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새로운 일자리의 가교,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세계 어느 나라나 비슷하지만 우리나라는 특히 가장 빠르게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여러 심각한 우려들이 제기되고 있다. 노인복지, 사회적 고립,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재정 등의 문제들이 종종 언론의 단골 소재로 등장하곤 한다. 많은 전문가가 (사실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일반인 대부분이) 각 개인은 되도록 늦게까지 ‘일’을 하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말한다. 요즘은 노년 또는 은퇴 후를 대비하는 일에 대한 인식이 많이 높아지긴 했지만, 특히 50플러스 세대에게는 아무래도 머지않아 닥치게 될 문제로서 좀 더 심각하게 느껴지는 것 같다.

 

기술 발전이 가져오는 ‘보이지 않는 위협(Phantom Menace)’?

그런데 장년 이상인 50플러스 세대뿐만 아니라 모든 세대에게 ‘일자리’에 대한 염려는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문제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것은 역설적으로 기술의 발전이다. 기술이라는 것이 원래 인간에게 편리함과 새로움을 제공하기 위해서 발달해 온 것인데, 그 결과가 정작 인간의 일을 대체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는 것이다. 기술 발전과 인간의 일자리가 갖는 이러한 관계는 멀건 가깝건 역사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아마 대표적으로 드는 사건 중 하나가 19세기 영국에서 벌어졌던 러다이트 운동(Luddite Movement)일 것이다. 섬유 방적 기계의 급속한 확산으로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자 생존의 막다른 골목에 내몰린 인간들이 기계파괴 움직임을 벌였던 그 사건 말이다. 그만큼 대부분의 사람에게 ‘일’이란, 단순히 몸을 움직여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생존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삶의 요소인 것이다.

 

기술 발전이 소리 없이 그러나 때로는 많은 사람에게 파괴적으로 가져오는 이러한 위협은 현대에도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다. 아니, 사실은 점점 더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해도 될 것 같다. 최근에만 해도 이러한 사실을 현실감 있게 밝혀 준 연구가 많은 사람에게 회자된 바가 있었다. 2013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칼 베네딕트 프레이 교수와 마이클 오스본 교수(Carl Benedikt Frey & Michael Osborne)가 발표한 ‘고용의 미래(The Future of Employment)’라는 보고서가 그것이다. 두 교수는 현대의 기술 발전과 일자리와의 상충적 관계를 단순히 개념적으로 또는 사례 몇 가지를 들어 설명한 것이 아니다. 그들은 미국 정부가 보유한 데이터에 따라 702가지 직업의 직무내용을 분석한 다음, 각 직업이 컴퓨터화(化)에 의해 영향받을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는 예상보다 훨씬 놀라웠다. 컴퓨터에 의한 자동화와 기술 발전으로 20년 이내에 직업의 47%가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고 나온 것이다.

 

사진1.png
▲ 고용의 미래(The Future of Employment) 논문 표제부

 

이 보고서가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것은, 100년 전부터 자타공인 지구상 최강국이자 최대 부국이면서 현대의 기술 발전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의 모든 직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발표 당시에는 47%의 직업이 사라질 것이라고 예언한 것이 지나치다고 하는 비판도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절대적인 숫자는 놔두고서라도 10여 년이 지난 지금 시점에서 보면 상황은 더 심각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10여 년 사이에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로봇이나 각종 무인기기들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대안을 제시했던 학자 제레미 리프킨의 주장

그렇다면 인간들이 기술에 밀려서 일자리를 점점 잃게 되는 현상은 종국적으로 과연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일부에서는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로운 일도 생겨나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이런 현상이 완화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서도 보듯이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는 사업은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로 보인다. 꼭 필요한 소수의 전문인력만을 갖추고, 실제 움직임이 많이 필요한 부분은 자동화를 도입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기자가 읽어 본 책 중에 이런 점에서 선견지명을 보여 준 예가 있다. 위 옥스퍼드 대학 교수들이 논문을 쓰기 훨씬 전인 1995년에 출간된 ‘노동의 종말(The End of Work)’이 그것이다. 저명한 문명비평가 겸 미래경제학자인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이 쓴 이 책도 기술 발전에 따라 인간의 일(노동)이 점차로 줄어들 것임을 예견하고 있다. 한 세대 전에 이미 기술이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게 되는 과정을 통찰력 있게 설파한 점은 지금 봐도 흥미롭지만, 마지막 부분에 제시한 대안이 더 기억에 남는다.

 

사진2.png
▲ 노동의 종말(The End of Work) 초판본 표지

 

리프킨은 기술의 효율성에 의해 대체된 인간의 ‘일’의 감소에 대한 대책으로 기업의 근무시간 단축과 노동시간의 공유, 그리고 무엇보다 정부도 기업도 아닌 제3부문의 확충을 제시하고 있다. 그가 미국의 자원(volunteership) 활동을 대표적 예로 들면서 설명한 제3부문이란, 전통적으로 존재하기는 하지만 이윤을 창출하는 산업으로 간주되지 않던 사회서비스를 말한다. 자원봉사나 비영리적 사회활동과 같은 공공분야의 일자리에 정부가 세금을 지원하여 체계화하고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제3부문을 단순히 인간 관계, 친밀감, 동료 의식, 봉사 정신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효율경쟁을 우선으로 하는 시장에서 기술에 대체된 노동력을 흡수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와 육성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새로운 의미로 보게 되는 서울시50플러스재단의 역할

처음으로 돌아가서, 우리나라의 50플러스 세대는 과연 기술 발전에 의해 일자리에서 대체되는 위협이 어느 정도일까? 아직 위 옥스퍼드 대학 보고서와 같은 실증적인 연구가 충분하지는 않은 것 같고, 다만 OECD 선진국에 비해 노년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다는 얘기는 많다. 그렇다면 ‘일’에 대한 50플러스 세대의 욕구는 더 클 가능성이 높은데, 기술과 산업의 변화로 보면 중장년 이후 일자리를 유지하기가 쉽지는 않다는 것으로 귀결된다. 단순하고 임시적인 일을 구하는 50플러스 세대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맞다는 얘기다.

 

이런 점에서 서울시50플러스재단의 역할이 주목된다. 우리나라의 자원(自願) 활동은 일부 종교단체나 기업들이 주도하는 사회봉사활동에서 보듯이 분명 증가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사회 전체적으로 공공적 성격의 일을 하는 제3부문을 하나의 영역으로 간주해서 예산을 지원하고 관리하는 체계는 아무래도 부족했던 것 같다. 그런데 50플러스센터가 이런 영역에서 새로운 가교(架橋) 역할을 늘려온 것이다. 실제로 서울시50플러스포털(50plus.or.kr)로 들어가 보면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현재 진행 중인 일·활동, 보람일자리 등을 소개·제안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일자리에 대한 상담과 새로운 일을 위한 교육콘텐츠까지 준비하여 놓고 있다. 

 

단순한 선의에 기반한 봉사활동뿐 아니라, ‘일’을 통하여 어느 정도건 소득에 보탬이 될 수 있는 활동들을 좀 더 다양하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지원하는 서울시50플러스재단과 각 센터의 역할은 앞으로가 더욱 기대된다.

 

 

50+시민기자단 박동원 기자 (parkdongwon92@gmail.com)

 

 

박동원.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