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친구,엽에게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는데 전할 수 없는 상황이 돼서 마음만 동동 구르는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브라보 마이 라이프>의 문을 두드려주셔요. 반세기 전 떠나간 여자 친구 이야기를 황경춘 전 외신기자 클럽 회장이 보내주셨습니다.
엽(葉)아, 이렇게 네 이름을 부르기만 해도 가슴이 뭉클해진다. 네가 교통사고로 비명에 간 지 반세기가 지났구나. 차량 왕래가 드문 시골길에서 일어난 너의 사고 소식을 뒤늦게 알았을 때, 마흔도 못 채운 너의 짧은 인생이 한없이 나를 슬프게 했다.
우리가 처음 만나게 된 것은 네가 살던 도시의 중학교에 입학한 내가 하숙을 구하지 못하자 아버지가 너의 집을 임시 거처로 정해주었기 때문이다. 내가 너의 집 문간방에서 네 남동생과 함께 한 학기를 지낼 때 너는 단발머리의 초등학교 5학년생이었지.
만사에 엄격한 너의 어머니는 내가 있는 문간방에 나보다 한 살 위인 너의 언니를 비롯한 세 자매가 출입하는 것을 엄금했어. 그러나 어머니가 교회에 가는 일요일이면 너희들은 내 방에서 깔깔대며 놀 때가 많았지. 세 자매는 객지에서 하숙하는 나의 쓸쓸함을 잘 달래주었어.
중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 대학으로 유학 간 내가 다시 너를 만난 것은 그로부터 5~6년 뒤의 여름방학 때였다. 지리산에 가까운 어느 초등학교 교사였던 너는 우리 동네에 있는 너의 큰집에 다니러 온 길이었어. 젊은 처녀로서 남 보기 부끄러울 정도로 뚱뚱해졌지만 너는 쾌활하고 꿈 많은 문학소녀였지. 상냥한 미소와 맑은 목소리는 어릴 적 그대로였고. 고향을 떠나 객지에서만 자란 너는 잘 모르겠지만, 너의 큰집은 빈촌인 우리 마을에서도 가난한 부류에 속하는 소작농이었다. 너의 사촌오빠는 한때 우리 집에서 머슴살이를 했고, 너의 큰아버지도 우리가 일본에 있을 때 우리 집에서 일했지.
어린 내가 어른들을 따라 좀 거리가 있는 이웃 마을 극장에 갔다가 잠들어 너의 큰아버지 등에 업혀 귀가한 적도 몇 번 있었어. 이런 배경 때문인지, 광복 얼마 전 네가 고향 학교로 전근해온 뒤에도 우리 부모님은 가깝게 지내는 우리 사이를 그리 탐탁지 않게 여기셨지. 일본군 징집영장을 집에서 기다리던 전쟁 말기의 어수선했던 시절, 거의 자포자기 상태인 나를 너는 따뜻하게 위로해주었고, 내가 읽던 책을 빌려가기도 했어.
다시 몇 년이 흐르고, 결혼한 네 언니가 젊은 나이에 세상을 뜬 뒤, 얼마 있다가 네 남동생과 여동생도 연달아 세상을 떠났지. 다시 지리산 근처의 학교로 전근해간 네가 서른을 넘은 노처녀로 지낸다는 소식이 들리더구나.
한국전쟁이 끝난 뒤 나는 서울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어느 날 처음으로 너의 편지를 받았다. 이때까지도 우리는 서로 상대 이름을 불렀고 글도 옛날처럼 친구지간에 쓰는 말투 그대로였다. 이때부터 1년에 한두 번 오는 너의 편지는 언제나 “경춘아…”로 시작되었고, 차츰 편지 내용은 세상을 등진 문학소녀 같은 허무주의 냄새를 풍기곤 했지.
너는 여름방학에는 교원 강습이나 출장으로 서울에 자주 왔지. 강습이 끝난 뒤 함께 남산공원을 산책한 적도 있다. “경춘아…” 하는 너의 말투는 여전했어. 우리는 어디까지나 친구였지. 일제강점기 때 내가 빌려준 책 속의 일본 허무주의 시인의 시, “동해 작은 섬 바닷가 하얀 백사장에서 나는 눈물이 쏟아져 게와 장난질하다”를 네 신세를 한탄하는 편지 속에서 발견하고 놀라기도 했다. 어떤 편지에서는 결혼 안 한다고 심하게 꾸짖는 네 어머니를 원망하기도 했지.
나는 이런 편지에 한 번도 답장을 쓰지 않았으나 너는 탓하지도 않았어. 다만 가끔 내가 너무 행복해 보인다, 그리고 항상 바쁘게 일하고 있다고 비아냥대듯 말했는데, 너는 그저 씩 웃기만 했지.
그러던 어느 날, 시골에 사는 누님이 네가 사십 줄의 노총각과 결혼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상대가 그냥 노총각이 아니라 아이가 하나 있는 상처한 동료 교사라고 알려주었어. 너의 교통사고 이야기는 그 뒤 얼마 되지 않아 들었기에 더욱 슬펐다.
엽아, 네 마음의 아픔은 충분히 알 것 같구나. 그러나 우리는 끝내 좋은 친구였음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저세상에서 서로 좋은 친구로 다시 만나자. 부디 주소 없이 보내는 이 편지를 읽고, 평소에 답장 한 통 보내지 않은 나를 용서해다오.
글 황경춘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