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면 소화기능이 떨어진다. 병을 오래 앓아도 그렇다. 소화가 안 되니 기운도 같이 떨어진다. 그래서 병원 앞에는 죽집이 많다. 어렸을 때 배탈이 나거나 감기에 걸리거나 입맛이 없을 때 어머니가 죽을 해주시곤 했다.

밥은 입에서 식도를 거쳐 위, 십이지장, 소장으로 내려간다. 그런데 위의 기능이 안 좋을 때는 위장에서 소화를 잘 시키지 못해 배가 더부룩해지고 불편해진다. 위가 음식을 썩히고 분해시켜 내려 보내야 하는데 그 기능이 약해졌기 때문이다.

죽은 분해가 된 밥이다. 그래서 식도를 거쳐 위로 들어가도 위가 별로 할 일이 없다. 금방 십이지장으로 내려간다. 죽을 먹으면 소화도 잘되고 체하지도 않는다. 음식이 잘 내려가지 않을 때는 보리죽이 도움이 된다. 죽은 따뜻하게 먹어야 한다. 그리고 죽을 먹으면 금방 허기가 진다. 그만큼 소화가 잘된다는 말이다.

 

 

죽은 한약 중 경옥고 같은 고약의 형태를 하고 있다. 이런 고약은 뇌수와 안구, 오장의 정액을 보충해주는 효과가 있다. 죽이 뇌수를 채운다는 말은 장수에 좋다는 의미다. ‘동의보감’에는 “새벽에 일어나 죽을 먹으면 가슴이 뚫리고 위장을 보양하며, 진액이 생겨나고 하루 종일 기분이 상쾌하며, 보하는 힘이 적지 않다. 만생종(晩生種) 멥쌀을 진하게 푹 쑤어 먹는 것이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외에도 연자육죽이나 잣죽, 우유죽 등이 뇌수를 보충해 장수를 돕는다. 노인이 밤에 잠을 깊이 자지 못할 때는 저녁식사로 죽을 먹는 것이 좋다. 그러면 숙면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두개골 속 뇌가 밖으로 드러난 부분, 즉 눈을 뇌의 창문으로 본다. 뇌수를 충실하게 채워주면 눈도 충실해지기에, 눈에도 죽 같은 소화가 잘되는 음식이 좋다. 대표적인 것이 ‘동의보감’에 나오는 지황죽(地黃粥)인데, 생지황즙에 재워둔 멥쌀로 죽을 쑤어먹는다. 또한 눈이 좋다는 말은 ‘총명(聰明)’이라는 단어와도 상통한다. 총명이라는 한자 자체가 눈과 귀가 밝다는 뜻이다.

개고기, 사슴고기 등 길짐승의 고기는 정액과 정력을 보충해주는데, 이때도 고기죽으로 쑤어 먹는 것이 좋다. 뼈째 달이는 도가니탕이나 곰탕도 일종의 죽이다.

 

 

곰탕은 길짐승의 뼈로 달이기에, 근골을 강하게 해서 팔다리가 저리고 시린 것을 없애주며, 출혈과 설사를 멎게 하고, 헌데를 아물게 한다. 큰 병을 앓고 난 뒤 또는 기력이 갑자기 쇠약해졌을때 풀이나 죽만 먹으면 기력 회복이 느리고, 삼겹살 같은 고기를 먹으면 비위의 기운이 약해 소화를 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소화가 잘되면서 기력도 보강할 수 있는 음식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도가니탕, 곰탕이다. 고기가 들어간 음식이라 기운을 크게 보하면서도 죽처럼 부담이 없기 때문에 빠른 쾌유를 도와준다. 사골국에 포함된 콜라겐과 콘드로이친황산은 피부 탄력과 뼈의 성장, 골절 회복, 골다공증 방지 등에 도움이 돼 여성뿐 아니라 성장기 어린이, 노약자 모두에게 좋다. 그런데 곰탕은 일시적으로 먹어야지 매일 먹으면 안 된다. 곰탕이나 도가니탕을 매일 먹으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때문에 피가 더러워지고 여러 가지 병이 생길 것이다. 약은 적절히 써야 약이지, 지나치면 독이 된다.

죽은 물도 아니고 밥도 아닌 그 중간의 음식이기 때문에 묘한 효과가 있다. 바로 완충제 효과다. 변비나 설사를 할 때도 죽이 좋다. 변비가 있을 때는 끈적끈적한 죽이 진액을 공급해 대변을 잘 보도록 도와준다. ‘동의보감’에는 노인성 변비에 차즈기 씨앗과 대마 씨앗을 갈아서 만든 소마죽과 도인·잣·욱리인을 갈아서 만든 삼인죽이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설사가 있을 때도 끈적끈적한 점성이 설사를 멎게 한다. 설사에는 팥죽과 찹쌀죽이 좋고, 이질에는 파죽과 부추죽, 염교죽이 좋다.

죽 맛은 담담해서 한의학의 오미 중 담미(淡味)에 해당한다. 담미는 체액 운행을 활성화시켜서 소변을 잘 보게 해준다. 가슴이 답답하거나 입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증상도 멎게 하고 부기를 빼줘 몸을 가볍게 만들어준다.

 

 

열이 너무 많이 나는 사람은 녹두죽이 좋다. 녹두는 매우 차가운 식품이기 때문이다. 피부가 건조하고 마른 사람에게는 마죽이 좋다. 산약의 끈적끈적함이 피부를 적셔준다. 반대로 몸에 습기가 너무 많은 사람에게는 팥죽, 율무죽이 좋다.

 

 

글 최철한(崔哲漢) 본디올대치한의원 원장 bravo_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