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소현-01.png
중장년 생애설계준비도를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지표를 활용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40세부터 64세까지의 중장년 생애설계준비 현황 파악

 

중장년 생애설계준비지표의 필요성

 

중장년 시기에 삶이 변화하는 과정에 대해 인지하고 준비하는 것은 인생 후반기에 예측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더불어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인생 후반기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중장년은 편향되지 않은 균형적인 준비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 자신의 현재 준비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2015년 보건복지부는 국민의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생활을 위하여 노후준비 지원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노후준비지원법(법률 제18611호)을 제정하였다. 노년기에 발생할 수 있는 빈곤·질병·무위·고독 등에 대하여 사전에 대처하는 것을 노후준비로 정의하고, 재무·건강·여가·대인관계 등 분야별로 진단, 상담, 교육, 관계기관 연계 및 사후관리를 노후준비 서비스로 제공하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급변하는 사회 환경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보건복지부, 2020) 생애주기별, 연령별로 차별화된 국가 차원의 노후준비 사업을 확대하고자 보건복지부는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노년기를 제외한 다른 연령층에게 ‘노후준비’라는 용어로 접근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고, 퇴직준비와 은퇴준비의 시점 차이와 같이 연령층에 따라 노후준비의 체감도는 상이하기 때문에 중장년에게 적용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중장년 특성을 반영하여 생애설계준비에 대한 정의를 구명하고 관련 이론 고찰, 선행 연구 및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지표의 영역 및 항목을 구분하고 문항을 구성하여 타당성 검증을 통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중장년 생애설계준비지표 개요


1. 중장년 생애설계준비 정의 및 목적

 

중장년 생애설계준비지표는 기대여명 증가에 따라 인생 후반기 삶의 목표를 구성하고 생애 구조를 기획할 수 있도록 현재 중장년 자신의 생애설계준비도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진단하여 인생 후반기에 예측되는 문제를 예방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만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중장년에 해당되는 지표로 ‘과거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와 앞으로의 자신과 환경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향후 목표 설정 및 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이행하고 유지하기 위해 관리하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2. 중장년 생애설계준비 영역

 

지표는 2개 영역과 7개 항목, 총 30문항으로 응답하는데 약 5~7분 정도 소요되고 영역 및 항목의 구분과 정의는 다음의 표와 같다.

임소현-02.png 

중장년 생애설계준비지표 활용방안


(중장년 정책 지원 근거) 개발한 중장년 생애설계준비지표를 활용하여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2023년 상반기 서울시 중장년 10,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전체 11,500개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였다(임소현, 2023). 이 데이터는 서울시 중장년 생애설계준비도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장년 내 연령, 거주 지역(자치구/권역), 혼인상태, 가구형태, 경제 및 건강상태 등에 따른 차이도 살펴볼 수 있다. 나아가 중장년의 생애설계준비도 현황을 시·도 및 시·군·구 단위로 모니터링하여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사항을 도출하는 기초자료와 중장년 지원 정책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2023년 하반기는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시 중장년 생애설계준비 심층분석 I(임소현, 정성지,2023)을 수행 중에 있어 생애설계준비 유형 및 유형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2023년 분석한 두 연구 결과는 11월에 있을 <2023 서울 4050 국제포럼>에서 일부 발표할 예정이다.

 

2024년에도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장년 생애설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더불어 생애설계준비와 중장년의 경력, 평생학습, 노후준비, 심리적 결과 변인(삶의 만족도, 삶의 질 등)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중장년의 생애설계준비는 일회성으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이 과정을 살펴보고 질적연구방법(근거이론)을 통해 중심현상을 파악하여 실체적 이론으로 발전시키는 연구를 수행하는 등 중장년 생애설계준비 설문조사 데이터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구과제 공모전을 기획하여 서울시50플러스재단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가에게도 데이터를 공개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서울런4050 컨퍼런스(가제)>에서 발표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항목별 생애설계준비 양상 확인) 또한, 중장년 생애설계준비지표의 일곱 개 항목 중 생애역할 설계관리, 일(경제활동) 설계관리, 재무 설계관리, 여가활동 설계관리, 신체적·정신적 건강 설계관리의 다섯 개 항목 내문항은 ① 목표 설정 수준, ② 계획 수립 수준, ③ 실천 수준, ④ 관리·개선 수준을 확인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응답자의 항목별 준비 수준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지표 활용 시 항목 및 영역별 평균 점수뿐만 아니라 각 문항의 점수를 바탕으로 응답자의 생애설계준비 양상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앞서 보건복지부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이러한 지표는 시대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에 따라 지표의 영역, 항목, 문항을 수정·보완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지수화 작업을 통해 주기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중장년의 생애설계준비 과정에 대한 종단적 분석 결과를 도출하고 영역 및 항목에 따른 변화 양상을 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으로 기대된다.

 

※ 중장년 생애설계준비지표의 구체적인 문항은 연구보고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중장년 생애설계준비지표 개발」 (임소현, 1 이승엽, 이영광, 2022)의 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재구성하였음. 

 

 

참고문헌

•노후준비지원법(법률 제18611호, 2015)

•보건복지부. (2020). 제2차 노후준비 지원에 관한 기본계획.

•임소현. (2023). 서울시 중장년 생애설계준비 실태조사. [미발간보고서]. 서울시50플러스재단.

•임소현, 정성지. (2023). 서울시 중장년 생애설계준비 심층분석 I. [미발간보고서]. 서울시50플러스재단.

 

임소현-03.png

바텀.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