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요즘 활동도 안 하는데… 왜 저를 인터뷰를 하시나요?” 50대 후반이라고는 도저히믿기 힘든 외모와 수줍은 표정 그리고 말투. 그녀의 글과 방송에서의 모습을 보고 어느정도 예상은 했지만 막상 만나보니 상상을 초월했다. 4차원적이지만 차분하고 내공이느껴졌다. 밝고 예쁜 표정 뒤에는 그녀만의 강한 카리스마도 엿보였다. 그러면서연약해서 바람만 불면 무너질 것도 같다. 아니다! 어지간한 바람으로는 상대가 안 될것 같다. 너무나도 약해 보여서 그녀를 보호해주려다가도 한량 이봉규마저 그녀에게고민을 털어놓고 싶었다.

 

 

서정희의 크고 맑은 눈은 세상의 어둠을 다 품을 것같이 해탈한 느낌을 준다. 마치 이 세상은시시해서 저 별에서 온 여인 같다. 한마디로 정리할 수 없고 종잡을 수도 없는 묘한 마력의 여인이다. 어두운 시절을 겪고 난 뒤에 오는 작은 평화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건지, 원래 욕심이 없고 세상을 아름답게만 보는 천성 때문에 그런 느낌을주는 건지 알 수는 없다. 자신도 지난 과거를 회상해보면 ‘고립무원’이 떠오른단다. 어린 나이에 세상 밖에서 남들과 같이 살았더라면 오늘서정희의 마력은 발견되기 어려웠을 것 같다. 그녀의 엄청난 재능이 발견되거나 개발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녀는 고립무원의 골방에서 시간을 보내고 몰입할 것을 찾기 위해 기도하면서 혼자서 뭐든해야만 했다. 살림을 하고, 글을 쓰고, 그림도그리고, 기도하고, 묵상하고, 찬양하고, 꽃꽂이도 하고, 바느질도 하고, 음악을 듣고, 책을 읽으면서 혼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세상 밖으로 나갈 수 없으니까 어떻게 보면 고립무원의 시간들이 오늘의 서정희의 마력과 내공을 만들어준 듯하다. 이렇듯 서정희는 뒤늦게 세상을 사는 법을 배웠고 지금도 배우고 있는 중이다. “사랑은 다시 못할 것 같다”는 그녀의 한탄스런 말에 이봉규가 “충분하다. 나도 몇년 전에 늦게 재혼해 너무 행복하게 살고 있다. 당신도 그럴 자격이 충분하다”고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말을 전했다.

 

그녀, 이제 자유를 알았다

서세원과는 그 후 단 한 번도 만난 적이 없고 서로 연락도 안 한다고 한다. 그는 딸과도 만난 적이 없다. 아이들도 엄마가 혼자 살기를 원했다.

“애들은 내 편이다. 서세원 씨도 잘 살면 좋겠다. 지금은 불편한 마음도 없다.” 그녀는 비로소 진정한 자유를 알았다. 자신을 알아가는 게신기하고 감사하다며 “지금 너무 행복하다!”는말을 연발한다. “모든 시간을 나만을 위해 쓸 수있어서 좋다. 내 삶을 추적해보면 지금까지 나를 위해 살아본 적이 없다. 이혼을 하고서야 비로소 내게 충실한 삶을 살고 있다”면서 “그동안순응하며 순종적인 삶을 살아왔는데… 그게 아름답다고 생각하고 본분이라고 생각했는데…”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녀의 표정은 전혀 어둡지 않았다. 전부 극복한 편안한 얼굴이다.

“지금은 내가 중심이다. 스스로 대견하고 기특하다. 여자이고 왜소해서 내 안에 강함이 있다는 것을 몰랐는데 요즘에야 느낀다.”

서정희의 충만한 표정은 오라(Aura)가 되어 그녀를 감싼다. 그래서일까? 글 쓰는 솜씨도 대단하다.

 

나는 ‘필’이 중요하다

느닷없이 그녀에게 ‘이봉규TV’(유튜브 방송)에서 영상 에세이를 해보자고 제안했다. 원래 내성적이라 혼자 조용히 있을 때 행복해하는 일상을 영상으로 표현하면 멋진 작품이 나올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였다. 사람들이 요즘 이구동성으로 “느리게 살자!” 하면서도 바쁘게 난리치며 산다. 서정희는 진정으로 느리게 살고 있다. 그 모습을 이봉규가 영상에 담고 싶은 거다. 서정희는 “낮 12시 이후에는 아무것도 안 하면서 느리게 살고 있다”고 고백했다. 낮 12시까지새벽기도, 글쓰기, 인테리어, 도면 그리기 등시간을 쪼개 할 일을 전부 끝내고 오후에는 철저하게 느림의 삶을 실천한다.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는 핸드폰에 메모해놨다가 새벽기도 갔다 와서 정리하며 글을 쓴다.

 

“사람들이 외적인 것만 보려 한다. 나는 내적인것을 더 소중하게 생각하기에 글쓰기를 좋아한다. 내 감정을 글로 표현하고 싶다. 책을 낼 때는 원고 수정 없이 나만의 문체로 남기고 싶다.”이렇게 말하는 걸 보면 고집도 있다. 서정희는필(feel)을 중요시한다. 그녀는 최근 인테리어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베토벤은 곡을 쓸 때많은 것을 버리면서 시작했다. 나도 글을 쓸 때나 인테리어를 할 때 내 안에 저장해놓은 것들을 버리면서 시작한다”는 그녀의 말은 자신감에서 나오는 것 같다. 평소 음악과 책을 가까이 하고 사물과 건축물을 탐미하고그런 것들을 많이 담아놓았기에 가능한 일이다.

 

“오랫동안 나만의 성안에 있었다. 세상의 고정관념이 불편했다. 나만의스타일대로 옷을 입고, 생각하고, 활동하면 사람들이 내게 개량한복을 입으라고 요구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면서 다소 흥분하며 이야기를 이어간다. “예를 들어 내가 발레를 하면 ‘그 나이에 무슨 발레?’ 하면서 시비를걸어온다”고 억울해한다. 그녀는 남들 시선은 의식하지 않고 살려고 노력한다.

 

 

나만의 감정, 글로 표현하고 싶다

혼자 살아가는 게 편해졌다. 자신이 남들과 다른 점도 발견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비로소 어른이 된 기분이다. 첩첩 갇혀 있던 소녀가 이제 어른이 되어 자유를 찾은 것이다. 상당히 철학적이고 내공이 깊어 보이는 그녀는 어릴 적부터 글쓰기를 좋아해 영화 노트가 따로 있다. 영화를 보고줄거리, 평점, 배우 호감도뿐만 아니라 “두 번 봐야 한다. 세 번은 봐야 한다” 등 서정희식으로 메모를 한다. ‘요리 노트’도 있다. 어린아이 같은 표현을 할 때가 많다. 즉석에서 표현하는 어린아이같이 그 즉시 떠오르는 표현들을 간직하려 글로 남긴다.

 

“어설프지만 내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한다”고 겸손하게 말하지만 그녀의글은 훌륭하다. 아이처럼 하고 싶은 것도 많다. 성악도 배우고 있다. 이봉규가 놀라서 “성악도배워요?”라는 질문에 “꼭 자질이 있는 사람만배워야 하나요?”라고 묻는다. 그러면서 자기는좋아하면 뭐든지 한단다. 서정희의 자기 탐구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고민할 필요는 없을것 같다. 4차원적 마력의 소유자 서정희를 한 차원 낮은이봉규가 어찌 이해할 수 있을까? 이봉규 특유의 짓궂은 질문에 “혼자 있는 게 주님의 뜻인가보다 하고 혼자 살기에 주력하고 있다. 태어나서 지금까지 남자라고는 애들 아빠밖에 없었다”고 믿기 힘든 고백을 한다. “이처럼 아름다운 여인이? 말도 안 돼!”라고 따지고 싶었지만 참았다. 서정희는 양면성이 있다. 이슬만 먹을 것 같은데 뭐든지 잘 먹는다. “평생 다이어트를 해본 적이 없다. 이렇게 말하면 욕먹을 것 같다”고 깔깔대며 웃는다. 털털하게 아무거나 잘 먹고 한 번 먹으면 거하게 먹는 스타일이라니 점점 종잡을 수가 없다.

 

조용한 스타일 같은데 수다스럽게 재잘재잘 말도 잘한다. 뜬금없이 이 주제 저 주제로 갈아타기도 한다. 그런 점은 내 아내와 비슷하다. 나는소프라노인 아내에게 서정희를 무료로 레슨해달라고 즉석에서 요청했다. 서정희는 관심 없는 것은 아예 무시하고 좋아하는 것만 하며 산다. 세상을 대하는 체감온도는낮다. 누구나 재미있어 하는 것보다는 남들이별로 관심 없어 하는 것들을 좋아할 때가 많다. 예를 들면 사람들과 같이 영화를 보면 그녀 혼자 울곤 한다. 그러면 같이 영화를 본 사람들은“도대체 어느 장면에서 울음이 나왔나?” 하며의아해한다고. 그녀는 자신의 감정이 독특하고남들과 다르다는 것을 요즘 많이 느끼고 있다고 말한다. “훗날 내 가족만이라도 소녀 엄마로기억하고 내 캐릭터대로 인정해주면 좋겠다”는그녀의 말이 진한 여운으로 남았다.

 

이봉규 시사평론가 사진 서정희 제공 bravo_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