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높이’를 낮추면 더 많은 ‘꽃’이 보인다

 

 

 

4년여 전 필자가 은퇴연구소 소장이 되었을 당시만 해도 은퇴연구소라는 곳이 생소하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했다. 그래서 그런지 주위의 친구와 동료, 후배들뿐 아니라 은퇴를 앞두고 있거나 은퇴를 하신 선배님들께서도 많은 관심과 격려를 보내주셨다. 몇몇 분은 도대체 은퇴연구소에서 무슨 일을 하는지 궁금하다며 직접 찾아오기도 하고 여럿이 함께 하는 식사 자리를 마련하기도 하셨다. 그렇게 만들어진 한 식사 자리에서 일어난 해프닝 한 토막.

 

필자가 미리 가서 자리를 잡고 앉아 있는데 필자를 주빈(?)으로 초청한 선배님이 들어오셨다. 필자가 일어나서 인사하는 걸 보신 선배님께서 대뜸, “아니, 은퇴도 안 해본 양반이 무슨 은퇴연구소장을 한다고 그래?” 이 말에 머리만 끄덕거릴 필자가 아니지 않은가? “선배님, 외람되지만 이런 말이 있습니다.” “뭔데요?” “현명한 사람은 들으면 알고, 보통 사람은 보면 알고 우둔한 사람은 당해야 한다고 합니다. 제가 꼭 당해 봐야 알겠습니까?” 좌중이 웃음보가 터진 것은 당연지사! 그 선배님께서도 함께 박장대소를 하시다가 자리에 앉으시면서 왈, “역시 은퇴연구소장 할 만 하구만.”

 

당해야 아는 우둔한 사람을 넘어 당해도 모르는 사람이 있다지만 은퇴를 하고 나서도 자신이 은퇴를 했는지 안 했는지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누구나 한두 번은 은퇴를 하고 그러다 완전히 은퇴하는 게 인생이다. 그러다 보니 은퇴연구소장인 필자는 은퇴자와 은퇴예비자들에게 둘러싸여 이들의 이야기를 듣는 게 큰일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마치 유명한 점쟁이에게 더 많은 사람들이 몰려가고 그에 따라 점점 더 경험과 통계가 쌓이면서 더 용한(?) 점쟁이가 되는 것과 같다. 용한 점쟁이가 스스로 익힌 이론과 타고난 식견에 더해 실전을 통해 쌓인 사례와 결과를 가지고 이리 엮고 저리 엮어서 처방(?)을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지금까지 수많은 은퇴 컨설팅을 통해 터득한 제1 원칙은 “눈높이를 낮춰라!”이다. 2500년 전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한 말 “너 자신을 알라!”와도 통하는 말이다. 그런데 이게 말처럼, 마음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내가 지금 어떤 상황에 처해 있다는 걸 정확하게 인식하고 그에 맞게 행동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수천년 전부터 이런 말이 나오는 것이다. 오죽하면 다음 노래 가사가 우리 마음에 와 닿겠는가?

 

“내가 나를 모르는데 넌들 나를 알겠느냐? 한 치 앞도 모두 몰라 다 안다면 재미없지. 바람이 부는 날엔 바람으로 비오면 비에 젖어 사는 거지. 그런 거지~”(가수 김국환의 ‘타타타’)

 

바람이 부는 날엔 바람으로, 비오면 비에 젖어 사는 인생. 사실 이 말은 절반만 맞는 말이다. 왜냐하면 바람이 불거나 비가 오면 우리들은 그에 맞게 옷차림을 바꾸고 또 우산을 들고 나서는 등 상황에 맞게 준비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은퇴를 앞두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면 십중팔구 마음의 준비 등 나름 은퇴준비를 하고 있다고 하지만 막상 은퇴를 하고 나면 그게 아니더라는 말을 많이 한다. 우리 인생의 크고 작은 사건 중에서 말과 실제가 가장 크게 달라지는 이벤트가 은퇴라는 것이다. 특히 고위직 공무원이나 군인, 회사 임원을 하거나 자영업자로 한때 잘나가던 사람들이 은퇴 후를 잘 견디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은퇴 후에도 예전의 영광과 지위(?)를 잊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은퇴 후 행복한 마음과 생활에 가장 큰 걸림돌이 바로 “내가 왕년에 ~~”하는 마음가짐과 말이다. 겉으로는 다 내려놓았다고 하면서도 행동거지와 말투를 보면 아직도 어깨와 목소리에 힘이 많이들어가 있는 경우가 태반이다.

 

복지회관이나 문화센터에 남자들은 거의 없고 여자들이 많은 이유가 무엇일까? 가을 단풍철에 서울역이나 용산역에 가보면 남자들끼리 여행가는 모습은 거의 볼 수 없다. 대부분 여자들끼리 가거나 남자 몇몇이 끼어 있을 뿐이다. 도대체 남자들은 다 어디에 가 있는 것일까? 필자의 추측으로는 하루에 1만원을 받아서 TV를 끼고 있거나 당구장에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을 것이다. 조금 나은 경우가 친구들과 청계산이나 북한산 산행을 다녀오는 정도일 것이다. 함께할 친구가 없거나 혼자가 좋다면서 나홀로 산행을 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다행히 최근 들어 은퇴한 후에도 뭔가 할 일이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사진찍기 또는 그림그리기 등과 같은 취미활동에 나서는 남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요리학원에서도 50~60대 남성들의 수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이 눈높이를 낮추는 일이다. 내가 왕년에 뭐하던 사람인데 이 사람들과 이 시간에 이런 쓸데없는 장난(?)을 하고 있나 하는 생각이 들면 몸과 마음이 따로 놀기 마련이다. 반대로 내가 그간 일에 바빠 이렇게 좋은 것과 좋은 사람들을 모르고 지냈구나, 세상에는 할 일, 재미있는 일과 나와 다른 사람, 재미있는 사람이 이렇게 많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 시작하면 모든 게 새로워 보이고 좋아 보인다. 눈높이를 낮추는 데서 시작되는 변화가 바로 이런 것이다.

 

세상을 살면서 눈높이보다 더 중요한 게 없다. 회사에 들어가면 그 회사에 맞는 눈높이가 필요하고 결혼을 하면 배우자와 함께 눈높이를 맞추면서 살아야 한다. 그러다가 아이가 태어나면 그들과 눈높이를 맞출 줄 아는 부모가 되어야 더없이 행복한 가정을 만들어갈 수 있다. 손자손녀를 보게 되면 더 극적으로 눈높이가 낮아진다고들 한다. 내 눈높이를 맞추거나 낮추면 배우자와 아이들은 물론 손자손녀들의 눈도 보이고 그들과 생각도 함께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내가 눈높이를 낮추면 보다 많은 친구들도 생기게 되는 것이다.

 

“내려갈 때 보았네. / 올라갈 때 못 본 / 그 꽃”

 

고은(高銀) 시인의 ‘그 꽃’이라는 짧은 시이다. 산에 오를 때는 정상을 향해 앞만 보고 가느라고 정신이 없다. 하지만 여유를 가지고 천천히 주위를 둘러보면서 내려오면 그때서야 주위가 눈에 들어오면서 못 보던 꽃도 보일 것이다. 우리 인생도 젊어서는 앞만 보고, 위만 보고 정신없이 살기 마련이다. 하지만 나이가 웬만큼 들고 은퇴를 앞두고 있거나 이미 은퇴를 했다면 이제 그런 짐들을 내려놓고 주위를 둘러봐야 한다. 그래야 그간 미처 보지 못한 세상과 미처 보지 못한 꽃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할 것이다. 새로운 꽃이나 새로운 세상이 아니라 내 눈높이에 따라 예전과는 다른 느낌과 모습으로 말을 걸어오는 것이다. 눈높이를 낮추면 할 일도 친구도 더 많아지는 것은 물론 더 넓은 세상이 보이는 것이다.

 

 

 

최성환(崔聖煥) 한화생명 은퇴연구소장·고려대 국제대학원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