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대의 세대 간 경제자원 이전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중심세대(core generation)라는 말이 있다. 가족관계에서 조부모, 부모, 자녀로 이어지는 수직적 세대 관계의 중앙에 위치하는 세대를 중심세대라고 하며, 50+세대가 이에 해당된다. 50+의 시간이 개인의 일생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여유로운 시기이며, 자녀 부양의 책임을 벗어난 홀가분함과 여유로운 소득을 바탕으로 노년의 삶을 준비하는 여유를 부릴 수 있는 인생의 황금기로 불렸던 적이 있다. 그러나 최근 평균수명의 증가로 노부모를 부양해야 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성장한 자녀들이 집을 떠나는 시기가 늦춰지면서 50+세대의 중심세대로서 책임과 역할이 더 강조되고 있다. 세대 간 자원 이전 행동을 연구하는 것은 50+세대의 중심세대로서 역할을 살펴보는데 유용하다. 다음에 제시하는 연구 결과들은 우리나라 50+세대가 부모세대와 자녀세대 간에 어떻게 자원을 주고받는지를 보여준다. 

<그림 1> 중심세대로서 50+세대

 

  

1. 50+세대의 자산과 샌드위치 세대 역할

 

50+세대에게 자산은 샌드위치 세대 역할 수행에도 중요한 요인이다. 노부모와 성인자녀에게 동시에 경제적 지원을 하는 샌드위치 세대 역할에는 50+세대의 소득보다는 자산 수준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50+세대의 자산이 많을수록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경제적 지원을 할 확률이 높았으나, 가계소득은 경제적 지원 행동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50+세대(이 연구에서는 50세~69세를 대상으로 함)의 노부모와 성인자녀에 대한 경제자원 이전에 대한 연구(고선강, 2013)에 의하면 50+세대가 부모세대에게 경제자원을 제공할 때와 자녀세대에게 경제자원을 제공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달랐다.

 

노부모에 대한 경제자원 제공에는 50+세대의 가계소득이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자녀에 대한 경제자원 제공에는 가계소득 보다는 자산이 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자산의 특성을 고려할 때, 50+세대가 노부모에게는 생활비, 용돈 등과 일상적으로 흘러가는 경제적 지원을 더 빈번히 하는 것으로 보이며, 성인자녀에게는 자산에 기초한 목돈지원이 더 활발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50+세대는 노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할까? 50+세대의 학력이 높은 경우, 가계소득이 많을수록, 금융자산이 많을수록, 양친 모두 생존한 경우, 부모의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50+세대는 노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할 경향이 높았다. 반면 성인자녀에 대한 지원은 50+세대의 금융자산, 기타자산, 부채가 많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손자녀가 있는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할 확률이 높았다.

 

50+세대는 노부모나 성인자녀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지 않는가?

그렇지 않다. 드물기는 하나 노부모로부터 50+세대가 경제적 지원을 받는 경우는 배우자가 없거나, 부채가 많은 경우 노부모로부터 지원을 받을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노부모가 50+세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는 것은 흔하지 않으나, 매우 이타적인 동기일 것으로 보인다.

 

성인자녀가 50+세대에게 경제자원을 제공하는 경우는 50+세대가 여성인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경제적 지원을 받는 경향성이 높아, 성인자녀들도 50+세대의 필요와 요구에 따라 경제자원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성인자녀들이 50+세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는 다른 동기를 엿볼 수 있는 결과도 있는데, 50+세대의 금융자산과 기타자산이 많을수록 성인자녀가 50+세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할 확률이 높았다. 자녀들은 50+세대가 경제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경제적 지원을 하는 것만은 아니며, 경제자원 제공을 통해 현재 50+세대의 소득 부족을 채워주지만, 50+세대의 높은 자산 수준도 미래에 자녀들에게 돌아올 것에 대한 기대를 가능하게 하여 자녀들의 경제자원 제공의 동기가 될 수 있다.

  

 

2. 자녀 결혼자금 지원, 나중에 돌려받을 수 있을까?

 

결혼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고선강, 2012)에 의하면 50+세대가 자녀에게 결혼비용이나 신혼집 마련 비용을 지원한 경우, 그에 대한 자녀의 보답은 꽤 긴 시간 후에 나타난다고 한다. 50+세대의 자녀 신혼집 마련 비용 지원은 자녀가 50+세대에게 경제자원을 제공할 가능성을 높이는데, 자녀의 결혼기간이 많이 흐른 후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나타냈다.

 

오히려 자녀의 결혼 초기에는 결혼자금을 지원한 부모가 결혼한 자녀에게 여러 가지 자원을 제공하는 경향이 높았다. 신혼의 자녀에게 부모가 제공하는 것은 경제적 지원을 포함하여 가사노동, 손자녀 양육지원 등을 포함하는 생활전반의 총체적 지원이었다.

 

50+세대에게 자녀의 결혼은 자녀의 독립과 부양의 책임을 벗어남을 의미하기보다 자녀가 결혼 후에도 부양자로서 부모의 역할이 확장되고 무게가 더해짐을 알 수 있다. 50+세대 자신의 노후 삶에 필요한 자원들이 확장된 부모역할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50+세대와 그들의 노부모 간에도 과거의 경제적 지원에 대한 미래의 보답이 나타나는가?

한 연구(고선강, 2012)에 의하면 50+세대가 과거에 부모로부터 상속이나 증여를 받았다면, 미래에 노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할 의향이 높아진다고 한다. 또한 미래에 노부모로부터 상속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도 50+세대는 현재 노부모에게 돌봄을 제공할 확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50+세대가 치매를 앓고 있는 부모를 지원하는 것에서도 자원을 주고받는 관계가 발견되는데, 자녀가 과거에 부모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치매를 앓고 있는 부모를 더 자주 방문하고, 돌봄을 제공하는 경향성이 높았다(고선강, 2008).

 

50+세대와 그들의 노부모 간에도 자원 이전 행동의 호혜성이 발견되며, 부모와 자녀 간의 자원 교류를 통한 호혜성은 인생의 여러 시기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3. 50+세대의 경제적 지원과 자녀의 출산의향의 관계

 

50+세대가 결혼한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는 것이 자녀의 출산의향과 관계가 있음을 주장한 연구도 있다(김주희·고선강, 2015).

 

결혼 5년 이내의 신혼기에 있는 자녀들은 부모로부터 지원을 받기 보다는 경제적으로 독립적일 때 출산의향을 가질 확률이 더 높았다. 결혼할 당시 신혼집 마련을 위해 양가 부모로부터 도움을 받지 않은 경우와 결혼 후 친정 부모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지 않은 경우, 기혼여성들의 출산의향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높았다. 부모로부터 경제적 자립은 자녀의 결혼 형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이후 자녀출산과 같은 가족생활의 중요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4. 50+세대는 자원을 받을 때 행복할까? 줄 때 행복할까?

 

자녀에게 경제자원을 제공할 때 더 행복할까?

노부모에게 제공할 때 더 행복할까?

주는 것이 더 행복할까? 받는 것이 더 행복할까?

 

50+세대는 부모세대와 자녀세대 사이의 중심세대로서 부모, 자녀와 교류에서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데, 노부모 보다는 성인자녀와의 경제적 교류가 이들 삶에 더 큰 의미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고한 연구(고선강, 2014)가 있다. 50+세대는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는 경우, 자녀에게 자산 상속이나 증여를 한 경우에 그렇지 않은 50+세대와 비교하여 자신의 생활에 더 만족한다는 것이다.

 

50+세대가 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고, 자녀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는 것은 이들의 전반적인 생활 만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노부모가 50+세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는 경우는 이들의 생활 만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나타냈다.

 

50+세대에게 부모보다는 성인자녀와의 경제적 교류가 중요하며, 성인자녀에게 경제적 지원(금액의 크기는 고려하지 않고)을 할 수 있을 때 더 만족스러운 삶을 사는 것을 알 수 있다.

 

50+세대가 부모와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할 수 있는가는 이들의 경제자원 수준(소득, 자산 등)에 따라 달라진다. 50+세대를 가계소득에 따라 상·중·하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생활만족도에 노부모, 성인자녀와의 경제자원 교류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50+세대의 소득수준에 따라 자원교류가 이들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양상이 달랐다.

 

가계소득이 낮은 집단(하)에 속하는 50+세대에게는 노부모에게 경제자원을 제공하는 것이 이들의 생활만족을 높이는데 의미 있는 요인이었다. 가계소득은 낮지만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운데에 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할 수 있을 때 자신의 생활에 더 만족을 느끼게 된다. 이들에게는 노부모 부양의 책임과 부양 역할 수행이 생활에 중요한 부분임을 나타내는 결과라 하겠다.

 

반면 가계소득이 높은 집단(상)에 속하는 50+세대에게는 노부모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지 않는 경우, 가계소득이 중간인 집단(중)에 속하는 50+세대에게는 자녀에게 상속과 증여를 하는 경우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종합적으로 소득계층에 관계없이, 50+세대의 삶에 부모세대, 자녀세대와의 경제적 자원 교류는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고선강. (2008). “치매부모에 대한 성인자녀의 자원이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209-229.

고선강. (2012). “부모의 결혼자금 지원과 경제자원 이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19.

고선강. (2012).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의 호혜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1): 103-121.

고선강. (2013). “중년기 가정의 자산과 3세대 간 경제자원 이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131-144.

고선강. (2014). ”중년층의 소득계층별 세대 간 경제자원 이전, 노후생활비 준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79-101.

김주희·고선강. (2015). ”신혼기 기혼여성과 부모 간의 자원이전과 출산의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27-49.

 

『50+리포트』 04호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