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4000봉을 향해 오늘도 산을 오르는 70대 산사나이 문정남
“이젠 안 가본 산봉우리가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취재를 위해 전화를 걸 때마다 그는 늘 산, 아니면 제주 오름에 있었다. 매일같이 산에 오르고, 등산했던 기록을 정리하면서 일과를 마무리하는 문정남(文政男·75)씨. 이제 그만 올라도 될 텐데, 70대 산사나이는 아침이 되면 또 새로운 산봉우리를 만나기 위해 길을 나선다.
“선생님, 시내 가까운 산으로 가면 안 될까요?”
한 TV 프로그램에서 전투적으로 등산하는 문정남씨의 모습을 보고 난 후였다. 겨울 산을 오르는데 카메라 감독이 따라가지 못할 정도였다. 혹시 나의 미래 같은 불길함. 인터뷰만 좀 하면 되지 않을까? 힘든 산은 제발 피하고 싶어 조심스럽게 여쭸다. 그런데 돌아온 대답은 NO!
“나는 갔던 산은 가지 않아요.”
조율을 거듭해 만난 장소는 경기도 남양주의 천마산역(경춘선). 나름 등산복장은 완벽하게 준비해 갔다고 생각했다. 812m 천마산 정상에 올랐을 때. 내 손에는 문정남씨의 스틱이 들려져 있었다.
문정남씨는 매일 산을 오르는 산사나이다. 지원해주는 스폰서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저 산이 좋아 시작했고 그러다 보니 1000봉, 4000봉, 1만봉, 1만3000봉을 올랐다. 취재를 위해 만났던 4월 4일에도 마치고개 봉우리 3곳을 올랐다. 최근에는 제주도에 1주일 있으면서 50여 개 오름을 다녀왔다. 제주에 360여 개의 오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지금까지 오른 오름만 360개. 제주 오름은 다 올라갔다고 해도 된다. 육지에서도 이제 오를 봉우리가 몇 안 된다고 했다. 모두 쉽지 않은 코스만 남았다.
문정남씨는 광신정보상업고등학교에서 화학교사로 30년 가까이 재직하다 2000년 2월에 명예퇴직했다. 사실 퇴직 전 학교에서 받은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생활지도 선생을 했었어요. 얼마나 신경 쓸 일이 많은지. 학교 가면 어떤 학생과 싸워야 하나 했어요. 요즘이었으면 제가 아마 학생들한테 많이 맞았을 겁니다. 그때만 해도 학생들이 좀 순수했다는데 선생님들을 얼마나 골치 아프게 했는지 몰라요.”
학교를 그만두고 나오니까 완전히 해방된 느낌이었다고 한다. 퇴직 후 문정남씨는 산에만 다녔다. 그런데 1년 뒤 암 증세가 나타났다. 원인은 스트레스였다.
“이런 얘기를 학생들이 들으면 서운할지 모르겠지만 생활지도 선생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정말 많이 받았습니다. 그게 암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문정남씨는 학생지도 교사를 하는 동안 학생들에게 무섭게 보이고 독하게 행동해야 했다고.
“처음에는 아프지도 않고 통증도 없었어요.”
한창 산에 열심히 다닐 때였다. 하루에 7~8시간씩 산행을 했는데 체중이 3개월 만에 6kg이 줄었다. 그게 이상해서 병원에 갔더니 직장암 2기에서 3기로 넘어가는 단계였다. 죽음의 문 앞에 선 문정남씨. 그런데 등산을 중단해야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죽어도 산에서 죽지 뭐 집안에서 죽냐 생각했어요.”
문정남씨는 포기하지 않았다. 항암치료를 받는 6개월 동안에도 계속 산에 올랐다. 병원에는 그저 산책한다는 말만 하고 산에 대한 얘기는 하지 않았다. 항암치료 후 또 한 번의 수술을 받고 완치 판정을 받았다.
“직장암이 낫고 3년 후에 병원에서 암이 간으로 전이됐다 하더군요. 정말 그때는 죽는 줄 알았죠. 그런데 간암 수술 날짜를 정해놓고 마지막으로 CT 촬영을 했는데, 암 흔적이 사라지고 없었어요.”
문정남씨는 어떻게 된 영문인지 몰랐지만 의사에게 물어보지 않았다. 몸에 아무 이상이 없다는데 물어볼 이유가 없었다. 그 뒤 정말 열심히 산에 오르고 또 올랐다.
▲인터뷰 당일, 본지 기자와 함께 1만3192번 째 봉을 올랐다.
“나는 좋은 아빠가 아니었습니다”
퇴직 후 매일 산을 오르는 아버지. 자식들과는 가깝게 지내왔는지도 궁금했다. 산을 다니면서 별다른 취미도 없고 사람을 만나는 일도 없다는데 자식들과 관계는 어떨까?
“2남1녀를 뒀는데 다 시집, 장가갔습니다. 나는 그렇게 인기 있는 아버지가 아니었어요. 엄부자모(嚴父慈母) 즉, 아버지는 엄해야 하고 어머니는 자애로워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 때는 꼭 부모가 그래야 하는지 알았어요. 물론 지금은 편합니다.”
자식들에게 못 다 준 사랑을 손자와 손녀에게 쏟아 붓는다는 문정남씨. 아이들과 잘 노는 모습을 보면 아들이 “아버지에게도 이런 모습이 있었느냐”고 물어본다고. 키울 때 사랑을 많이 주지 않은 것 같아 미안한 마음이 들기도 한단다. 가족 얘기가 나오니 자연스럽게 오랜 시간 함께해준 부인에 대한 고마움도 나눌 수 있었다.
“병원에서 내 병의 근원이 스트레스라고 했잖아요. 의사도 이제 스트레스를 받으면 안 된다고 했어요. 그 뒤 집안의 모든 일을 아내에게 맡겼고 저 또한 참견하지 않습니다.”
문정남씨는 본인이 하는 일은 무조건 반대하지 말아달라고 아내에게 당부했다. 집안의 모든 일을 도맡아 하고, 남편이 등산갈 때 도시락 싸주는 일을 한 번도 거르지 않고 도와준 아내가 1만3000봉 오른 산사나이를 만든 일등공신이다.
▲기록을 경신할 때마다 사람들은 놀랍다며 축하해줬다. 이제는 1만4000봉을 향해산을 오르고 있다.
기록의 왕
산행을 하다 문정남씨가 갑자기 마른 숲이 우거진 곳으로 들어갔다. 1973년도에 만든 국가기준점(삼각점)이었다. 그는 삼각점에 쓰여 있는 내용들을 메모지에 꼼꼼하게 써내려갔다.
“산에 다니면서 이런 기록을 남기지 않으면 그냥 왔다만 간 거잖아요. 그래서 저는 산행을 할 때마다 가는 과정을 전부 기록합니다. 출발 시간부터 어디를 지나왔고 또 몇 시에 도착했는지 삼각점 좌표 등도 적고 말입니다.”
이렇게 메모한 것들은 집으로 가서 컴퓨터에 기록해 놓는다. 문정남씨가 산에 있는 동안 모든 시간이 기록이고 역사였다.
▲문정남씨의 산행은 기록의 연속이다. 몇 시에 산행을 시작했는지, 무엇을 만났는지 몇 m의 봉을 올랐는지 자세
히 기록한다.
1만4000봉까지는 이젠 슬슬 쉬면서
문정남씨는 산행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60세부터 지금까지 자연경관을 느끼기보다 봉우리 하나하나 정복하는 심정으로 올랐다. 어떤 날은 하루에 봉우리 10개를 오른 때도 있었다. 산 밑에서 아침 7시쯤 시작해 오후 5시까지 줄곤 봉우리만 찾아다녔다. 어떤 때는 아침 7시에 시작해 저녁 7시까지 걷기만 했다. 문정남씨가 똑같은 산을 가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도 들을 수 있었다. 이는 바로 기록 때문이었다. 똑같은 산을 10번을 가나 20번을 가나 기록에는 한 봉우리로 표시하기 때문에 굳이 갈 필요를 못 느꼈던 것이다.
“지금 공식적으로 어디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1만3000여 봉을 오른 사람은 나밖에 없어요.”
올해는 산을 얼마나 탈 것인지 계획을 물었다.
이제는 조금 여유 있게 밀도를 낮출 생각이라고 한다.
“이제 오를 산이 거의 없어요. 지금까지는 기록을 위해 산행을 했다면 이제는 좀 즐겼으면 합니다. 갔던 산도 좀 가고 말입니다.”
언제까지 이렇게 다닐 것이냐고 물었다. 연세가 많기에 관절도 걱정됐다.
“다행히 타고난 관절 때문에 먹어본 약은 없어요. 아마 산을 오르는 것을 그만두는 날은 무릎에 고장이 왔을 때가 아닐까요? 내 다리가 허락하는 한 다니고 싶어요. 다리가 성하지 않으면 안 하는게 아니라 못 가는거지.”
▲2008년 1월 14일 히말라야 랑탕 체르고리 봉(4984m)에서 찍은 기념 사진
등산은 곧 인생이다
인터뷰가 끝났을 때 길은 오직 하나였다. 정상으로 향하는 길이었다. 꺾어질 듯한 절벽을 기어올라가야 했다. 문정남씨와 멀어져 뒷모습이 보이지 않아도 무조건 걸어 올라가지 않으면 안 됐다. 아무 생각 없이 걷고 시원한 바람을 느끼고 또 산을 오르다 보니 812m 정상에 다다랐다.
문정남씨에게 숨을 헐떡이며 “도망칠 곳도 없고, 무조건 올라가야 하니 산을 오르는 게 꼭 인생 같다”는 말을 건넸다. 그랬더니 문정남씨가 TV프로그램에 출연했을 때 강연한 주제라고 했다.
“등산은 인생살이랑 똑같아요. 등산할 때 처음은 순탄하게 시작하잖아요. 높은 데 오르다 절벽을 만날 때도 있고, 평탄한 길이 있고 또 좋은 길을 만날 수 있잖아요. 인생도 마찬가지입니다. 서서히 내리막이 있을 수도 있어요. 아닐 수도 있어요. 언제 교통사고가 날지, 실연을 할지, 나처럼 암에 걸릴지 아무도 몰라요, 그런데 절벽을 만났다고 생각하다 보면 절벽 뒤편에는 길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잖아요.”
잠깐이었지만 등산을 하고 내려오는 동안 한 사람의 인생 이야기를 넘어 또 다른 생각을 할 수 있었다. 문정남씨와는 하산하는 길목에서 헤어졌다. 안 가본 봉우리가 근처에 있어서 가보고 싶다 했다. 분명 인터뷰 때는 느릿하게 등산하고 싶다더니 아직은 아닌가보다. 언제나 건강하시길 기원하고 1만4000봉 달성은 제발 좀 천천히 이루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
글 권지현 기자 9090ji@etoday.co.kr
사진 이태인 기자 teinny@e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