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서 산다는 것 PART 02 - 자연주의
‘닭님’을 섬기며 사는 홍일선 시인 “대지로부터 솟구치는 예민한 지점을 만납니다”
‘닭님에게 손수 밥을 만들어서 줄 때가 가장 행복한 순간’이라고 말하는 시인이 있다. 흔히 우둔함의 대명사로 꼽는 닭을 ‘닭님’이라고 부른다는 것 자체가 비범하다. 경기도 여주군 도리마을 외딴집에서 700여 마리의 닭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홍일선(洪一善•67) 시인이 바로 그 사람이다. 1980년 <창작과비평> 여름호를 통해 등단해 <농토의 역사>, <흙의 경전> 등의 시집을 낸 중견시인인 홍 시인은 숲과 강, 그리고 생명들을 벗 삼아 자연이 전해주는 울림에 귀를 기울이며 살아가고 있다. 그가 농촌으로 내려간 후 12년 동안 겪은 자연 속의 ‘거룩한’ 사연을 들어봤다.
▲홍일선 시인
1950년생, 올해로 67세. 농사일로 단련된 시인의 손가락은 거칠어 보였다. 어언 백발, 말간 피부, 서늘한 눈빛이 어우러진 순박한 농부이자 시인인 홍일선은 누구나 막연하게라도 상상해보는 귀농을 실천한 지 벌써 12년째다. 그는 그 오랜 시간 동안 자연의 삶 속에서 대지로부터 은밀하게 울리는 북소리를 들으며 ‘공격’이 아닌 ‘공경’의 문학을 발견하고 있었다. ‘닭님’과 함께.
자연 그대로 살아가는 홍일선 시인의 ‘닭님들’
홍일선 시인은 지금 여주군 점동면 도리마을 중근이봉 자락 3000평 대지에 있는 외딴 집에서 700여 마리의 닭들과 함께 살고 있다. 그가 ‘닭님’이라고 부르는 이 닭들은 보통 닭이 아니다. 닭님들은 그와 그의 아내가 막걸리 효소, 돌가루, 미강, 발효제. 옥수수 가루, 된장, 간장, 콩비지, 고추씨, 깻묵, 풀씨 등 14가지를 합쳐 정성 들여 만든 ‘맛있는 밥’을 매일 5시에 먹는다. 그리고 집 앞마당과 2만 평의 숲을 마음대로 돌아다니며 산다. 그렇게 시간을 보내다 저녁때가 되면 비닐하우스 집으로 알아서 들어온다.
비닐하우스에는 따로 난방 장치가 되어 있지 않다. 700마리의 닭 중 10퍼센트는 오소리, 솔개, 너구리, 삵 같은 야생 짐승들이 가져간다고 한다. 한마디로 완전히 자연 그대로 닭을 키우는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700마리 정도는 계속 유지된다.
“왜 700마리냐 하면 닭님들이 저와 아내가 손수 만든 발효사료를 먹고 자라는데, 그걸 만들기가 보통 힘든 게 아니거든요, 정말 바빠요, 700마리가 딱 이상적이에요. 우리 할아버지들이 다 했던 방식이고 자급자족이 가능한 정도죠. 최시형 선생의 ‘경물(敬物)’의 가치관을 실천하고 있는 셈이에요.”
경물이란 모든 사물을 아끼고 공경하는 삶의 태도를 말한다. 홍 시인은 경물을 통해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고 진정한 생명농업을 구현할 수 있다고 믿는다.
▲홍일선 시인이 키우는 닭들. 닭은 가두지 않고 키운다. 낮 동안 숲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던 닭들은 저녁이 되면 집으로 들어온다.
“닭님이 내 마음을 알아준다”
홍일선 시인은 처음 닭을 키우게 된 때를 2007년 5월 어느 날인가로 기억한다. 그의 지인인 동화를 쓰는 이상권 작가가 전국 여러 곳에서 토종닭을 사와 용인에서 키우던 시절이었다.
“이상권 작가가 그러면서 굉장히 즐겁게 사는 걸 봤어요. 그러다 그가 직접 우리 집으로 데리고 온 다섯마리를 키우기 시작했죠. 조류독감이 터졌을 때였는데, 숨겨서 들어와야 했어요. 하지만 그랬는데도 기어코 이웃에서 신고를 하더군요.”
여러 우여곡절을 겪으며 다섯 마리로 시작된 닭은 어느새 150여 마리로 불어났다. ‘사실 알을 안 낳아 줘도 되는데 내 마음을 알아서 낳아주는 거예요’라고 말하는 그의 목소리에는 자연스러운 고마움이 담겨 있었다.
“닭이 불어나며 함께했던 행복한 시절이 있었어요. 가난했지만 이게 온전한 삶이다 싶었죠. 그런데 갑자기 이명박이라는 괴물을 만나게 된 거예요.”
어느 날 그 많던 닭들이 사라지다
홍일선 시인의 집 앞에는 ‘여강’이라고 불리는 남한강이 흐른다. 그는 강을 생각하면 우울하다. 그가 이명박 전 대통령을 ‘괴물’이라고 지칭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그의 삶의 터전을 깡그리 부숴버린 장본인이기 때문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추진한 4대강 사업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는 울분의 원인이었다.
“여기에는 나보다 먼저 살고 있었던 고라니라는 시인이 있었습니다. 밤에는 고라니가, 낮에는 청둥오리와 같은 새들이 시를 썼어요. 그들이 내는 소리가 바로 시였죠. 달빛에 책을 읽고 강변에 앉아 묵상하는 일만으로도 황홀합디다. 그들과 오랫동안 함께 있고 싶었어요.”
그러나 4대강 사업은 자연이 내는 시를 죽이면서 인간의 소음을 토해냈다. 그러자 자연이 뒤틀리기 시작했다.
“2년 여 동안 새벽 다섯 시 반에 점호하듯이 어마어마하게 큰 포클레인과 덤프트럭 수십 대가 와서 밤 아홉 시 반, 열 시 반까지 계속 작업을 했죠. 집이 흔들릴 정도로 요란했습니다. 그때 고라니 시인이 사라졌죠. 청둥오리, 왜가리, 백로도 땅에 앉지 못하고 십 분을 넘게 하늘에서 선회하다가 저 끝에 겨우 앉더니 이내 떠나버렸어요. 여러 날 그러는 걸 봤어요.”
무엇보다 그에게 가장 충격적이었던 사건은 그가 기르던 닭들이 한꺼번에 사라져버린 일이었다.
“어느 날 그 많던 닭들이 한 마리도 남아 있지 않은 겁니다. 좌절했죠.”
▲홍일선 시인이 사는 경기도 여주군 도리마을의 외딴집 전경.
생명의 경이로움에 머리 숙여지다
혼비백산한 채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그런데 기적같은 일이 일어났다.
“어느 날, 어딘가에서 삐약삐약 소리가 나는 겁니다. 아내는 환청이라고 했죠. 그러나 환청이 아니었습니다. 저 숲 쪽에서 어미 닭이 병아리 열다섯 마리를 데리고 온 겁니다.”
알에서 병아리가 나오려면 37.5℃를 유지하며 20일을 품고 있어야 한다. 말하자면 그 어미 닭은 아무도 돌보지 않는 숲속에서 20일 동안 정성을 들여 알을 품고 부화시켜 데리고 온 것이었다. 그것뿐만이 아니다. 닭이 열다섯 개의 알을 품으면 한날 한시에 부화되는 게 아니다. 사흘에서 닷새에 걸쳐 병아리가 알을 깨고 나온다. 그 시간 동안 어미 닭은 얼마나 노심초사하며 새끼들을 품었을까.
기적은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다음 날이 되자 다른 어미 닭이 또 열세 마리의 병아리를 데리고 숲에서 나왔고, 나흘째 되는 날에는 어미 닭 두 마리가 여러 병아리들을 데리고 집으로 돌아왔다. 시인은 닭에게 고마움을 절절하게 느꼈다. 그리고 그 고마움은 자신이 얼마나 부끄러운 인간이었는지를 뼈저리게 자각하게 해줬다. “그때 저는 4대강을 피해 정선으로 갈 계획이었어요. 그런데 저 닭들은 그걸 견디며 살아냈던 겁니다. 그 모습을 보며 나라는 인간이 뭔가 싶었어요. 민중시를 쓰고 민족이 어쩌고저쩌고하면서…. 첫 마음으로 돌아가자고 마음먹게 됐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는 닭을 ‘닭님’이라 부르겠다고 했어요. 박근혜씨를 닭이라고 부르는 건 말도 안 돼요. 닭이 어떤 동물인데.”
표절하려면 대지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표절하라
새로운 마음으로 홍일선 시인은 많은 생각을 했다. 특히 그가 업으로 삼고 있는 문학에 대한 생각은 보다 광활해졌다. 문학을 대하는 지점이 과거와는 달라진 것이다.
“우리 할아버지 세대는 시인들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시 기술자는 있어도 시인은 없습니다. 문학은 대지로부터 나오는 울림에 대한 교감이에요.”
그는 얼마 전에 있었던 신경숙 작가가 미시마 유키오의 글을 표절한 사건과 그에 대처하는 창작과비평사의 태도에 개탄을 금치 못했다.
“표절을 하려면 대지로부터 들려오는 소리를 표절하세요. 어머니 같은 강이 들려주는 언어를 표절하라고요. 감자는 땅을 가르고 나옵니다. 이건희와 이재용이, 스티브 잡스가 그런 걸 만들 수 있을까요? 그리고 감자가 땅을 가르고 나오는 그 울림을 누가 듣겠습니까? 이명박이 듣겠습니까, 박근혜가 듣겠습니까. 예술인들이 들어야죠.”
▲홍일선 시인
신이 부여한 질서, 농업
이제 홍일선 시인에게서 문학은 생명의 근원을 생각하는 예술로 환원된다. 그는 ‘신이 부여한 질서를 회복하자’고 말했다. 그 질서란 바로 농업이다.
“물론 모든 사람이 농사를 다 지을 수는 없어요. 그러나 정신만큼은 농업 근본주의로 돌아가야 합니다. 농업은 어머니입니다. 그래서 농업의 재발견이 필요합니다. 퀭한 눈으로 아들을 기다리는, 그 어머니를 발견하는 일 말입니다.”
‘대지라는 거대한 생명을 제대로 섬기는 일이 내가 하는 문학’이라고 밝히는 그는 문학이라는 틀을 정의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닭을 닭님이라고 부르고 5덕(흙님, 숲님, 강님, 햇빛님, 곡식님)을 섬기며 더불어 사는 삶에서 시적 울림을 찾는 그에게 문학을 어떤 틀로 정의하는 것은 편협한 일일지도 모른다.
“진정한 문학이란 살면서 실천되고 구현되는 것이라고 봅니다. 그런 문학에 무슨 고급이 있고 저급이 있을까요?”
공경은 거룩한 행복이다
아내, 아들과 함께 사는 홍일선 시인은 ‘여기에 온 게 참 좋다’고 거듭 피력했다. 그 말의 진실성을 의심할 여지는 보이지 않았다.
“여기 와서 정말 행복해요. 제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공경하자는 겁니다. 그것은 농업과 대지에 대한 공경입니다.”
그가 말하는 공경이란 자연을 앎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래서 공경이라는 말에는 쌀 한 톨이 어떤 경로로 입에 들어오는지 성찰하며 살자는 뜻을 담고 있기도 하다. 그것은 우리가 쉽사리 놓쳐버리는 모든 작은 것들에 대한 배려 그 자체이기도 하다.
“공경은 거룩한 행복이죠. 서울에 있었으면 저도 황폐한 사람이 됐을 겁니다. 그래서 공경을 알게 됐다는 게 저에게는 행운이고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달빛에서, 별빛에서, 들꽃에서, 장독대에서, 여울에서, 숲에서 솟구치는 울림들을 필요할 때마다 마중물로 사용한다. 그에게 이런 호사가 없다. 기우는 햇살을 받은 ‘닭님’의 벼슬이 유난히 붉어 보였다.
글 김영순 기자 kys0701@etoday.co.kr
사진 박규민 parkkyumi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