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생활 트렌드 이끄는 ‘YOLO’
“YOLO! You Only Live Once.” 2016년 3월 4일 방송된 tvN 프로그램 <꽃보다청춘> 아프리카 편에서 신세대 스타 류준열이 혼자 캠핑카를 몰고 아프리카를 여행중인 외국 여성에게 대단하다는 말을 건네자 돌아온 대답이다. 이때만 해도 많은 사람이 ‘YOLO(욜로)’의 뜻을 잘 몰랐다.
그런데 <트렌드 코리아 2017>, <라이프 트렌드 2017> 등 트렌드 분석서들이 올해 유행할 트렌드로 한결같이 ‘YOLO’를 꼽았다. 욜로는 이제 생활뿐만 아니라 문화의새로운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책 표지
‘YOLO’는 You Only Live Once의 두문자어(acronym)로 ‘한 번뿐인 인생’이라는 의미다. 2011년 미국의 인기 래퍼 드레이크의 노래 ‘The Motto’의 가사 중 한 구절인 ‘You only live once: that’s the motto, nigga, YOLO(인생은 한 번뿐이야. 이게 인생의 진리지, 욜로)에서 처음 등장했다. 그리고 2016년 초,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건강보험 개혁안인 ‘오바마 케어’ 가입을 독려하기 위한 홍보 영상에 사용돼 눈길을 끌었다. 2016년 9월에는 옥스퍼드 사전에 신조어로 등재됐고 이후 ‘헬로(Hello)’나 ‘굿럭(Good Luck)’ 대신 사용하는 인사말이 됐다. 또한 우리 사회의 젊은이들뿐만 아니라 기성세대의 생활과 문화 그리고 가치관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욜로는 일에 얽매이지 않고 현재를 즐기며 행복하게 살아가는 태도를 지칭하는 용어다. 욜로 트렌드의 부상으로 장기적인 미래 계획보다는 현재 느끼는 ‘즉시적 행복’을 중요시하는 문화가 더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를 즐겨라”는 ‘카르페 디엠(carpediem)’과 비슷한 의미처럼 들리겠지만 카르페 디엠은 삶의 태도에 대한 격언이고, 욜로는 현실적 삶에 대한 버전인 셈이다.
욜로는 오늘은 불행해도 내일을 위해 참고 산 기성세대와 내일을 위해 오늘을 담보 잡는 삶을 살아온 많은 사람에게 불투명한 미래를 위해 지금의 행복을 희생하기보다는, 후회 없이 즐기고 사랑하는 삶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아동학부 교수는 <트렌드 코리아 2017>에서 “욜로와 관련한 문화와 소비는 단순히 물욕을 채우거나 스트레스를 풀기 위한 활동을 넘어 자신의 이상향을 실천하고 구현하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또한 김용섭 날카로운 상상력 연구소장은 <라이프 트렌드 2017>에서 “욜로는 한 번뿐인 인생이니 하루하루에 충실하라는 메시지다. 막살자는 것도 아니고, 대책 없이 오늘을 흥청망청 보내자는 것도 아니다. 오늘을 충실히 살다 보면 내일도 충실해질 수 있다. 오늘의 행복을 찾으면 내일도 행복해질 수 있다. 내일이 막연한 미래라면, 오늘은 구체적인 현실이다”라고 말했다.
▲tvN <내게 남은 48시간>포스터
욜로 트렌드의 부상으로 전세금을 털어 1년간 세계여행 길에 오르거나, 월셋집에 살면서도 셀프 인테리어를 하며 기뻐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자신만의 취미생활에 시간과 돈을 아낌없이 쓰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통장의 잔고보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에서 더 큰 행복을 느끼고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해 신한카드가 ‘욜로 아이(YOLO i)’라는 상품을 출시했고 금융기관, 유통업체, 여행사 등도 욜로 트렌드에 부합한 상품과 서비스를 앞다퉈 내놓고 있다.
욜로는 장밋빛 미래에 대한 계획보다는 현재의 ‘즉시적 행복’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데일리 디톡스(Daily Detox·일상에서 찾는 휴식)’, ‘호모 루덴스(Homo Ludens·놀이하는 인간)’, ‘맞춤형 휴가’, ‘이터테인먼트(eatertainment·식사 그 이상)’, ‘홈퍼니싱(Home Furnishing·소품으로 집 꾸미기)’ 등 소소한 생활 속 만족을 지향하는 문화를 유행 트렌드로 부상시키고 있다.
현재의 삶을 소중하게 인식하고 더 즐겁고 행복한 오늘을 보낼 수 있게 하는 문화 콘텐츠도 속속 제작되고 있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선 이들을 통해 인간애와 죽음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다루면서도 의미 있는 오늘을 충실히 살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KBS 3부작 다큐멘터리 <다큐스페셜-앎>, 살 수 있는 시간이 48시간밖에 남아 있지 않다는 가정 아래에서 행하는 것들을 보여주면서 현재의 삶에 최선을 다하자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tvN의 웰 다잉(Well Dying) 리얼리티 프로그램 <내게 남은 48시간>,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여행을 하면서 맛있는 음식도 먹고 휴식을 취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tvN의 힐링 프로그램 <먹고자고먹고>, 혼자서도 즐겁게 여행할 수 있는 노하우를 전달하는 스카이트래블의 <나 혼자 간다 여행> 등 욜로 트렌드와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들이 늘어나고 있다. 방송뿐만 아니라 소설, 에세이, 음악,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일상의 즉시적 행복과 소소한 기쁨을 강조하는 콘텐츠가 대중들과 만나면서 욜로를 더욱 강력한 트렌드로 부각시키고 있다.
물론 욜로 트렌드에 대한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미래를 준비하지 않고 욜로의 삶을 지향하는 사람들이 앞으로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게 될 수도 있다는 우려와 함께 ‘노세, 노세, 젊어서 노세’와 같은 충동적이고 소비지향적인 삶은 문제가 있다며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다. 욜로가 우리 사회의 슬픈 자화상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힘든 현실을 참고 견디면 미래에 큰 행복을 얻을 수 있다는 믿음이 사라지고 아무리 열심히 살아도 현실은 바뀌지 않는다는 절망적인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tvN <내게 남은 48시간>방송 캡처
하지만 2017년 정유년 새로운 문화 트렌드로 떠오른 욜로는 내일의 행복을 위해 오늘을 무조건 희생하는 삶의 스타일이 지배적인 대한민국 사회에 적지 않은 긍정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 때문일까. 영국 시인 로버트 헤릭의 시 ‘To the Virgins, to Make Much of Time(아가씨들이여, 시간을 잘 활용하라)’에 공감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Gather ye rose-buds while ye may/ Old time is still a-flying:/ And this same flower that smiles today/ Tomorrow will be dying…(너희들이 할 수 있는 동안/ 장미 봉오리를 모아라/ 늙은 시간은 끊임없이 날아가며/ 오늘 미소 짓는 바로 이 꽃도 내일이면 죽으리라…)’ 또한 시인 윤동주의 ‘내일은 없다’라는 시에 눈길을 주는 사람도 늘었다. ‘내일 내일 하기에/ 물었더니/ 밤을 자고 동틀 때/ 내일이라고/ 새날을 찾던 나는/ 잠을 자고 돌아보니/ 그때는 내일이 아니라/ 오늘이더라/ 무리여! 동무여!/ 내일은 없나니’
글 배국남 대중문화 평론가 knbae24@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