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 평원에 흰 눈 쌓이듯 피는 노랑만병초

진달래과의 늘 푸른 활엽관목, 학명은 Rhododendron aureum Georgi.

 

 

 

 

진달래과의 늘 푸른 활엽관목, 학명9월이면 겨울이 시작돼 산 정상에 늘 흰눈이 쌓여 있어 ‘흰머리산’이라는 뜻의 백두산(白頭山)으로 불리는 산. 그곳에도 6월이면 새싹이 움트는 봄이 시작돼 8월까지 여름·가을이 한꺼번에 밀어닥칩니다.

 

3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300여 종에 이르는 북방계 야생화들이 앞을 다퉈 피어나면서 수목한계선 위쪽 고산 툰드라 지대는 천상의 화원(花園)으로 변모합니다. 그런데 하늘을 향해 삐죽빼죽 솟아오른 높은 봉우리 사이사이 음지 곳곳에 잔설(殘雪)로 남은 만년설(萬年雪)과는 차원이 다른, 제3의 흰색 벌판이 여기저기 눈에 들어옵니다. 한여름 백두 평원 곳곳이 여전히 흰눈을 뒤집어쓴 듯이 하얗게 빛이 납니다.

 

관목과 초본·이끼류·지의류가 잔디밭처럼 드넓은 평원을 이루는 백두산 툰드라 지대를 하얗게 수놓는 꽃, 바로 노랑만병초입니다.

 

백두 평원서 함께 자라는 장지석남과 월귤, 홍월귤, 들쭉나무, 가솔송 등이 수줍음을 타는 소녀처럼 이파리 뒤로 몸을 숨긴채 손톱만 한 꽃을 겨우겨우 피워낸다면 노랑만병초는 ‘올해도 어김없이 깨어났노라’고 세상을 향해 외치는 듯 어른 손바닥만한 꽃잎을 활짝 펼쳐 보입니다. 풀 ‘초(草)’ 를 이름 뒤에 달았지만, 엄연히 나무인 노랑만병초는 월귤 등 다른 키 작은 나무들과 마찬가지로 백두산 수목한계선 위 고산툰드라 지대에서 살아가는 전형적인 북방계 관목입니다. 남한에서는 1963년 설악산에서 에서 발견됐다는 보고가 있은 뒤 잊혔다가 40여 년 만인 2007년 설악산 정상에서 다시 발견돼 현재 멸종위기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 개체 수가 600여 그루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희귀할 뿐 아니라 털진달래 등 다른 관목의 위세에 눌려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발 2750m인 ‘민족의 영산’ 백두산에서 자생하는 노랑만병초는 6~8월 끝없이 펼쳐지는 고산 평원 여기저기에 축구장 크기만 한 꽃 무더기를 피워낼 정도로 규모가 방대합니다. 꽃 색은 흰색에 가까운 노란색으로, 한낮 쏟아지는 햇살을 받은 꽃 더미는 한겨울의 설원을 보듯 장관입니다.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국생종)에 따르면 높이 1m까지 자란다고 돼 있는데, 실제 백두산에서 만난 노랑만병초는 30~50cm정도로 어른 무릎에도 못 미칠 만큼 키가 작았습니다. 국생종은 또 흰색 꽃이 피는 만병초, 진한 홍색 꽃이 피는 홍만병초가 따로 있으며 둘 다 키가 노랑만병초의 4배인 4m까지 자란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백두 평원에서는 노랑만병초와 뒤섞여 있는 백색과 홍색의 만병초 꽃을 여기저기서 함께 만났는데, 그 키는 노랑만병초와 다름없이 30~50cm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된다는 ‘귤화위지(橘化爲枳)’의 고사처럼 백두산의 추위와 바람 때문에 만병초나 홍만병초의 키가 작아진 것인지, 아니면 같은 노랑만병초의 변색일지 추후 확인하고 연구할 과제라 생각합니다.

 

 

 

김인철 야생화 칼럼니스트

서울신문 기자로 29년 일했다. ‘김인철의 야생화산책’(ickim.blog.seoul.co.kr) 블로그를 운영 중이다.

<야생화 화첩기행>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