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변 흩날리던 매화의 환생 매화마름!
“저 매화 화분에 물 주어라[灌盆梅].” 우리의 옛 선비들이 매화를 얼마나 지극정성으로 아끼고 좋아했는지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한마디 말입니다. 조선 중기의 대학자 퇴계 이황(李滉·1501~1570) 선생이 세상을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남긴 유언이라고 제자 이덕홍(李德弘)이 <계산기선록(溪山記善錄)>이란 문집에 전하고 있습니다. 생전 100여 편이 넘는 매화시를 짓기도 했고, 500년이 지난 현재 1000원권 지폐에 활짝 핀 매화꽃과 함께 초상이 등장할 정도이니 선생의 매화 사랑이 얼마나 유달랐는지 짐작이 가면서, 그런 유언을 남겼을 만하다고 이해가 됩니다. 그러나 ‘한평생 추워도 향기를 팔지 않는 매화[梅一生寒不賣香]’에 대한 옛 선비들의 사랑과 연모는 다소간의 정도 차이는 있을지언정 대동소이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매화는 봄을 알리는 꽃이란 명성답게 제주 등지에서 1월부터 피기 시작하는데, 3월 중순이면 전남 광양과 경남 양산에서 매화축제가 열릴 정도로 만개합니다. 특히 전남 광양과 구례, 경남 하동 일대의 매실나무에 하얗게 꽃이 필 무렵이면 굽이굽이 흐르는 섬진강도 봄바람에 휘날린 매화 꽃잎이 물 위에 가득 내려앉은 듯 반짝반짝 빛이 납니다. 그렇게 섬진강 가에서 흩날리던 매화 꽃잎이 섬진강 물에 어지러이 내려앉았다가 서해 바다를 거쳐 강화도로, 안면도로, 더 멀게는 백령도까지 올라가 모내기 전 물이 찬 논에 하얀 눈이 내린 듯 환생한 게 아닌가 싶은 꽃이 있습니다.
바로 매화마름입니다. 계절의 여왕이라는 5월 강화도를 비롯해 서해안 일대 논이나 수렁 등 여기저기에 잡초처럼 피어나는 꽃입니다. 꽃은 물매화를, 잎은 붕어마름을 닮아 ‘매화마름’이라고 이름 지은 이 수생식물은 모내기 전 물이 고인 논이나 습지, 연못 등에서 흔하게 만나던 꽃이었습니다. 농약 사용이 보편화하고, 논이 밭이나 과수원 등으로 바뀌면서 그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어, 한동안 한란·나도풍란·광릉요강꽃·섬개야광나무·암매와 함께 환경부 지정 6대 멸종 위기 야생식물(1급)로 보호받다가 몇 해 전에야 2급으로 내려앉았습니다.
“어디서 봤더라. 어디서 봤더라.” 기시감(旣視感)이라고 하지요. 전에 어디선가 본 듯한 느낌. 매화마름을 처음 만났을 때 단번에 떠올린 단어입니다. 물속으로 파고든 뿌리에서 뻗어 나온 수십 가닥의 줄기가 거의 수면에 붙어 방사상으로 퍼지고, 그 줄기에서 마디마디마다 꽃자루가 올라와 손톱 크기의 흰 꽃을 무수히 피워냅니다. 그런데 유심히 살피지 않으면 그저 물속에 보잘것없는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는구나 하고 지나치기 십상인데, 꽃자루 끝에 하나씩 달린 1cm 크기의 꽃을 자세히 살펴보고 5장의 꽃잎이 가지런한 매화를 떠올리고 매화마름이라 작명한 그 안목과 재치에 놀라면서 “아, 맞다. 두 달여 전 섬진강 가에서 보았던 매화를 똑 닮았다.”라고 무릎을 칩니다.
▲매화마름. 학명 Ranunculus kazusensis Makino.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 수초. 멸종 위기종 2급.
Where is it?
주로 서해안 지역에 국한되어 있기는 하지만, 강화도에서부터 안면도까지 비교적 자생지의 폭이 넓다. 최근 백령도 등 서해 섬 지역의 논에서도 자생하는 게 확인된 바 있다. 충남 태안군 남면 신원리 곰섬 입구의 논에서는 국내 최대 규모인 집단 자생지 2만㎡가 발견되기도 했다. 서울에서 가까운 인천광역시 강화군에도 송해면 당산리 등 여러 곳에 자생지가 있다. 특히 초지대교 건너 길상면 초지리 큰길가에는 한국내셔널트러스트 ‘시민유산 1호 강화 매화마름 군락지’(3,014㎡)가 있다. 매화마름이 자생하는 초지리의 이 논은 2008년 논 습지로는 세계 최초로 람사르습지로 등록되는 역사적인 기록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글 김인철 야생화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