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술 배워 아이들과 친해질 거야”

-

서울시50플러스 남부캠퍼스 다문화학습지원단 참여자 교육 시행

다문화 아동의 정서적 지원자이자, 학습 지도 선생님

 

 

불볕더위가 맹위를 떨치고 있는 지난 8월 21일, 서울 구로구 천왕동 서울시50플러스 남부캠퍼스를 찾아갔다. 다문화학습지원단 참여자 교육이 진행되고 있었다. 첫째 날, 1교시는 ‘마술 놀이’, 2교시는 ‘50+ 삶과 변화 관리’, 3교시는 ‘안전교육’이다. 이어지는 둘째 날에는 초등학생과의 소통을 위한 감정 코칭, 아이와 관계 맺는 놀이학습, 다문화 아동의 학습 코칭 수업이 예정되어 있다. 첫날, 첫 수업부터 마술이라니. 혹시 ‘미술’ 놀이를 잘못 본 게 아닐까 했지만 ‘마술’ 놀이가 맞다. 참여자들은 마술 도구들을 손에 익히기 위해 연신 연습을 한다. TV에 나오는 유명한 마술사는 아니지만, 아이들의 ‘깜놀!’하는 표정을 떠올리는 듯 얼굴에 미소가 묻어난다. 안전교육 시간에는 코로나19에 대한 정확한 방역 수칙 그리고 신체 사고가 일어날 때 필요한 긴급 조치 등 강사의 설명에 집중하고 있었다.

 

코로나19 때문에 이틀 동안 33명이 2개 그룹으로 나뉘어 수업을 받았다. A반은 4층 <꿈꾸는 강당>에서, B반은 3층 <큰 배움실>에서 동시에 진행됐다. 좌석도 ‘거리 두기’를 해야 하므로 간격을 두고 앉았다. 의자 등에 부착된 “앉으셔도 좋아요” 친절한 안내 문구가 다가왔다. 참여자의 안전과 사업 진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놓치지 않겠다는 남부캠퍼스 관계자들의 노고가 돋보인다.

 

현관에 부착된 참여자 교육 안내 표지

 

"앉으셔도 좋아요" 좌석 안내 문자

 

공명자 서울시50플러스 남부캠퍼스 보람일자리 전담인력 담당자는 “마술 수업부터 학습 코칭 수업까지 장년 어른들이 낯을 가리는 아이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생각과 감정을 소통할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하면 건강하게 만날 것인가에 집중돼 있어요.”라고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의도를 전했다. 인생 반백 년을 넘어선 50+ 세대가 손주뻘 되는 초딩(?)을 만나기 위해 특별히 준비된 프로그램이다.

 

다문화학습지원단은 작년 시범사업으로 3개월 시행한 바 있다. 사업 주관기관으로 서울 서쪽에 있는 남부캠퍼스가 선정되었다.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홈페이지 공공데이터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서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수는 약 1만 3천여 명으로, 자치구 중에서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가 압도적으로 인원이 많다. 학생의 부모 중 1명이라도 외국 국적을 가지고 있으면 다문화가정이다. 다문화 가정 학습 지원은 남부캠퍼스에 부여된 ‘특별한 임무’라고 할 수 있다.

 

예상외로 학교 현장 반응이 좋아 남부캠퍼스 일자리팀은 올해에는 기간과 인원을 늘려, 참여자를 선발하였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우리 사회를 강타하면서 원격학습지원이 서둘러 시행되었고, 다문화학습지원 참여자 중 일부는 원격학습 도우미 선생님으로 활동하였다. (<할아버지 선생님의 설레는 아침> 기사 참고https://www.50plus.or.kr/ssc/detail.do?id=8539551) 이것은 학교마다 사정이 각각 다르기에, 현장의 목소리를 우선 반영하는 조치였다. 2학기 시작을 앞두고 다문화학습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자, 일자리팀은 원래 취지대로 사업을 시행하고자 참여자 교육을 시작했다.

 

공명자 담당자는 프로그램 시행 전, 준비사항에 차질이 없도록 여러 번 학교를 방문하여 현장을 이해해 나갔다. 학교에서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원책이 잘 준비되어 있었고,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도 공헌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지만, 방과 후 학습 돌봄은 물론 정서 돌봄까지 다각적인 차원에서 또 다른 손길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다. 그 손길에는 교육 경력은 물론, 따뜻한 마음이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50+ 중장년들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판단했다. 그래서 다문화학습지원단 참여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춰야 한다. <정교사 자격증>, 또는 <한국어 교원자격증>이 필수다.

 

공명자 남부 캠퍼스 담당 선생님이 관련 업무를 보고 있다.

 

참여자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교실

 

참여자 중 김경숙 선생님에게 동기를 물었더니 자신의 외국 생활을 들려줬다. 해외 주재원인 남편을 따라 인도와 터키에서 10년 동안 해외 생활을 하였다고 한다. 당시 고등학교 1학년, 초등학교 3학년 아들 둘을 현지 외국인학교에 보냈는데, 언어와 교육 시스템에 적응하기가 무척 힘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한국에서도 다문화가정이 자신과 같은 처지일 거라는 생각이 들어 귀국하면 그들에게 어떤 일이라도 꼭 도움을 주고 싶었다고 마음먹었다. 마침 2019년 서울시50플러스재단에서 다문화학습지원단 모집이 있어 기꺼이 참여했다. 올해 2년 차 선생님이다. 무엇보다도 그는 서울 동일여자상업고등학교에서 교직 생활을 했었다.

 

수업이 끝난 김경숙 선생님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경숙 선생님은 지난 6월부터 서울 금천구 두산초등학교에서 활동하고 있다. 다문화학습 교육과정은 부모, 학생의 수준은 물론, 학교의 교육 환경과 방침이 각각 달라서 통일되고 표준화된 학습 과정을 만들기 어렵다. 같은 학년이라도 한국어 능력이 각각 달라서 1:1 맞춤형 교육이 절대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학생마다 교재와 교구도 다를 수밖에 없다. 선생님들의 고충은 여기에서부터 시작된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에서 교재와 교구가 지급되지만, 수시로 필요한 교구들을 일일이 재단에 요청하기가 적절치 않아 필요할 때마다 사비로 바로 구매하기도 한다. 그는 다른 참여자 선생님과 함께 1학년 4명, 6학년 4명에게 국어, 산수를 지도하고 있다. 수업이 끝나고 어머니들이 아이를 데리고 가면서, 한국말은 서툴지만, 눈빛으로 정말 감사하다는 마음을 전할 때, 가슴이 찡하다고 했다.

 

학교에서 동료 박혜성(3학년 담당), 김금란(6학년 담당) 선생님과 환담하던 중

 

참여자 선생님들은 다문화가정에 대한 우리 사회의 잘못된 인식도 꼬집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은 한국 국적을 가진 엄연한 우리 국민이고 미래의 인재라고 하면서 우리가 같이 돌봐야 할 대상이라고 입을 모았다. 아이들이 너무 예쁘고 사랑스러워서 하나라도 더 가르치고 싶고, 우리 사회에 원만하게 적응하기 위해 늘 마음 쓴다고 말했다. 다문화학습지원단은 학교에서 교사의 보조 역할이 아니라 독립된 학습 교사이다. 현재 두산초등학교를 비롯해 9개 학교 현장에서 묵묵히 최선을 다하는 선생님들에게 머리 숙여 존경을 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