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암 겪은 경상도 사내와 소화기외과 전문의의 라뽀

“대기업 갑질에 쌓인 울화, 암이 되었나봐요”

 

 

“조직검사 보냈어요.” 처음에는 검진을 받아보라는 후배의 권유를 그냥 무시할까 고민도 했다. 하지만 건강검진센터에서 의사로 일하는 후배의 제안이 고마워 그럴 수 없었다. 약간의 치질이 있는 상황도 신경이 쓰이던 참이었다. 가벼운 마음으로 대장내시경을 받고 난 후 후배가 의외의 말을 전했다. 조직검사라니! 그리고 며칠 후 김재규(金在圭·66)씨는 더 놀랄 소식을 듣는다.

 


▲한솔병원 정춘식 진료원장과 환자 김재규씨

 

조직검사 결과 직장암이었다.

“그때는 깜짝 놀랐죠, 암이라고 하니까. 수술을 해야 하니 큰 병원에 가보라고 해서 다들 알 만한 병원으로 향했죠. 문제는 수술시기였어요. 가장 먼저 찾은 종합병원은 4개월은 기다려야 수술을 받을 수 있다 하고, 다른 대학병원에선 3개월 후에 수술하자고 하더라고요. 그 사실을 알고 친구들이 더 난리였어요. 어떻게 암을 안고 몇 달을 사냐고. 그래도 지금 돌이켜보면 저는 운이 좋은 사람이에요. 우연한 기회에 암을 초기에 발견했으니까요.”

30년 지기 고향 친구들이 여기저기 수소문한 끝에 그와 인연이 닿은 의사는 한솔병원의 정춘식(鄭春植·51) 진료원장이었다. 등 떠밀리듯 찾은 한솔병원에서 김재규씨는 한숨 돌렸다. “당장 내일이라도 수술할 수 있다”는 의사의 답변 때문이었다. 그렇게 잡힌 수술 날짜는 2007년 7월 11일. 정확히 10년 전이다.

 

가족에게 숨긴 채 수술실로 들어가다

“사실 수술날짜가 잡혔는데, 아내에게는 말도 못했어요. 딸에게도 마찬가지고요. 괜한 걱정을 할까봐요. 사업한답시고 밤마다 술에 절어 살았으니, 병 얻은 것이 내 탓인 것 같기도 했죠. 그래서 그냥 정밀 건강검진을 위해 일주일 정도 입원한다고만 말했어요. 아내는 의심했지만 적당히 둘러대고 병원으로 향했어요.”

수술하는 날까지 입원실을 찾아 수선을 떨던 고향 친구들과는 달리 정작 김씨는 두렵진 않았다고 했다. 처음 선고를 받았을 땐 멍해지고 겁이 나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낯선 이름의 병, 직장암을 현실로 받아들였다. 그렇게 중년의 경상도 사나이는 링거 스탠드를 한 손에 잡은 채 뚜벅뚜벅 수술실로 걸어 들어갔다. 누워서 들어가고 싶지 않았다.

하지만 김씨의 거짓말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수술이 무사히 끝나고 입원해 있을때 친구 중 한 명이 아내에게 전화로 사실을 털어놓았기 때문이다. 김씨는 급히 병원으로 달려온 아내에게 볼멘소리를 들어야 했다. 김재규씨는 자신의 병이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르겠다고 했다.

“예전에 운영하던 회사가 디스플레이 관련 원천기술을 갖고 있었는데, 기술을 가져다가 제품을 생산하는 대기업과 거래하는 과정에서 속상한 일들이 많았어요. 소위 ‘갑질’을 많이 당했죠. 그래서 화풀이하듯 술도 엄청 마셨고, 영업을 위해서 참석하는 술자리도 잦았어요. 말 그대로 몸을 혹사시킨 것이 병을 만든 것 같아요. 한번은 오징어 젓갈을 잘못 먹고 비브리오패혈증에 걸린 적이 있어요. 그때 치료해준 의사가 장 속에 여드름 같은 것이 생길 수도 있으니, 정기적으로 대장내시경을 하라고 했는데 지키질 않았죠. 그것도 8년이나 말입니다.”

김씨가 한솔병원을 선택했던 이유는 수술이 당장 가능하다는 것 말고 또 한 가지가 있었다. 지금은 보편화된 수술법이 되었지만, 당시만 하더라도 대중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복강경수술을 선도하던 병원 중 한 곳이었기 때문이다. 당시는 보수적인 외과의사들은 직접 보고 확인할 수 있는 개복수술을 고집하던 시절이었다. 현재도 대장항문전문을 표방하는 병원은 전국에 한 손으로 꼽을 정도로 드물고, 아직도 개복수술 비중이 높은 병원들도 있다.

김씨는 복강경수술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했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의 혜택을 볼 수 있었다. 복강경수술은 내시경을 닮은 장비를 몸속에 넣어 수술하는 방식으로, 절개부위가 작고 장운동도 빨라 식사 시기를 앞당길 수 있어 회복속도가 빠르다. 김재규씨가 수술 일주일 만에 퇴원할 수 있었던것도 이 때문이다.

 


▲정춘식 진료원장은 대장암이나 직장암의 자각증상은 치질과 거의 흡사하기 때문에, 괜히 겁먹기보다는 대장내시경 검사로 확실하게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직장암은 예방과 치료가 쉬운 암

“종양 사이즈는 좀 큰 편이었지만 아직 주변으로는 전이가 안 된 2기 직장암이었습니다.” 정춘식 진료원장은 당시 김씨의 상태를 이렇게 설명했다.

“직장암은 수술 과정 자체는 그리 복잡하지 않습니다. 대장암하고 비슷한 성향을 띠는데, 대장은 주변 장기와 붙어 있지 않은 반면에, 직장은 주변에 신경이 복잡하게 자리 잡고 있고 배뇨기능이나 성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아요. 김재규씨의 경우에는 다행히 종양

위치가 항문과 4cm 이상 떨어져 있어서 항문을 유지할 수 있었죠.”

직장암 환자들이 가장 걱정하는 부분은 바로 항문이다. 직장암은 다른 암들에 비해 비교적 쉽게 발견이 되고 성장속도도 더디기 때문에 대부분 치료가 가능하다. 여러 암 중에서 완치율이 높은 편에 속한다. 그러나 문제는 암 위치에 있다. 항문과 가까운 곳에 위치할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항문을 제거하고, 인공항문인 영구장루에 의지해야 한다. 영구장루는 일종의 주머니인데 옆구리로 배설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입구를 만들어 이곳을 통해 나오는 배설물을 받아내는 역할을 한다. 당연히 환자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이유가 되지만 암재발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하는 방법이다. 아직까지는 영구장루를 대체할 만한 획기적인 기술은 없다.

1, 2기의 직장암은 수술만으로 대부분 치료가 끝난다. 전이가 염려되거나 재발이 걱정되는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도 하지만 드물다. 과거 2기 환자는 경구항암제를 복용하며 재발을 막기도 했다. 김씨도 이 경우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직장암과 대장암치료를 위한 표적치료제 개발도 이뤄졌지만, 전이가 된 4기 환자에게만 쓰인다. 정춘식 진료원장은 직장암과 관련해 섣부른 자가진단은 하지 말라고 조언한다. 괜한 걱정만 늘어난다는 것이 이유다.

“직장암의 초기 증상은 몇 가지가 있긴 해요. 변이 가늘어진다든가, 혈변을 본다든가 하는 것들이죠. 그런데 이러한 증상이 대부분 치질 증상과 겹쳐요. 증상을 자각한다고 해도 정확한 병명을 알아내기가 그만큼 어려워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딱 하나, 대장내시경이에요. 의사가 직접 몸속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죠. 이 방법 만큼 정확한 것은 없어요.”

정 원장은 직장암과 대장암을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는 암이라고 말한다.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이란다.

“대장암과 직장암 모두 예방법이 있어요. 정기적으로 대장내시경을 해서, 발견되는 작은 용종을 제거하는 거예요. 다행히 이런 용종이 모두 암으로 발전하는 것은 아니고, 용종이 암으로 발전하는 데도 약 10년 내외의 시간이 필요해요. 그러니까 40세 이후에는 5년에 한 번 정도 대장내시경을 통해 별다른 변화가 없는지 확인만 하면 되는 겁니다. 만약 용종이 발견된 적이 있다면 위험군이므로 3년에 한 번 정도로 검사 간격을 앞당기면 그만이고요. 또 가족력이 있다면 30세 이후부터 정기검진을 받는 것이 좋아요.”

암이 생겨도 이렇게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면 수술을 통해 완치시키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라고 말한다. 물론 수술이 잘못돼 합병증이 생기거나, 간혹 대장내시경검사 과정에서 검진이 제대로 안 되는 ‘블라인드 포인트’의 종양을 놓치는 경우가 있지만 거의 발생하지 않는 일이다.

정 원장은 “식생활도 마찬가지예요. 특별히 신경 쓰거나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그냥 가족들과 함께 식사하고, 함께 생활하기를 권해요. 채식만 고집할 필요도 없고 골고루 많이 드셔서 면역력만 잘 유지하면 됩니다”라고 조언한다.

 

수술 후 달라진 삶

 


▲한솔병원 정춘식 진료원장

 

물론 수술 후 정상생활로 돌아오는 데는 2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했다. 수술 직후에는 화장실을 하루에도 10번 가까이 가는 생활이 반복됐고, 변의가 오는 상황을 제어하기도 쉽지 않았다.

“배에서 신호가 오면 무조건 화장실로 가야 했으니까요. 시간이 지난 후에는 지사제를 먹고 화장실 가는 횟수도 줄이고 제어할 수 있는 상태가 됐지만, 그래도 평소 같지는 않았어요. 화장실이 없는 버스를 타고 장거리를 가는 것은 꿈도 못 꿨죠. 그래서 웬만한 곳은 차를 끌고 다녔어요. 6개월 정도는 경구항암제를 복용했는데, 이 역시 몸을 무겁게 하더라고요.”

수술 후 김재규씨가 겪은 변화 중 하나는 가족과 주위를 바라보는 시선이다. 어릴 때는 허가받은 장소를 찾아 사냥을 즐기고 낚시도 자주 했지만, 지금은 ‘살생’이라는 생각이 들어 일절 끊었단다. 대신 아내와 보내는 시간을 늘렸다. 다양한 분야의 사업체를 이끌어온 그는 건강을 위해 일도 줄이고 보안 관련 IT 기업에 집중하고 있다. 그는 일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음을 이제 알게 됐다고 말한다.

“그때는 그저 먹을 것으로만 보였던 것들이 이제는 생명으로 보여요(웃음). 수술 후에는 아내와 등산을 많이 다녔어요. 북한산이나 관악산 등 주변에 있는 산이란 산은 모두 다녔어요. 지금은 아내가 더 등산을 좋아할 정도예요. 요즘엔 관절이 좋지 않아 자주 다니지 못하지만, 그래도 아내와의 시간을 많이 가지려고 노력합니다.”

 

이준호 기자 jhlee@etoday.co.kr

사진 오병돈 프리랜서(Studio Pic) obdlife@gmail.com  bravo_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