한 나라는 아니었다. 텔레비전이 도입되면서 젊은이들은 변화를 겪고 있고 부탄에 와 있는 인도, 네팔인들과의 마찰도 왕왕 일어난다. 세상에 완벽한 국가는 없다. 그러나 부탄 여행은 국민을 참된 행복으로 이끄는 ‘이상적인 지도자’가 현실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우리의 삶이 ‘경쟁’과 ‘돈’이 아니어도 충분히 행복하게 공존할 수 있다는 너무나도 당연한 사실들을 재발견하도록 해준다. 부탄의 한 사원에는 제2의 부처로 추앙받는 구루 린포체가 한 말이 새겨져 있다.
“변하는 것은 시대가 아니라 우리들 자신이다. 자신이 살아온 나쁜 업은 생각하지 않은 채, 평화도 없고 우주 만물의 조화도 깨진 시대 탓만 하는구나.”
글·사진 이화자 68hjle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