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은 집을 살 능력도 없고 월세도 부담스러운 주거취약계층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주(WOOZOO)와 같은 셰어하우스가 월세는 비슷하지만 높은
주거품질과 젊은 세대를 위한 컨텐츠를 무기로 청년들의 많은 관심을 받으면서 사회적인 관심이 확산되었다.
민달팽이는 청년들 스스로 주거권 확보를 위한 사회운동 차원에서 연대를
시도하였다.
또한 사회적기업 ㈜두꺼비하우징은 도심재생 차원에서 빈집을 활용한 셰어하우스 공급사업으로 共家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장년들의 경우는 장기저성장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는 것이 공유주택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된 가장 큰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집은 대표적인 자산증식의 수단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 더 이상 집으로 돈 벌 기대를 하기 힘든 지금, 사람들은 건축
업자에 의해 획일적으로 제공된 공간과 이웃과 소통이 단절된 주거환경에 대
해 회의를 품게 되었다.
특히 장노년 세대의 경우 상당 수가 1~2인 가구를 형성하고 있는데, 시간이 갈수록 주거비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노후에 사회적 고립상태가 될 것에 대한 염려가 매우 크다.
그러던 차에 마포 성미산마을에서 시작한 공유주택 소행주가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고 확산되는 것을 보면서 “우리도 한번 해볼까”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하우징쿱과 같은 주택협동조합 운동도 시도되고 있고, 정부공공에서도 사회주택에 대한 관심과 정책 추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유주택은 내 공간은 실용적으로, 함께 하는 공간은 합리적으로 구성하여 주거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아파트와 같이 한 공간 안에서도 서로 담을 쌓고 사는 단절된 관계가 아니라, 이웃들과 주거공동체로 사회적 가족을 이룸으로써 상상하기에 따라 이웃과 함께 하는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행복하고 건강한 주거공간으로서 공유주택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다만 유의할 것은 함께 산다는 것이 생각처럼 그리 쉽지는 않다는 것이다. 장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지켜야 할 규칙이 있고 다소의 불편함과 책임도 따른다. ‘공동체정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노력이 없으면 매우 힘든 것이 공유주택이다.
좋은 뜻으로 시작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 성장했던 에어비앤비(숙박공유)와 우버(차량공유) 같은 공유경제 사업들이 공동체 정신을 상실하고 자본에 종속되어 기업의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하였다.
공유주택도 그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공유주택 성공의 핵심은 주민 주도의 자발적 공동체형성에 기반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