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둥 번개가 몰아치며 비가 몹시 오는 날. 빈민가 골목길에 커다란 쇠망치를 든 사내가 나타났다. 천둥이 칠 때마다 사내는 쇠망치를 내려친다. 위층에는 이를 내려다보며 사진을 찍는 사람이 있다. 스릴러를 연상케 하는 이 장면이 지나자 빈민가 골목길 상가에 깡패들이 나타나 행패를 부린다. 상가를 사들인 재건축 업자들이 보낸 조폭들이다. 임차인들이 나가 주어야 손쉽게 재건축사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연히 주인공과 상가 임차인 그리고 주민들이 재건축사업자와 한 팀인 조폭을 상대로 한판 승부를 벌일 것이다. 그러나 예단은 금물이다. 영화를 보는 누구의 예상도 여지없이 빗나간다.

 

나옥분 역의 나문희는 빈민상가의 임차인으로 수선집 사장이다. 그녀는 영어를 배우는 것이 꿈이다. 그녀는 왜 그토록 영어를 배워야 했을까. 재건축사업구역 내 수선집 사장에게 영어는 무슨 의미일까. 김현석 감독은 베이비부머들의 끊임없는 학구열을 보여주려 했던 것일까. 아니면 오래 전에 미국으로 입양을 가 한국어를 할 줄 모르는 남동생과 통화를 하기 위해 영어를 배워야 했을까. 옥분(나문희)의 친구인 정임(손숙)은 영어를 유창하게 했다. 왜 그녀들은 그 나이에 영어에 집착을 하는 것일까. 영화의 전반부는 이렇게 의문에 의문이 꼬리를 물게 하고 감독은 관객을 아무도 예상치 못하는 곳으로 몰아가는 데 성공한다.

 

부모와 자식도 없고 형제라고는 오래 전에 미국으로 입양 간 남동생밖에 없는 옥분(나문희)과 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셔서 동생과 단둘이 사는 민재(이제훈)의 만남은 우연이다. 그들은 민원인과 공무원으로 우연히 만났지만 두 가지 매개로 인해 급속히 가까워진다. 하나는 민제의 유창한 영어실력이고 또 하나는 둘의 외로움이다. 옥분은 민제로부터 영어를 배워야 했고 민제는 동생과 함께 옥분에게서 돌아가신 어머니를 느낀다. 스릴러인가 하면 조폭영화로 바뀌어 있고, 조폭영화인가 하면 어느새 사회 고발 영화로 바뀌어 있다. 곳곳의 장면에서 웃음을 자아내게 하여 코미디 장르인가 라고 생각하면 다시 자세를 가다듬어야 할 대목이 나타난다. 약간 무리한 설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옥분과 민제 그리고 주민의 갈등을 통해 감독은 관객을 영화에 몰입하게 하는데 어느 정도 성공한다. 관객은 감독의 의도 안에 갇혀 있다. 반전은 영화 중반 옥분(나문희)의 친구 정임(손숙)이 치매로 요양원에 입원하면서 나타난다. 반전은 그들이 그토록 영어를 배워야 했던 이유 그 자체였다. 가히 충격이다.

 

탄탄한 연기력이 돋보이는 나문희를 보며 얼마 전 상영했던 ‘수상한 그녀’가 생각났다. 작은 아이디어 하나로 대박을 터뜨렸던 영화. 얼마든지 가벼운 발상으로도 성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 건 나문희의 탄탄한 연기력 때문이었다. 그래서였을까. 내내 작은 가슴으로 영화를 보다 커다란 반전을 마주하니 더 큰 충격과 울분 그리고 눈물이 솟는다. 옥분의 쭈글쭈글한 배에 선명히 남아 펄럭이는 욱일승천기는 잠시였지만 실로 오랫동안 관객을 공감하게 했다. 진정한 사과 없는 일제의 값싼 대가와 지원금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나라가 약해서 일어난 일이니 국가가 나서 책임져야 한다. 정부는 빨리 해결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돈 몇 푼 받아 지원이랍시고 생존 할머니들에게 나누어 주려는 알량한 생각일랑 버려야 한다. 한일위안부 협상 처음부터 다시 하라. We must speak.

 

 

출처 네이버 영화 http://movie.naver.com/movie/bi/mi/photoView.nhn?code=161850